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출간일 | 2018년 01월 15일 |
---|---|
쪽수, 무게, 크기 | 164쪽 | 464g | 180*245*11mm |
ISBN13 | 2558073966009 |
출간일 | 2018년 01월 15일 |
---|---|
쪽수, 무게, 크기 | 164쪽 | 464g | 180*245*11mm |
ISBN13 | 2558073966009 |
뉴필로소퍼 NewPhilosopher (계간) : Vol.13 [2021]
14,250원 (5%)
뉴필로소퍼 NewPhilosopher (계간) : Vol.1 [2018] 창간호
14,250원 (5%)
뉴필로소퍼 NewPhilosopher (계간) : Vol.8 [2019]
14,250원 (5%)
뉴필로소퍼 NewPhilosopher (계간) : Vol.15 [2021]
14,250원 (5%)
뉴필로소퍼 NewPhilosopher (계간) : Vol.9 [2020]
14,250원 (5%)
뉴필로소퍼 NewPhilosopher (계간) : Vol.14 [2021]
14,250원 (5%)
디렉토리 Directory (계간) : No.1 [2019] 창간호
14,400원 (10%)
뉴필로소퍼 NewPhilosopher (계간) : Vol.12 [2020]
14,250원 (5%)
6 Editor’s letter 12 News From Nowhere 20 Feature 너무 많은 소통 27 Opnion 우리는 결국 만나지 못했다 34 Feature 소음의 시대, 침묵의 미덕 42 Critic 타인의 고통 48 Essay 혐오를 넘어 소통으로 54 Comic 실존주의적 만화 68 Interview 인간은 왜 웃는 걸까 82 The Daily Truth 88 Feature 페이크 뉴스 94 Critic 합의할 수 없는 의견 100 Opnion 무지를 인정하는 지식인 106 Feature 가상 인물과의 사랑 112 Dear Sir ‘편지’라는 오래전 메시지 114 4thoughts 두 개의 언어를 구사하는 것 | 미디어는 마사지다 | 수화라는 모국어 | 말과 행동의 일치 126 Feature 속마음과 다른 말을 하는 사람들, 아이러니 134 Definition 커뮤니케이션 142 고전 읽기 걸리버 여행기 148 고전 읽기 천재성과 건전한 상식을 내세운 자연적 철학의 함정 150 Coaching 소문에 대처하는 도적적 딜레마 | 도적적 아이들의 질문과 철학자의 대답 154 Our Library 156 Column ‘어려운 말’의 딜레마 166 Interview 나만의 인생철학 13문 13답 |
잡지라고 하면 보통 여성잡지, 정치잡지 이런 선입견 밖에 없고 뭔가 색깔이 저차원적인?? 그런 느낌을 주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런데 이 잡지는 철학잡지라니!!!! 오~~ 하고 놀랬습니다. 우리나라에 철학잡지가 있다니요!! 잡지가 여러권 있던데 제목이 가장 끌리는 것이 <너무 많은 접속의 시대> 참으로 시대 통찰적인 문구라서 쏙 마음이 들었습니다. 그다지 유식한 편은 아니라서, 어려운 내용을 잘 소화해내지는 못하지만 이 잡지는 그렇게 어렵지 않고 잘 읽혔습니다. 시대통찰적인 접근을 통해서 여러가지 생각을 하게 됩니다. 접속이 자랑이고 유능이니 세상이지만 그것이 너~~무 많은 것이 되어버려서 오히려 과유불급인 세상입니다. 이런 철학책을 접하면서 그대로 생각을 하고 뭔가를 고민해보고 역발상으로 생각해볼 수 있어서 좋은 기회였습니다.
이 잡지의 한국판 창간호다. 2013년 호주에서 창간된 계간 잡지인데 우리나라에서는 2018년에 처음으로 발행했나 보다. 최근의 잡지들에 이미 푹 빠져 있던 터라 내용이나 편집에 대해 아무런 불만이 일어나지 않았다. 아니, 오히려 더 좋아졌다고 해야겠다. 이미 이때부터 이 정도의 수준을 갖추고 있었더란 말이지, 나는 모르고 있었고, 몇몇 블로그 이웃님들이 좋다고 하는데도 못 들은 척하고 있었고. 한마디로 내게 철학적 사고력이 없었다는 증거이겠다. 그래도 이제서야 조금이나마, 아주 적으나마 의식의 바탕에 깔기 시작하지 않았나 싶어 마음이 놓인다.
창간호에서 '접속'이라는 주제를 다룬 게 좀 낯설었다. 그보다는 철학의 더 기본적인 메시지를 알려 줘야 하는 게 아닌가 하는 내 식대로의 편견 때문이었을 것이다. 이 또한 내가 알고 있는 바와 모르고 있는 것이 명확하지 않은 혼란에서 비롯된 일임을 책을 넘기고 얼마 지나지 않아 깨닫게 되었지만. 접속이라는 게, 연결이라는 게, 이어지고 끊어지고 끌어당기고 물리치는 모든 일과 시간과 과정이 철학적 사고의 범위 안에 있다는 것을, 우리 인간이 하는 모든 일이 이 속에 있다는 것을, 그래서 철학을 배우고 익히고 탐구하는 게 중요하다는 것까지.
세상 모든 이치가 그러하겠지만 대상이 무엇이든 일방적으로 좋거나 일방적으로 나쁘지는 않을 것이다. 진실을 찾아가는 노력만이, 끝내 도달하지 못하게 되더라도, 내 부족함을 매순간 확인하면서 일깨워나가는 생이어야 한다는 것만이 마음을 사로잡는다. 얼마나 자주 쿵쿵거렸던지, 책이 나를 이렇게 만들어도 되나 싶었다.
한 편 한 편 허투루 읽은 게 없다. 그림 한 조각까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