품목정보
발행일 | 2011년 07월 10일 |
---|---|
쪽수, 무게, 크기 | 336쪽 | 596g | 153*224*30mm |
ISBN13 | 9788965700210 |
ISBN10 | 8965700213 |
발행일 | 2011년 07월 10일 |
---|---|
쪽수, 무게, 크기 | 336쪽 | 596g | 153*224*30mm |
ISBN13 | 9788965700210 |
ISBN10 | 8965700213 |
프롤로그 | 그들이 일을 못하는 것은 전적으로 리더인 당신 책임이다 원칙 1 : 공감적 성과목표 ‘업무지시’하지 말고 ‘공감목표’ 소통하라 1. 어떤 결과물을 원하는지 구체적으로 그려줘라 2. ‘열심히’가 아니라 ‘제대로’에 성과기준을 맞춰라 3. 구성원이 아닌 리더가 기대하는 목표를 공유하라 4. ‘과거 실적’이 아니라 ‘5년 후 미래’를 기준으로 목표를 설계하라 5. 목표가 예측 가능하고 측정 가능해야 구성원들이 믿고 따른다 6. ‘미들 업 다운’ 목표설정으로 타당성을 확보하라 7. 통제할 수 없는 목표는 처음부터 부여하지 마라 원칙 2 : 통찰적 전략코칭 어설픈 ‘의지’ 대신 ‘하우투’를 확인하라 8. 질문을 통해 ‘성과 설계도’를 완성하라 9. ‘98% 설명’에 만족하지 말고 한 번 더 코칭하라 10. ‘나무’는 실무자에게 맡기고 당신은 ‘숲’을 보라 11. 시간과 돈은 항상 모자라다, 어떻게 쓸 것인가? 12. ‘스케치 페이퍼’를 코칭의 핵심도구로 삼아라 13. ‘캐스케이딩’만 잘하면 실행력은 저절로 따라온다 14. ‘전략코칭 식스팩’으로 고객가치를 실현하라 원칙 3 : 현실적 실행자원 ‘맨땅헤딩’ 시키지 말고 ‘핵심자원’ 지원하라 15. 돈, 시간, 사람, 정보의 지원범위를 처음부터 명확히 하라 16. ‘사람’이 아니라 ‘목표’를 보고 예산을 확정하라 17. 예산을 먼저 알려주면 실행전략이 분명해진다 18. 지난해의 자원배분전략을 분석하라 19. ‘미래의 투자’와 ‘오늘의 비용’을 균형 있게 배분하라 20. 위임전결규정을 ‘업무와 계급 중심’에서 ‘목표와 전략 중심’으로 혁신하라 21. 자원을 잘 쓰고 있는지, ‘목표’중심으로 모니터링하라 원칙 4 : 자결적 권한위임 사사건건 ‘간섭’ 말고 ‘자율경영’ 응원하라 22. 간섭을 코칭으로 오해하지 마라 23. 권한위임하지 않는 것은 다른 욕심이 있기 때문이다 24. ‘사람 중심’의 업무위임하지 말고 ‘목표 중심’의 전략위임하라 25. 누가 무엇을 잘하는지 주특기부터 먼저 파악하라 26. 당신은 더 큰 물에서 놀아라 27. 급할수록 직접 하지 말고 가르쳐라 28. ‘인정’을 해주어야 적극적인 권한위임이 가능하다 원칙 5 : 헌신적 소명의식 ‘일의 노예’가 아니라 ‘업의 주인’으로 키워라 29. 실적에 울고 웃는 리더가 소명의식을 죽인다 30. 고객가치에서 출발해 ‘미션’을 재정립하라 31. 성과목표를 통해 소명의식을 자극하라 32. 회사 자원을 소중히 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하라 33. 제1고객인 구성원들에게 최선을 다하라 34. 리더의 ‘인정’이 동기부여의 시작이다 35. 믿어라! 믿어야 성과가 나온다 원칙 6 : 실전적 역량훈련 ‘탁상공론’하지 말고 ‘전략행동’을 훈련시켜라 36. ‘땜빵식’교육으로 바쁜 구성원 두 번 죽이지 마라 37. 그들의 대충주의? 리더에게 배운 것이다 38. 능력에 지독한 훈련을 더할 때 ‘역량’이 만들어진다 39. 일하면서 배우는 것이 최고의 훈련이다 40. 판에 박힌 회의 대신 ‘워크숍’으로 동기부여하라 41. 일이 진행되는 중간에 ‘면담’하라 42. 야단치지 말고 ‘피드백’을 하라 원칙 7 : 도전적 평가보상 ‘순위경쟁’ 그만두고 ‘기록경쟁’ 강화하라 43. 목에 칼이 들어와도 보상약속은 지켜라 44. 일일 전략일지를 작성해 성과평가와 연동시켜라 45. 판단기준은 사전에, 공정하게, 공개적으로 46. ‘사실’과 ‘데이터’로 평가해야 뒷말이 없다 47. ‘동료의 성과’가 아닌 ‘자신의 목표’와 비교하게 하라 48. 제때, 제대로, 의미 있게 보상하라 49. 보상은 곧 ‘인정’임을 잊지 마라 에필로그 | 양식어로 키울 것인가, 야생어로 키울 것인가 부록 | ‘제대로 시키는’ 리더를 위한 자가진단 |
후배로부터 선물을 받은 책이다.
