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발행일 | 2018년 05월 22일 |
---|---|
쪽수, 무게, 크기 | 244쪽 | 316g | 128*188*20mm |
ISBN13 | 9791188982196 |
ISBN10 | 1188982192 |
발행일 | 2018년 05월 22일 |
---|---|
쪽수, 무게, 크기 | 244쪽 | 316g | 128*188*20mm |
ISBN13 | 9791188982196 |
ISBN10 | 1188982192 |
프롤로그 - 5 1부 。 제 인생이 그렇게 슬프진 않은데요 암 환자는 서로를 닮아간다 - 13 감정이입의 패러독스 - 16 거울 앞에 선 동양인 볼드모트 - 19 징징이를 받아주는 세상은 없다 - 23 잠에서 깨면 언제나 보라색 초승달 - 26 세상은 어쩐지 블랙코미디 - 31 꺼져가는 조명처럼 나를 기억해줘요 - 35 내 비장의 무기는 아직 손 안에 있다 - 38 아니, 내 말은 그게 아니라 - 46 아포가토의 마음가짐 - 51 안전하게 넘어지는 법 - 55 무관심이 때로는 위로가 된다 - 57 실험실 생쥐의 분노 - 62 지구를 위협하는 악당은 항상 영어를 쓴다 - 66 생각을 그만둔 사람의 하루 - 69 추억은 꽃잎이 되어 흩날리고 - 73 안녕? 안녕! - 76 무균실의 나날들 - 81 샴푸에 치약을 섞어 먹는 느낌 - 87 왜 이겨내야 하는 걸까 - 90 꽃을 버리는 방법 - 94 마스크를 벗는 시간 - 98 이상한 나라의 암 환자 - 102 소소한 일기 - # 병원편 - 106 2부 。 프로아픔러가 사는 법 진주 향이 나는 첫사랑 - 115 현모양처라는 꿈 - 121 그녀의 연애를 응원하고 있다 - 129 친구야, 사는 게 뭘까 - 139 말을 조심해서 생기는 사고는 없다 - 147 어떤 이가 슬플 때, 누군가는 웃는다 - 153 산 자들의 위로가 오가는 자리에서 - 160 모두가 모두를 잊어간다 - 165 상처를 뜨거운 물로 지지면 - 170 비 냄새는 어떤 냄새일까 - 173 양배추 샐러드 관계 - 178 잘생김은 이번 생에 과감히 포기한다 - 185 멍 때리다 내디딘 삶의 한 발짝 - 190 누군가의 뭔가가 된다는 것 - 200 별들처럼 수많은 가능성 - 206 부지런히 살 마음이 딱히 안 드는데요? - 212 살아간다는 것은 대체로 슬픈 일이다 - 220 역시 말랑말랑한 것이 좋아 - 227 소소한 일기 - # 일상편 - 234 에필로그 - 241 |
12월 24일 성탄전야, 22살의 청년은 혈액암 판정을 받는다. 나름 운 좋은 녀석이라 여겼던 청년은 코 언저리에 발병한 암덩어리 때문에 코가 녹아없어지고 그 후 '잘생김은 이번 생에 과감히 포기'했다. 청년은 그 후로도 잘 살려고 노력했지만, 투병과 재발 그리고 항암 등으로 10년여를 보낸다.
항암으로 망가진 얼굴에 수차례 성형 수술로 포기한 것은 비단 '잘생김' 뿐 아닐 것이다. 펄펄한 청년이 환자가 되어 겨는 삶과 죽음, 만남 그리고 헤어짐 거기에 사랑과 외로움까지...오늘은 죽도록 아프지만 내일은 좀 덜 아프기를 바라는 지금, 한 줄 한 줄 써내려간 글들이 책으로 엮였다. 그가 느끼는 순간과 한 시간, 하루는 어떨까? 그가 생각하는 삶은 무엇일까? 궁금함에 펼쳤다.
하지만 이렇게 생겨먹은 인간이라도 사람에게 상처받고 운명에 배신당할 때 마다 피난처가 되어줄 무언가는 필요합니다. 암 환자로 살아간다는 것은 마치 뜨거운 커피가 가득 담긴 머그컵을 머리 위에 올려놓고 생활하는 것과 비슷한 느낌이니까요. 언제 병이 재발할지, 언제 죽을지 문득문득 심장이 철렁 가라앉는 기분이 불현듯 찾아오는 상태로 평생을 살아가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저는 피난처로서의 글을 쓰기 시작했습니다.
