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메뉴
주요메뉴


닫기
사이즈 비교
소득공제
사이즈비교 공유하기

어린이집 안전사고 119

[ 개정판 ]
첫번째 리뷰어가 되어주세요 | 판매지수 60
베스트
사범대 계열 top100 3주
eBook이 출간되면 알려드립니다. eBook 출간 알림 신청
분철서비스 시작 시 알려드립니다. 분철서비스 알림신청
1 2 3 4 5

품목정보

품목정보
발행일 2017년 12월 05일
쪽수, 무게, 크기 248쪽 | 457g | 152*224*20mm
ISBN13 9788963051352
ISBN10 8963051358

이 상품의 태그

책소개 책소개 보이기/감추기

목차 목차 보이기/감추기

머리말

PART 1 안전사고, 왜! 어떻게! 일어나는가?
영유아 사고의 의미
영유아의 정의●영유아 사고의 정의●영유아 교육기관 사고의 정의

안전사고, 왜 일어나는가?

안전사고가 났을 때 가장 많이 다치는 곳은?

PART 2 사례로 알아보는 안전사고 법률 기초상식
영유아 교육기관 안전사고에 대한 책임
교실에서의 사고는 누구의 책임인가?●영유아를 책임지는 시간은?●안전사고
처리의 특수성

영유아 교육기관 보육교직원의 책임에 대한 법적 근거
선생님의 ‘채무불이행책임’이 가장 많다!●명백한 ‘불법행위’, 과실이 없어도
책임지는 ‘무과실책임주의’

손해배상책임을 따질 때 고려할 점
형사상은 무죄, 민사상은 손해배상책임이 되는 경우●손해배상책임 유무의 주요
쟁점은 무엇인가?

안전사고 발생 시 아동(친권자)에게도 책임이 있을까?
친권자에게도 일부 과실 책임을 물은 사례●친권자에게는 과실 책임이 없다고
인정한 사례●친권자의 책임은 손해배상책임에서 과실상계를 의미

법률에서 뜻하는 ‘중과실’
선생님의 과실, 판단 기준은?●중과실 여부의 판단 방법●업무상 과실 vs
명백한 중과실

형사책임을 묻는 사례의 증가
선생님 개인에게 형사책임을 물은 사례●형사책임 여부는 업무 범위에 따라
물을 수 있다!

영조물·시설물로 인한 안전사고
영유아 교육기관 안팎의 위험한 시설물을 점검하라●영조물·시설물로 인한
안전사고는 설립 주체가 손해배상책임

안전사고 발생 시 보험금은 무조건 지급될까?
영유아 교육기관과 보험은 불가분의 관계●과실 책임 증거가 보험금 지급의 조건

교육현장에서 발생한 영아사망사고의 손해배상책임
영아돌연사증후군 vs 질식사●재웠을 당시 영아의 자세가 중요하다●똑바로
눕혀 재웠더라도 음식물을 먹인 직후라면 업무상 과실●사고 직후 응급조치의
중요성●손해배상책임이 인정된 사례

가장 중요한 것은 합리적인 손해배상과 사회적 치유

Special Page 1 국가 차원의 대책 마련이 시급한 영아돌연사증후군
영아돌연사증후군에 대한 통계와 매뉴얼의 미흡●영아사망사고의 보험 문제●
선진국의 영아돌연사 대책 마련 사례●국가 차원의 영아돌연사증후군 예방사업 추진

Special Page 2 사별 가족 지원 서비스

Special Page 3 심폐소생술(CPR)

PART 3 안전사고, 철저하게 예방하고 현명하게 대처하자
교사의 역할
등원 시 건강 체크사항
원아 등원 기준●보호자에게 연락을 취하는 기준●건강상태가 악화된 환아를
위한 대응체계 확립 필요●원아 입소 시 참고 가능한 아동 건강상태 조사표

PART 4 아동학대,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아동학대 사고에 대한 오해와 불신
마녀사냥보다는 근본적인 대책 마련을!●고의성이 전혀 없어도 학대가 될 수
있다●원장의 학대행위? 그 뒤의 반전과 진실

학대 개념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부모와의 소통이 중요
체벌이 일상이던 구세대 vs 기준이 바뀐 현대 사회●선생님과 부모 간의 불신
에서 비롯된 상처

CCTV 열람과 분쟁의 2라운드
어린이집 영상정보 요청을 위한 사유●어린이집 영상정보 열람 전 확인해야 할
사항●영상자료 열람을 거부할 수 있는 경우●관계 공무원 등의 열람

선생님이 알아두어야 할 아동학대의 개념과 조치 방안

Special Page 4 새롭게 제기되는 어린이집 안전사고
개인정보·프라이버시 보호 사례●영유아가 가해자가 된 사례

저자 소개 (1명)

출판사 리뷰 출판사 리뷰 보이기/감추기

안전사고, 왜 일어나는가?
안전사고, 누구의 책임인가?
안전사고의 유형과 대처 방법 총정리


이 책은 어린이집 현장에서 일어나고 있는 안전사고를 유형별로 잘 정리하여 안전사고에 대처할 수 있도록 법률적 기초 상식을 알려주고 있다. 실무자와 어린이집 책임자 모두 100퍼센트 숙지해야 할 사항들을 망라하고 있어서 어린이집 보육교직원들에게 유익한 정보를 제공한다. 저자는 보육현장에서 겪은 숱한 경험들은 물론 외국 사례들도 풍부하게 잘 정리해놓았다. 그동안에 어린이집에서 발생한 안전사고를 유형별로 정리하여 어떻게 대처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사전에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했으며, 이 책의 각 테마는 다음과 같다.

PART 1 안전사고, 왜! 어떻게! 일어나는가?
이 파트에서는 어린이집 사고에 대한 정의를 이해하고, 어린이집에서 발생하는 사고의 원인을 알아봄으로써 사전에 사고 발생을 막을 수 있도록 한다.

PART 2 사례로 알아보는 안전사고 법률 기초상식
어린이집 안전사고로 인해 손해가 발생할 경우 책임 문제와 함께 그 손해의 보상을 둘러싸고 보호자와 어린이집 간에는 분쟁이 일어날 수 있다. 이 파트에서는 이런 경우에 어린이집 측과 보육교사에게 어떠한 책임이 추궁되는지와 손해액 산정기준 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PART 3 안전사고, 철저하게 예방하고 현명하게 대처하자
이 파트에서는 어린이집 안전사고 피해 최소화 방안 모색을 위한 보육교직원 수칙, 입소 시 건강 체크사항, 법정전염병에 대해 사전에 충분히 숙지하고자 한다.

PART 4 아동학대,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이 파트에서는 아동학대의 개념에 대해 정의하고, 아동학대의 사례를 통해 학대를 바라보는 우리사회의 변화된 인식에 대해 점검하고자 한다.
  •  쿠폰은 결제 시 적용해 주세요.
1   14,400
뒤로 앞으로 맨위로 aniAla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