선물로 받기에는 제목이 사람을 좀 멋쩍게 만든다.
'제대로 시켜라'...라...
선물을 받고 몇년의 시간이 흘러 최근에 읽어봤다.
사실 처세술류의 책을 좋아하지 않는다.
(그런데도 왜 이렇게 자주 읽게되는 것일까??)
전체적인 맥락에서 무엇을 얻기 보다는
각론에서 한두 구절 쓸만한 것을 건지는 정도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솔직히 처세술 책을 쓰는 저자들에 대해서
과연 그들이 처세를 잘 하는 사람들일지
심히 의구심을 가지고 있다는 점도 있다.
애시당초 도대체 처세술에 전문성이 있다는 것이 뭔 말인가?
이 책의 도발적인 제목을 보았을 때만 해도
'아~ 처세술 책을 팔기 위해 자극적으로 가는군...' 하고 생각했었다.
결론적으로 이야기를 하자면,
소위 리더라고 하는 사람들은 한번 읽어볼만 하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저 높은 곳에 올라가신 리더님들이 아니라
굳이 말하자자면 중간보스들을 위한 책이 아닐까 한다.
즉, 평가권을 가지고 있되 실무에 대한 책임을 가지고 있는 팀장급 정도?
초급 임원까지는 커버를 할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더 아랫급 사람들은 읽어봐야 공자님 말씀일 듯 하다.
이러한 리더십 책은
리더십을 앞으로 배우기 위한 사람들을 위한 책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이미 어느 부분에서 리더이긴 한데
맘처럼 잘 안되고 있는 사람들...
좋은 리더가 되고 싶기는 한데
뭔가 맘과 행동이 따로 놀거나
잘하고 있는 것 같은데 주변 평가가 그렇지 않아
진지하게 스스로에 대한 고민을 이미 해본적이 있어야
책 내용이 와닿을 것이다.
그런 사람들에게 이 책은
고상한 학구파의 리더십 책이 아니라
그야말로 현실적이고 현장이 어느 정도 담겨있는 책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많은 부분에서 현장을 잘 모르는 공자님 말씀이 나오기는 한다.
그래도 이 정도의 내용이면
고민하고 있는 많은 리더들에게 도움이 될만하다고 생각한다.
한번쯤 읽어볼만한 책이라고 생각한다.
12104. 제대로 시켜라 – 쌤앤파커스
일을 하다보면, 일 자체보단 인간관계가 짜증나서 때려치고 싶다는 사람이 많습니다.
뭐... 제 경우는 일도 싫고, 상사인 사장도 싫어서 관두고 싶다는 생각을 하긴 하지만, 대부분은 그럴겁니다. ... 하기는 싫은데, 관둬버리면, 회사자체를 정리해야 되는 분위기. 참 싫습니다. ㅠ_ㅠ
리더십 관련 책을 읽고 서평을 쓰면 이런 넑두리가 그냥 술술 나오는 군요.. 에휴.
인간관계가 짜증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업무와 별 관계없어 보이는 회사내의 정치, 파벌등이나, 별 필요없는 일을 쓸데없이 시키고선 그게 회사의 발전에 있어 정말 필요한 일이라고 착각하는 상사를 보면서 느끼는 짜증이나, 반대로 업무지시를 본인은 제대로 했다고 생각하지만, 어리버리 잘 하지 못하는 부하를 보면서 ... 갈등을 느끼게 됩니다.