지난 해 이젠 형제만큼 친한 아우가 된 신경외과 의사와 함께 한 술자리에서 이렇게 물었다. "너에게 죽음은 무엇이냐?" 정지화면 같은 표정으로 잠시 있더니 말했다. "내 환자는 최대한 늦게 만나게 하고 싶은 순간이요." 누군가는 삶과 죽음 사이에서 외줄을 타는 직업이 의사라고 했다. 격하게 공감한다. 하지만 굳이 직업이 아니더라도 의사가 될 만큼 성인이 되지 않은 나이라도 삶과 죽음의 경계를 넘나드는 사람들이 환자다.
더 분한 것은 이 아픔이 원통하고 억울해서 눈물을 찔끔 흐려도 세상은 알아주지 않는다는 것이다. 몸이 불타거나 어디가 잘려나간 것은 아니니까. 물론 누군가에게 처참히 살해된 것도 아니다. 난 어찌되었든 ‘치료’중이고, 나아지는 중이니까.
아픈 일도 많고 힘들었던 일도 많아서 자세를 고쳐잡고 앉아 끊임없이 떠들어대고 싶지만 애써 참는다. 어차피 사람은 타인의 고통을 온전히 공감할 수는 없다. 인간의 무의식이 자기방어를 위해 공감을 거절한다. 인간은 그렇게 태어났다. 아무리 비참한 비극이라도 반복해서 듣게 되면 결국에는 남자의 군대이야기를 듣는 것처럼 지루해져 버린다. 징징이를 받아주는 세상은 없다. 그러니 입을 꾹 다물고 참는 수밖에.
쓰고 나니 나란 인간이 참 삐뚤어져 보이지만, 그만큼 병원 생활이 고통스러웠기 때문이라고 이해해주었으면 한다. 너무 고통스러워서 약에 취해 눈이 감길 때면 ‘아....이 정도로 아프니까 오늘밤에는 결국 죽겠구나. 아무렴, 몸이 이런 고통을 견딜 리가 없지. 안녕 세상아. 안녕 어머니’라는 생각을 하다가 ‘아차, 마지막으로 세상에 남긴 말이 간호사에게 건넨 <아니요, 이틀째 똥을 못 눴어요> 따위로 인생이 끝나는 건 아무래도 부끄러운데. 아 이젠 그런 부끄러움 따위는 상관없으려나’ 같은 생각을 번갈아하며 잠들었지만, 다음 날 아침이면 어김없이 눈이 떠지곤 했다.
이렇게 아플 바에야 빨리 죽어버리고 싶은데 절대 죽어지지는 않는다. 젠장, 아무리 죽을 의욕이 넘쳐도 몸은 아직 팔팔한 20대이다. 암에 걸린 몸이지만 튼튼하다. 미묘하다. 정말이지 주인을 닮아서 엉성하고 짜증나게 하는 애매한 몸이다.
사는 것이 못 견디게 지겨웠다. 지독하게 재미없는 영화의 엔딩 크레디트를 기다리느 느김으로. 하루에도 몇 번씩 죽을 궁리만 했다. 하루는 공기를 주입해서 수백 며을 죽인 미국의 사이코패스 간호사에 관한 글을 읽고서, 간호사가 주사를 놓을 때마다 ‘설마?혹시?’하는 기대를 품곤 했다. 그렇게 죽고 싶었어도 자살을 할 용기 따위는 없었다. 아픈 것이 싫어서 죽고 싶었는데 자살을 하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이 아파야 한다. 그건 좀 아이러니하다.
자살도 용기가 있어야 한다.
많은 사람이 고통을 견딘 나에게 수고했다고 말하지만, 사실은 별것 없다. 단지 자살할 용기가 없었기 때문에 자연사하기를 기다리고 기다리다 나도 모르게 살아버린 것이다.
그저 하루하루 아프다 보니 어느새,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 평화롭고 조용한 일상으로 되돌아와 있었다. 어쩌면 삶도 병원 생활과 같을 수 있다. 대단한 사건 없이 그저 하루하루 끈적끈적하게 버티어 나가다 보면, 문득 조용히 성장해버린 자신을 발견하게 되는.
항암치료가 끝을 알 수 없이 길어지면서 ‘비굴이’는 결국 이모네에서 아버지의 지인분이 운영하시는 공장의 앞마당으로 쫓겨나듯 보내졌다.
“비굴이는 친구 공장에 있는 앞마당으로 보냈다. 얼마 전에 가봤는데 좋은 곳이더라.”
