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출간일 | 2019년 02월 04일 |
---|---|
쪽수, 무게, 크기 | 448쪽 | 183*235*30mm |
ISBN13 | 9791162241462 |
ISBN10 | 1162241462 |
출간일 | 2019년 02월 04일 |
---|---|
쪽수, 무게, 크기 | 448쪽 | 183*235*30mm |
ISBN13 | 9791162241462 |
ISBN10 | 1162241462 |
하이퍼레저 패브릭의 힘으로 블록체인 기반 분산 원장 구축하기 하이퍼레저 기술을 이용해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데 꼭 필요한 지식을 다루는 참고서. 하이퍼레저 패브릭 개발을 주도하는 IBM 블록체인 팀의 노하우를 담았다.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하이퍼레저 패브릭을 환경 설정하는 법, 하이퍼레저 패브릭의 구성 요소, 프라이빗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앱을 구축하는 환경 설정, 스마트 계약 구현, 탈중앙화 앱 개발 및 배포 등을 살펴본다. 네트워크와 앱을 밑바닥부터 구축해보며, 통합 및 확장 등 블록체인 실무 문제 해결 능력도 기를 수 있다. |
CHAPTER 1 블록체인: 기업과 산업의 관점 __1.1 용어 정의 - 블록체인이란? __1.2 블록체인 프레임워크의 4가지 핵심 구성 요소 __1.3 안전한 트랜잭션 처리 프로토콜의 기초 __1.4 블록체인 기술의 현재와 미래 __1.5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는 산업 __1.6 기업에서의 블록체인 __1.7 기업형 설계 원칙 __1.8 블록체인 프레임워크를 선택하기 위한 비즈니스 고려 사항 __1.9 블록체인 프레임워크 선택을 위한 기술적 고려 사항 __1.10 확장 가능성을 위한 기업 통합 및 설계 __1.11 기타 고려 사항 __1.12 마치며 CHAPTER 2 하이퍼레저 패브릭 알아보기 __2.1 개방형 컴퓨팅 기반 구축 __2.2 하이퍼레저 프레임워크, 도구 및 빌딩 블록 __2.3 하이퍼레저 패브릭 구성 요소 설계 __2.4 하이퍼레저 패브릭 - 예제 트랜잭션 __2.5 하이퍼레저 패브릭 알아보기 __2.6 블록체인으로 운영되는 비즈니스 네트워크의 거버넌스 이해 __2.7 마치며 CHAPTER 3 비즈니스 시나리오로 무대 설정하기 __3.1 무역과 신용장 __3.2 비즈니스 시나리오 및 용례 __3.3 개발 환경 설정 __3.4 네트워크 구성 요소의 설정 파일 __3.5 무역 네트워크 예제 실행하기 __3.6 마치며 CHAPTER 4 Go 언어로 데이터 및 트랜잭션 모델 설계하기 __4.1 체인코드 개발 시작하기 __4.2 체인코드 생성하기 __4.3 접근 제어 __4.4 체인코드 기능 구현 __4.5 체인코드 테스트 __4.6 체인코드 설계 토픽 __4.7 로깅 출력 __4.8 마치며 CHAPTER 5 네트워크 자산과 트랜잭션 노출시키기 __5.1 완벽한 응용프로그램 구축 __5.2 기존 시스템 및 프로세스와의 통합 __5.3 마치며 CHAPTER 6 비즈니스 네트워크 __6.1 목적을 가진 활동의 세계 __6.2 비즈니스 네트워크의 정의 __6.3 참여자란? __6.4 자산이란? __6.5 트랜잭션이란? __6.6 이벤트: 컴포저를 이용한 비즈니스 네트워크 설계의 관점 __6.7 비즈니스 네트워크 구현 __6.8 마치며 CHAPTER 7 비즈니스 네트워크의 예 __7.1 신용장 예제 __7.2 신용장 프로세스 분석 __7.3 비즈니스 네트워크 기술 __7.4 비즈니스 네트워크 모델 __7.5 라이브 네트워크 검사 __7.6 비즈니스 네트워크 API 생성 __7.7 마치며 CHAPTER 8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의 애자일 __8.1 프로모션 프로세스 정의 __8.2 지속적 통합 파이프라인 구성 __8.3 깃 저장소 설정하기 __8.4 종단간 프로세스 테스트 __8.5 네트워크 업데이트 __8.6 마치며 CHAPTER 9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수명 __9.1 하이퍼레저 패브릭 응용프로그램 수정 또는 업그레이드 __9.2 시스템 모니터링 및 성능 __9.3 마치며 CHAPTER 10 거버넌스, 규제 산업의 필요악 __10.1 탈중앙화와 거버넌스 __10.2 비즈니스 모델 탐색 __10.3 비즈니스 네트워크에서 거버넌스의 역할 __10.4 비즈니스 도메인 및 프로세스 __10.5 거버넌스 구조 __10.6 거버넌스 및 IT 솔루션 __10.7 마치며 CHAPTER 11 하이퍼레저 패브릭 보안 __11.1 보안에 영향을 미치는 하이퍼레저 패브릭 설계 목표 __11.2 하이퍼레저 패브릭 아키텍처 __11.3 네트워크 부트스트랩 및 관리 - 보안을 향한 첫 단계 __11.4 강력한 신원 - 하이퍼레저 패브릭 네트워크의 보안 핵심 __11.5 체인코드 보안 __11.6 일반적인 위협 요소 및 하이퍼레저 패브릭이 이를 완화하는 방법 __11.7 하이퍼레저 패브릭과 양자 컴퓨팅 __11.8 GDPR 고려 사항 __11.9 마치며 CHAPTER 12 블록체인의 미래와 앞으로의 과제 __12.1 주요 하이퍼레저 프로젝트 요약 __12.2 블록체인의 미래 __12.3 참여를 통해 만들어나가는 하이퍼레저 블록체인 __12.4 마치며 한국어판 부록 A: 하이퍼레저 패브릭 릴리스 노트 분석 (맹윤호) 한국어판 부록 B: 하이퍼레저 컴포저의 패브릭 버전 지원 (맹윤호) |
블록체인 구현에 대해서 완전 초보인 내가 갑자기 블록체인이 구현해 보고 싶은 생각이 들어서 관심 가지게 된 책이다. 블록체인 중에서도 하이퍼래저는 IBM이 주도적으로 개발한 플랫폼이다. 하지만 IBM이 컴포저 개발을 주도하던 때와는 다르게 페브릭에 더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는 점이 버전 파편화라는 오픈소스의 단점을 가져오게 되지는 않을까 우려된다. 일단 이 책은 비즈니스 네트워크의 관점으로 실제 예제들에 대해서 시나리오를 자세히 설명해 주고 전체 과정을 큰 그림으로 볼 수 있게 해 주는 책이다.
