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발행일 | 2018년 02월 26일 |
---|---|
쪽수, 무게, 크기 | 460쪽 | 672g | 152*225*22mm |
ISBN13 | 9788925563275 |
ISBN10 | 8925563274 |
발행일 | 2018년 02월 26일 |
---|---|
쪽수, 무게, 크기 | 460쪽 | 672g | 152*225*22mm |
ISBN13 | 9788925563275 |
ISBN10 | 8925563274 |
이 책에 쏟아진 찬사 이 책을 쓴 이유 당신의 노화시계를 멈추다 서문 일찍 늙는 사람, 늦게 늙는 사람 PART 1 _ 노화의 열쇠, 텔로미어 01 내 세포 나이는 몇 살일까? 02 긴 텔로미어의 힘 03 늙지 않은 세포의 비밀 텔로미어 재생 실험실 당신의 몸, 마음, 삶의 건강을 위한 실험실 PART 2 _ 내 몸을 늙게 하는 생각 텔로미어 평가 당신의 스트레스 반응 양상 04 스트레스가 세포에 미치는 영향 텔로미어 재생 실험실 자아를 위협하는 스트레스를 줄여라 05 나의 사고 습관과 수명 텔로미어 재생 실험실 자기연민 시간을 가져라 텔로미어 평가 내 성격과 스트레스 반응 06 텔로미어 길이를 줄이는 감정 텔로미어 재생 실험실 3분 호흡 가다듬기 PART 3 _ 지금보다 더 젊게 사는 비결 텔로미어 평가 나의 텔로미어 궤적은? 07 세포를 운동시켜라 텔로미어 재생 실험실 젊음을 유지시키는 심혈관 운동 08 텔로미어도 잠이 필요하다 텔로미어 재생 실험실 다섯 가지 취침 의식 09 오래 살기 위한 최적의 몸무게 10 세포 건강을 위한 식사법 텔로미어 재생 실험실 텔로미어 친화적인 간식 PART 4 _ 평균수명을 늘리는 사회 11 장수하는 사람들과 동네 텔로미어 재생 실험실 유해한 노출을 줄여라 12 텔로미어는 자궁에서부터 시작된다 텔로미어 재생 실험실 임신부를 위한 자궁 관리 13 건강한 텔로미어를 위한 양육법 텔로미어 재생 실험실 아이를 위해 스마트폰을 내려놓아라 결론 세계가 주목하는 텔로미어 효과 감사의 말 상업적 텔로미어 검사에 대하여 옮긴이의 말 주 찾아보기 |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늙고 죽는것에 대한 무의식적인 두려움을 가지고 있지만 숙명처럼 받아들인다. 현대의 많은 사람들도 젊음과 건강을 최대한 오래 유지하려고 많은 시간과 노력 그리고 돈을 쏟아붓지만 그것을 막는것은 정말 어렵다. 과거에는 노화의 원인을 전혀 모르고 막연히 추측하는것이 전부였기 때문에 선사시대 인간들이 번개같은 자연현상을 두려워했듯이 노화 역시 그런 두려움이 자리하고 있었다.
하지만 인간의 세포 노화에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텔로미어의 존재가 알려지면서 이제 노화는 인간이 컨트롤 할 수 있는 영역에 들어왔다. 이 책은 텔로미어를 발견한 공로로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저자의 역작이다. 텔로미어가 갑자기 대중의 관심을 받으니까 너도나도 텔로미어로 한 몫 하려고 약장수들이 많이 등장하지만 이 책은 텔로미어를 전문으로 연구한 세계적인 학자의 과학적인 근거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정독할 가치는 충분하다고 생각된다.
이 책은 텔로미어의 길이와 노화의 상관관계를 효과적으로 이해하기 쉽게 알려주면서 노화에는 수 많은 요소들이 관여하기 때문에 단지 식생활뿐만 아니라 심리적인 부분도 케어를 해야하고, 환경적인 요인 심지어 유전적인 요인까지 관여한다고 구체적으로 밝히고 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 가장충격적인것은 바로 부모의 텔로미어가 짧으면 그 자녀에게 직접적으로 큰 영향을 준다는 팩트였다. 그러니까 태어나자마자 다른 아기들에 비해 훨씬 텔로미어 길이가 짧을 수도 있다는걸 의미한다. 그동안 유전적인 부분은 근대 우생학에 대한 반작용때문에 과학계에서 간과했던 시기도 분명히 있었고, 그런 영향을 받은 나로서는 신선하게 느껴지면서도 약간의 거부감도 드는건 사실이었다. 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과학이 좋다. 처음에 이 책에서 기대했던것보다 더 많은 것을 얻어가는 느낌이 들어 마지막장을 넘길때 뿌듯한 기분이 들었고, 텔로미어에 대해서 좀더 조사해보고 싶다는 동기부여도 얻게된다. 이 분야에서는 정말 양서라고 생각되고, 누구나 꼭 한 번 쯤은 읽어보길 추천하고 싶다.