병실의 침대에 누워있을 때, 아버지에게 지나가 듯 들었던 마지막 소식은 몇 년이 지난 지금도 날 욱신거리게 한다. 처음으로 무언가를 떠나보내는 경험이었다. 나는 언제든 떠날 준비를 해야 하는 사람이었고, 그래서 헤어지는 것에 대체로 의연한 사람이라고 생각했는데, 떠나는 자보다 떠내보내는 사람의 슬픔이 훨씬 괴롭고 지독하고, 아려온다는 걸 느꼈다. 그것은 마치 마음에 새겨진 주홍글씨처럼 쉽사리 지워지지 않는 낙인으로 남아버린다.
부디 나와의 이별은 낙인보단 상처처럼 남았으면 하는데....시간이 지나고 세월이 흐르면 저점 아물어가고 사라져 가는 그런 기억이었으면 좋겠는데, 만약 내가 떠난다면, 남아있어야 할 모든 것들에게 미안한 마음뿐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느낀 한 문장은 이거다. '투병도 인생이더라'.
아프다고 해서 인생을 잘못 살았던 것도 아니고, 투병이 죄는 결코 아니다. 투병도 인생인데 몸이 괴로운데 마음까지 괴로울 수는 없지 않을까. 이 책을 읽는다면 환자 스스로 가져야 할 마음가짐이고, 환자를 돌보는 가족의 마음가짐이어야 할 것이다. "결국 인생의 중요한 해답은 스스로 찾을 수 밖에 없지만 그런 울적함이 찾아올 때, 이 책이 여러분에게 아주 약간이나마 힘이 되었으면 좋겠다."고 저자는 당부했다. 우울할 땐 나보다 더 우울한 사람의 이야기를 들으면 기분이 나아진다. '이런 사람도 있는데, 뭐'하는 걍퍅한 위로감 때문일 것이다. 그렇다고 미안해 할 건 없다. 원래 인간은 그리 생겨먹었으니까. 저자도 바랐으니 이 책으로 위로받기를.
나는 원래 리뷰의 제목에 여러가지 추천 문구를 다는데, 이 책은 추천 문구를 무엇으로 달아야 할지 잘 모르겠다. 여러가지로 고민해 보았으나 결론이 나지 않아 그냥 간단히 에세이 추천이라고 적었다.
내가 그동안 흔히 접해온 에세이들은 대부분 일상 이야기, 소소한 행복, 인생이란 다 그런거지 정도의 느낌이었다.
그런데 이 책은 그동안 읽은 에세이들과는 좀 다르다.
우선 "20대 암환자가 쓴 자전적 에세이"라는 점에서 분야가 달라진 기분이 든다.
내가 이 책을 처음 접한건 지난 겨울 네이버 출간 전 미리보기 페이지를 통해서였다.
본인을 암 환자, 그것도 예후가 좋지 않은 20대의 혈액암 환자라고 소개하면서, 의사나 간호사에게 시시한 농담을 던지는 사람.
담배피고 있는 의사에게 암 걸린다고 이야기했더니 불길해 하더란 일화도 있고, 초음파 검사를 하는 간호사에게 '우리 아이는 몇 주나 되었나요'라고 농담을 던졌으나 받아주지 않아 상처받았다는 이야기 등등. 암환자라고는 믿기지 않을 정도의 유쾌함이었다.
그래서 굉장히 인상깊고 충격적이었다. 이 책은 꼭 기다렸다가 도서관에서 빌리는게 아니라 사서 봐야지 라고 결심하게 만들었다.
책은 200페이지 남짓한 짧은 분량이지만, 챕터마다 몇 페이지 되지 않는 짧은 이야기이지만, 한 문장 한 문장 생각에 잠기고 여운에 빠지게 하는 문장들로 이루어져 있었다.
p.21 사람들이 내 얼굴을 바라보면서 "아이고, 얼굴을 봐. 얼마나 고생을 했으면" 혹은 "누군지 알아보지도 못하겠네"따위의 말을 내뱉는 건 왠지 부아가 치민다....볼트모트도 이런 느낌이었을까. 그의 삐뚤어진 성격이 이해가 된다...나는 악당에게 매력을 느끼는 사람이 되어버렸다.