큰 그림으로 과정을 볼 수 있게 소개한 책 내용
특히 7장부터는 실제로 하이퍼레저를 동작시키는 화면들을 하나 하나 캡처해서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물론 예제에 사용되는 앨리스와 밥, 마티아스, 엘라 등은 여러 예제에서 자주 등장하는 주인공들이고 내용도 어떻게 보면 초보자가 이해하기 쉽게 평이한 내용으로 공감할 수 있는 내용을 적었다.
신용장을 만들어서 처리하는 방법, 지갑을 만들어서 처리하는 방법 등 다양한 냉요에 대해서 순서대로 따라할 수 있는 형식으로 되어 있고 특히 자바스크립트나 REST서버 SWAGGER API등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또한 애자일 데브옵스에 맞춰 파이프라인을 구성하고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자동으로 실행을 조정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이 책은 블록체인 책이지만 리눅스 시스템이나 플랫폼 성능 등 IT 전분야에 걸쳐 다양한 내용을 소개하고 있다. 따라서 기초 상식을 넓히기에도 매우 좋은 책이다.
책의 내용을 너무 많이 소개할 수는 없지만 기반지식을 쌓기에 좋은 책이고 GO언어와 자바스크립트 등은 몰라도 상관없지만 미리 알고 있으면 도움이 될 수 있다.
일단 이 책은 요즘에 유행하고 있는 하이퍼레저를 기반으로 한다.
사실 유행하고 있기는 하지만 작년에 비해서는 한풀 꺽인 듯한 느낌이 드는데, 그것은 블록체인이 가지고 있는 암호 화폐의 기능만 중점적으로 봐서 그런 것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나는 작년 쯤해서 비트 코인 말고 다른 코인들을 부르는 말이 알트코인이라는 이야기를 들었는데, 그 세계는 거의 주식시장 처럼 동작하는데, 여기서 한가지 간과한 부분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화폐의 기능 말고, 블록체인이 가지고 있는 본연의 기능에 주목해야 할 시점이라고 생각한다.
프레임 워크가 제대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프레임이 적절하게 동작하게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데, 아직 그럼 시스템에 주목하지 않고, 암호화폐의 기능에만 중점을 둔 것이 작년하고 올 하고의 블록체인 시장의 분위기가 아닐까 한다.
각설하고, 이 책은 프라이빗 블록체인의 한 프레임 워크라고 할 수 있는 하이퍼레저의 기능에 충실하게 서비스를 구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작년에 수업시간에 웰렛을 만들어 볼 기회가 있었는데, 이런 내가 저장하는 나의 개인 지갑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다만 잊어버리면 찾아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전혀 없다. 비밀번호를 저장한 것을 잊어 버린 사람들이 그냥 웰렛 기능을 가지고 있는 저장매체나 PC를 보유하고 있는 것은 이상한 일이 아니다.
3장부터는 이러한 구성을 구성데로 설명하고 있다.
다만 처음 시작하는 사람에게는 조금 어려울 수 있는데, AWS 를 통해서 가상의 서버를 3대 구성해서 테스트를 해보고 있었지만, 역시나 구성은 쉽지 않았다.
이런 구성을 스터디 같은게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는데, 그런 스터디는 찾기 쉽지 않았다.
그리고 책 후반부에 그리고 전편에 걸쳐서 설명하고 있는 분산 원장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내가 쓰고자 하는 석사 논문은 과연 블록체인 OS를 우리가 생각하고 있는 TPS 개념으로 보아도 정상적으로 볼수 있는지 여부인데, 쉽지가 않았다.
왜 이런 이야기를 하냐하면, 서버의 스팩을 올린다고 해도 응답속도가 개선되거나 오히려 어플리케이션에 따라서 좀 더 반환값이 느린 시스템을 목격해왔기 때문이다.
스텝 바이 스텝을 하기에는 좀 어려운 책이긴 하지만 그렇다고 하더라도, 책에 있는 내용을 조금씩 숙지하면 좀 더 좋은 프라이빗 블록체인 그 중에 하나인 하이퍼레저를 개발 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