생물학을 전공했기 때문에, ‘텔로미어’라는 책 제목만 보고서도 이 책은 꼭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인간의 노화는 기본적으로 유전자에 기인하며, 유전자는 우리 몸에 필요한 단백질을 만들어내고, 신체를 유지하는데 평생을 쉬지 않고 일한다. 하지만, 모든 것에는 끝과 한계가 있는 법. 유전자는 활동할수록 그 길이가 짧아지며, 이것이 바로 노화의 근본적인 원인이다.
이 유전자의 길이가 짧아지는 것을 막아 주는 것이 바로 텔로머라제인데, 이 텔로머라제의 양과 텔로미어의 양이 다름이 아닌 생활 습관, 사고 방식의 영향을 받는 놀라운 발견을 설명해주고 있다. 이 책의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는 매우 간단하다. 긍정적인 생각, 운동, 금연, 금주, 균형 잡힌 식단 등이 우리가 더 건강하고 오래 살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그 설명의 방식은 다른 서적들과 다르며, 매우 과학적이고, 유전자의 단위에서 설명을 하고 있다. 우리의 생활습관은 신체에 영향을 미치며, 유전자 단위에서 우리의 노화를 방지할 수 있는 반응들이 일어난다는 것이다.
그래서 늙지 않는 비밀이 뭐야? 라는 질문의 답을 구하기 위해 이 책을 읽는 다면 좀 뻔한 내용에 지루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의 생활 습관이 생물학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고, 어떤 결과를 가져오는지 조금 더 과학적인 근거를 찾고 싶다면, 이 책을 추천한다.
노벨의학상이 밝힌
더 젊게 오래 사는 텔로미어 효과
늙지 않는 비밀
(The Telomere Effect)
저: 엘리자베스 블랙번, 엘리사 에펠
역: 이한음
출판사: RHK
출판일: 2018년 2월26일
우리 몸을 이루는 진핵세포는 복제를 통해서 우리가 죽을 때까지 계속 교체된다. 그렇지만 이러한 복제는 DNA의 끝자락에 위치한 염기서열인 텔로미어 길이에 따라 제한된다. 세포가 복제를 계속할수록, 이 끝나의 텔로미어의 길이는 짧아진다. 대략 60번 정도의 복제를 하게 되면, 세포는 복제를 멈춘다. 이를 헤이플릭 한계(Hayflick limit)라고 말한다. 텔로미어의 또 다른 역할은 이러한 복제과정에서 우리의 DNA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인간을 비롯한 많은 진핵생물의 노화를 이러한 텔로미어 (우리 말로는 단말체라고 부르기도 한다)로 이해할 수 있다. 생각해보면 역사적으로 얼마나 많은 사람이 불로장생을 원했는가? 그 유명한 중국의 진시황제를 제일 먼저 떠올릴 것이다. 그러나 수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제까지 영생을 얻은 사람은 없었다. 다만, 신을 통해서 사후세계에서의 영생을 추구하는 믿음은 여전히 존재하고 있지만.
노화의 과정을 개략적으로나 규명한 지금, 텔로미어에 대한 연구와 관심이 많은 것은 사실이다. 큰 의미가 없을 것 같지만, 개인이 자신의 텔로미어 길이를 측정하는 것까지 가능하다. 다만, 아직까지 연구는 초기 단계로 실제로 인간에게 적용될 수 있는 약품이나 기술이 발견되지는 않았다. 오히려 여러 연구를 통해서 텔로미어를 신장할 수 있는 텔로메라아제 등의 활용이 자칫 무한히 증식하는 암세포를 만들어 낼 수 있는 가능성도 확인되고 있다.
처음 이 책을 접했을 때는 텔로미어에 대한 과학적 발견 및 효능 등에 대한 책이라고 생각했다. 그렇지만 이 책의 공저자인 블랙번과 에펠은 그러한 과학적 사실은 그다지 많이 설명하지 않는다. 여러 연구성과를 소개하면서, 스트레스와 환경에 따라 후천적으로 텔로미어의 길이가 짧아지거나 혹은 길거나 하는 여러 케이스를 소개한다. 결과적으로 더하지도 덜하지도 않는 중용의 상태가 이상적인 상황이며, 삶을 긍정하고 스트레스를 덜 받는 것이 가장 좋은 해결책임을 말한다.
생각해보면, 자신의 마음을 다스리기 위해서 얼마나 많은 명상법과 자기 수련법이 역사를 통해서 이어져왔던가? 그러한 과정을 통해서 우리는 외부로부터의 스트레스를 경감시키고 자신의 마음을 가라 앉혔다. 긍정적인 삶의 태도와 사회적 결속력은 그 어떤 인위적인 조치보다도 당신의 삶을 풍요롭게 한다. 블랙번이 건강심리학자인 엘리사 에펠과 이 책을 같이 쓴 이유를 거기서 찾을 수 있을 것 같다.
어려운 과학관련 서적이 아니다. 이들이 이야기를 하고 있는 내용을 조용히 따라 가면, 결국 우리가 추구해야 삶의 모습은 유사한 것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되는 것 같다. 흥미로운 책이며, 일독을 권해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