어떻게 보면 회사내의 정치, 파벌 외엔 일과 관계되어서 관두고 싶다.. 라는 생각을 느끼게 된다고도 볼 수 있을 듯 합니다.
제대로 시켜라는 이런 갈등을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책입니다.
내용을 보면... 쩝.. 이란 말이 나올 정도로 현실과 안 맞는 듯한 내용도 있지만, 업무지시를 내릴 때 참고하면 충분히 도움이 될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제가 책의 내용을 오독하고 있을 수 있다고도 할 수 있지만, 약간의 문제가 보입니다.
목표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려주라는 말과 자율경영을 응원하라는 말은 서로 상반되는 내용이라는 문제가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알려주라는 장에서는 미주알고주알 확실하게 알려주라고 하고 있고, 다음장에서도 어떻게 해야 되는지 확실히 알려주라고 하고 있는데... 4번째 장에선 자율경영을 응원하라고 합니다...
다르게 생각하면 이해가 가는 부분이 있지만, 충분히 헷갈릴 수 있는 구성인 듯 싶습니다.
잘 이해를 하지 못하는 직원들에게는 구체적으로 알려주고, 핵심인재에겐 알아서 잘 하도록 하면 된다. 라는거죠. 혹은. 일을 공유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목표에 대해서 아주 명확하게 안내하고 어떻게 하는지를 알려주는 것이 필요하고, 자신에게 주어진 일 중 나누는 것이 좋은 부분은 확실한 위임을 하고 간섭하지 말라는 내용으로도 볼 수 있을 듯 싶습니다.
그 외에 일의 노예가 아닌 업의 주인으로 키워라는 내용도 글쎄.. 요즘 상황을 보면 설득력이 떨어지는 듯 싶습니다. 물론 해당업종에서 계속 일을 한다고 전제한다면 그럴수도 있지만, 요즘은 이직이 잦고, 업을 바꾸는 경우도 많은 상황이라, 현실과 조금 안 맞는 부분이 보입니다.
삐딱하게 봐서 아닌 듯 싶은 게 많은 가 봅니다.
그 외 장의 탁상공론하지 말고 전략행동을 훈련시켜라나 순위경쟁 그만두고 기록경쟁 강화하라 장은 참고할 부분이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만족스럽진 않았지만, 부분부분 참고할 부분이 많은 책이니, 일을 잘 시키고 싶은 상사님은 이 책을 제발 활용하셔서 부하직원에게 삽질을 그만시키기를 기원합니다.
>> 나는 냉정만 한 듯 하다. 씨앗을 심고, 이끄는 것 내게 절대적으로 부족한 눈!!!
'모든 이들에게는 알맞은 역할과 책임이 있다. 임원은 임원답게, 팀장은 팀장답게, 자신에게 주어진 소명에 집중해야 한다. 당장 답답한 마음이 든다고 해서, 내가 더 잘할 수 있다고 해서 하위조직의 일을 넘보지 마라. 리더답게, 당신은 더 큰 물에서 놀아라.'
>> 내가 하면 30분. 시키면 하루. 늘 그래왔다. 아오! 내가 하고 말지... 나는 여태 사원의 물에서, 주임의 물에서, 대리의 물에서 열심히 헤엄치고 있었나보다.
'피그말리온 효과에 대비되는 개념으로 '스티그마 효과 stigma effect 라는 것도 있다. 스티그마란 가축의 소유자를 표시하기 위해 찍는 낙인을 뜻한다.피그말리온 효과가 타인으로부터 긍정적인 기대를 받고 그에 부응해 긍정적 행태를 보이는 경향성을 말한다면 스티그마 효과는 그 반대로 타인으로부터 부정적인 평가를 받아 낙인이 찍히면 부정적인 행동을 보이게 된다는 이론이다.'
>> 내가 그 직원을 낙인 찍은 것은 아닐까..? 고래도 칭찬해주면 춤을 춘다는데.... 잘한다! 잘한다! 긍정적으로 칭찬하는 리더가 되어야겠다. '그럴줄 알았어!' '혹시나가 역시나구만!' 이런말.. 하지 말아야 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