볼트모트는 영국 소설 해리포터에 등장하는 악역이다. 얼굴이 뭉개지고 특히나 코가 없는 그의 모습을 많이들 접해봤으리라 생각한다. 저자는 코에 혈액암이 발병하여 코 뼈를 모두 긁어내고 수차례의 성형수술을 해야했다. 그런 그의 상황을 알고나서 이 문장을 멍한 머리로 여러번 읽어보았다. 과연 내가 그의 입장이었다면 어땠을까? 볼트모트가 이해가 가고 응원하게 된다는 유쾌한 말투.. 나는 도저히 그렇게 유쾌하게 표현할 수 없을 것 같다. 저자가 07학번으로 대학교에 입학했었다고 했으니 나와 비슷한 또래일텐데 20대 초반에 암투병과 더불에 외모까지 잃고 나면 나는 과연 어떻게 대응했을까? 본래도 타인의 이목을 많이 신경쓰고, 남들과 다르게 튀는 것을 싫어하는 나는 굉장히 견디기 힘들지 않았을까 싶다.
p.25 어차피 사람은 타인의 고통을 온전히 공감할 수는 없다... 징징이를 받아주는 세상은 없다. 그러니 입을 꾹 다물고 참는 수밖에.
결국 사람은 자기자신이 우선이고, 타인의 큰 아픔보다 내 작은 아픔이 더 크게 느껴진다는 말을 살면서 수도 없이 들었던 말이다. 그런데 이 문장을 읽고 내가 그동안 이 말을 글자만 이해했을 뿐 진짜 이해하려고 노력했던 적은 없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결국 내 아픔은 내가 견디고 소화해내야지 타인이 해줄 수 있는 것은 없다는 것. 어려운 상황에서 유쾌함을 잃지 않는 그의 문장은 어쩌면 이러한 깨달음에서 비롯된 것일지도 모르겠다.
p. 27 매번 가리고 있으니까, 외면하고 있으니까 더욱 두려웠던 것이다. 아픔은 눈을 똑바로 뜨고 정면으로 냉철하게 마주 보면 생각보다 이겨내기 쉬워진다.
나는 평소 겁이 참 많은 사람이다. 생각이 많고 복잡한 편이라 일어날 수 있는 온갖 부정적 결과들을 모두 떠올리느라 시도하지 못하는 것들이 참 많다. 그런데 부정적 결과를 떠올리고 두려워하기 전에 우선 먼저 똑바로 마주하면 생각보다 쉽게 해낼 수 있는 일들이 많이 있다. 매번 행동해야지, 실천해야지 다짐하면서도 고민이 앞서 움직이지 않은 일이 많은데, 저자의 글을 읽고 다시 한번 우선 마주하고 도전해볼 것을 다짐하게 되었다.
p.103 인간은 태어나면서 양손 가득 금가루를 쥐고 태어난다. 하지만 내가 할 수 있는 일이라고는 고작 손을 꽉 움켜쥐어서 손틈 사이로 세차게 빠져나가는 금가루들의 속도를 조금이라도 늦추기 위해 애쓰는 것 뿐이다.
나는 일반 서민 가정에서 태어났다. 때문에 오래전부터 유행하는 흙수저 논란에 동의해왔었다. 그런데 이 문장을 읽고 내가 양손 가득 쥐고 태어난 것들에 대해 새삼스레 떠올리게 되었다. 특출난 건 아니지만 불행하지도 않은 가족관계, 사지 멀쩡한 몸, 그래도 노력한 만큼의 결과는 가져다 주는 머리, 예민하고 소심하지만 갈등을 일으키지 않는 배려적인 성격. 내가 그동안 불평불만을 가져왔던 나의 평범함은 사실 내가 가지고 태어난 축복일지 모른다. 비교하는게 옳은 건 아니지만, 세상에는 분명히 나보다 더 힘들고 어려운 환경에 처한 사람들이 많으니까, 그에 비하면 나는 행복한 사람일지도 모른다. 내가 가지지 못한 것들을 욕심내기 전에 내가 손에 쥐고 있는 것을 먼저 지킬 생각을 한다는 발상은 한 번도 해본 적이 없었다. 그러나 계속 잃는 것만 하는 인생을 먼저 깨달은 저자덕분에 나 또한 간접적으로나마 새로운 깨달음을 얻을 수 있었다.
사실 리뷰에 복기한 문장 이외에 내가 이 책을 읽으면서 표시한 문장들이 굉장히 많다.
저자는 항암치료과정을 거치면서 써온 일기를 다듬어서 엮은 책일 뿐 거창한 것이 아니라고 이야기하지만, 나는 책을 읽으면서 감동하기도 하고 반성하기도 하고, 저자의 생각에 놀라기도 하고, 그의 유쾌함에 같이 웃기도 하였다.
신기하게도 암이라는 무거운 소재가 담겨있는데 마냥 우울하지도 않고, 가볍기 그지없는 유쾌함도 아니다. 적당한 유쾌함을 두르고 있지만 본질은 놓치지 않는 매력이 있는 책이다.
저자가 힘든 길을 걸어오며 적은 글인만큼 여러가지 가치로 빛나는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