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출간일 | 2018년 04월 03일 |
---|---|
이용안내 ? |
|
지원기기 | 크레마,PC(윈도우),아이폰,아이패드,안드로이드폰,안드로이드패드,전자책단말기(일부 기기 사용 불가),PC(Mac) |
파일/용량 | EPUB(DRM) | 45.54MB ? |
글자 수/ 페이지 수 | 약 10.3만자, 약 3.3만 단어, A4 약 65쪽? |
ISBN13 | 9788974839260 |
출간일 | 2018년 04월 03일 |
---|---|
이용안내 ? |
|
지원기기 | 크레마,PC(윈도우),아이폰,아이패드,안드로이드폰,안드로이드패드,전자책단말기(일부 기기 사용 불가),PC(Mac) |
파일/용량 | EPUB(DRM) | 45.54MB ? |
글자 수/ 페이지 수 | 약 10.3만자, 약 3.3만 단어, A4 약 65쪽? |
ISBN13 | 9788974839260 |
현대사 최대의 비극 제주4·3 70주년 개정판 그것을 모르고서는 역사의 한 줄도 나아가지 못한다! 기억하라, 3만여 명의 애절한 통곡을! 되새겨라, 저항과 아픔의 역사를! 제주4·3 70주년 아직도 4·3을 모른다 하십니까? 입 막고 눈 감고 머리 숙이고 살아온 셀 수 없이 긴 시간. 부모형제 일가친척의 죽음에 눈물은커녕, 제사조차 숨어 지내야 했던 시간들. 영혼조차 자유를 얻지 못했던 그 긴 세월, 살아남은 자와 죽은 자는 이제야 그 자리에서 통곡할 자유를 얻었다. 그렇다고 ‘4·3’이 침묵 속에 억울함과 슬픔을 넣어두었던 것만은 아니다. 1960년 4·19에서 시작된 ‘역사 바로 잡기’는 5·16쿠데타에 꺾이고 유신체제와 군사독재정권에 짓눌렸으나 결국 1987년 6월항쟁을 거치면서 그 목소리를 높여갔다. 2000년 ‘제주4·3특별법’이 제정되고 2003년에 ‘국가에 의한 양민 학살’이라는 진상 보고서가 채택된다. 이에 국가를 대신한 노무현 대통령이 사과 성명을 발표하고 66주기에 ‘국가 추념일’로 지정된 뒤, 또다시 찾아온 침묵의 시간이 흐르고 드디어 2018년 70주년을 맞으면서 다시금 통곡할 자유와 역사의 한 줄을 나아가기 위한 준비를 마쳤다. 70주년을 맞아 제주4·3연구소 소장이자 시인인 저자 허영선 작가가 덧붙인 ‘자서’에 제주4·3의 과거와 현재와 미래가 함축적으로 담겨 있다. |
제주4·3, 70주년에 다시 쓰는 자서 추천사 들어가기 전에_4·3을 묻는 너에게 들어가며_슬픔과 찬란함의 두 얼굴, 제주도 01 섬, 민중의 뿌리 해방의 첫발 섬 전체가 하나의 요새 “우리 일은 우리가 한다” 대흉년, 넘기 힘든 보릿고개 02 폭풍 전야 관덕정 광장을 울린 총성 총파업! 탄압, 저항의 불꽃 03 폭풍 속으로 1948년 4월 3일! ‘메이데이’ 04 잠 못 이루는 섬 거역하는 한라산 섬은 캄캄한 요새, 해안선을 봉쇄하라 포고령 “해안선으로부터 5킬로미터!” 젊은 것이 죄 05 아, 슬픈 중산간 초토화 작전, 중산간 마을 휩쓸다0 계엄령! 동백꽃 목숨들 일본으로 떠나는 사람들 일본에서 돌아와 죽은 사람들, 떠난 사람들 영원처럼 길었던 겨울 06 한국전쟁의 회오리 예비검속, 되살아난 광풍 수형인, 행방불명된 사람들 한라산의 빗장 열리다 두 얼굴의 미국 07 집단학살, 증언들 “차마 사람이 사람을 죽이랴” 광풍, 사라진 사람들 아! 북촌리, 통곡할 수 없는 슬픔 08 아동과 여성, 그 숨죽인 고통 아이들은 시든 꽃잎처럼 아이를 가슴에 묻은 여인들 지독한 슬픔 만삭의 여인들, 그 숨죽인 고통 생애 가장 길었던 날의 기억 09 4·3 그 후 끝나지 않은 4·3, 그 후유증 고문, 삶을 비틀다 그래도 희망의 얼굴은 있었다 다시 봄날에 글을 마치며 구덩이에 묻힌 진실 평화와 인권의 세기를 나가는 여정 마침내 국가가 답한 4·3희생자추념일 제주 섬, 평화의 근거지 다시 봄날에… 슬픔 뒤의 미소를 떠올리며 참고 문헌 제주 4·3 주요 일지 4·3 답사기_4·3의 흔적을 따라 걷는다 지은이의 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