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출간일 | 2020년 04월 23일 |
---|---|
쪽수, 무게, 크기 | 612쪽 | 1210g | 190*245*35mm |
ISBN13 | 9788931526479 |
ISBN10 | 8931526474 |
출간일 | 2020년 04월 23일 |
---|---|
쪽수, 무게, 크기 | 612쪽 | 1210g | 190*245*35mm |
ISBN13 | 9788931526479 |
ISBN10 | 8931526474 |
전기기사(산업) 수험생 및 비전공자, 제2의 직업 전기 일을 위한 전기이론+실무 기초 입문서이다. 저자는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전기에 대한 막연함과 어려움에서 벗어나 전기에 대한 호기심을 소재로 좀 더 쉽고 재미있게 이해시키며 전기에 대한 지식을 전달하는 데에 중점을 두고 이 책을 집필하였다. 기초 전기이론부터 차근차근 서술하고 이러한 이론이 실무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 개념부터 알기 쉽게 설명했으며, 어려운 단어 사용을 가능한 한 지양하고 개념을 풀어 써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
Prologue / Character / Intro Ⅰ. 전기의 기본이론 01 우리나라의 전압이 110V에서 220V로 바뀐 이유는? KEY WORD : 전압, 기전력, 전압강하, 전력손실, 전원단자, 옴의 법칙, 전력, 전력량 02 전류란 무엇이며, 전선과 어떤 관계인가? KEY WORD : 전류, 원자, 전자, 전하, 정전기, 쿨롱의 법칙, 전선, 허용전류, 전선굵기와 온도 03 직류(DC)와 교류(AC)의 차이점은? KEY WORD : 직류, 교류, 표피효과, 주파수, 각주파수, 실효값, 순시값, 최댓값, 평균값 04 전기히터가 불꽃도 없이 주변을 따뜻하게 하는 이유는? KEY WORD : 저항, 직렬, 병렬, 합성저항, 키르히호프 법칙, 휘트스톤 브리지회로, 줄의 법칙, 열량, 서모스탯 05 전기가 통하는 전선을 만져도 감전이 안 되는 이유는? KEY WORD : 도체, 절연체, 고유저항, 절연계급, 기준충격절연강도 06 전자제품에서 꼭 필요한 것은? KEY WORD : 저항, 인덕턴스, 커패시턴스, 임피던스, 시정수, 위상차, 지상전류, 진상전류, 공진 07 전자제품이나 조명스펙에 적혀 있는 역률이란? KEY WORD : 역률, 유효전력, 무효전력, 피상전력, 지상역률, 진상역률, 역률요금제 08 전원코드의 어댑터는 왜 있는 것일까? KEY WORD : 전력변환장치, 컨버터, 인버터, 다이오드, 브리지 정류회로, 레귤레이터, 고조파 09 용량이 큰 냉난방기가 3상 전력을 사용하는 이유는? KEY WORD : 3상 전력, 중성선, 3상 3선식, 3상 4선식, 단상 3선식, Y결선, Δ결선 10 전동기(모터)는 어떤 원리로 회전을 하는 것일까? KEY WORD : 전동기, 자기장, 앙페르의 법칙, 플레밍의 왼손법칙, 아라고의 원판, 전동기 원리, 전동기의 기동법 ∏. 전력의 흐름 01 전기를 생산할 때 왜 석탄이나 우라늄 또는 거대한 댐이 필요할까? KEY WORD : 발전, 발전소, 발전기, 패러데이 법칙,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 발전소 종류, 발전기 종류 02 송전탑이 시외지역이나 산을 넘어다니는 이유는? KEY WORD : 송전, 송전현황, 송전탑 구조, ACSR, 직류송전(HVDC), 복도체, 코로나, 선로정수 03 변전소는 왜 지도에서 자세히 표기되지 않을까? KEY WORD : 변전, 변전소, 변압기, 가스절연변전소, 변압 원리, 변압기의 결선, 변압기 용량, 변압기 병렬운전 04 전봇대가 거리마다 우두커니 서 있는 이유는? KEY WORD : 배전, 배전현황, 전봇대 구조, 인입구, 인입선, 책임분계점 05 아파트 단지나 대학 캠퍼스에는 왜 전봇대가 없을까? KEY WORD : 지중화, 지중케이블, 지중화공사, 지중화 선로정수, 송배전 전압강하, 송배전 전압변동 Ⅲ. 수변전시설의 활용 01 큰 건물 지하에 있는 수변전실의 정체는? KEY WORD : 전기안전관리자, 수변전실, 수변전 변압기, 수변전 차단기, 간이수변전시설 02 방송국이나 큰 병원이 정전에서 자유로운 이유는? KEY WORD : 비상용 발전기, 블랙아웃, 비상용 발전기의 조건, 내연기관, 무정전 전원공급장치(UPS) Ⅳ. 전기요금의 이해 01 전기계량기가 보여주는 정보는? KEY WORD : 전기계량기, 전력량계, 기계식 계량기, 전자식 계량기, CT계량기 02 전기요금체계와 계약전력이란? KEY WORD : 전기요금, 누진제, 주택용 저압 및 고압요금, 계약전력, 전기증설공사, 피크전력, 평균전력 03 가전제품 중 전기를 가장 많이 소비하는 것은? KEY WORD : 전력소비, 대기전력, 전기레인지(인덕션), 하이라이트, 전기절약 Ⅴ. 전기응용과 안전 01 접지란 무엇이며 접지공사를 해야 하는 이유는? KEY WORD : 접지, 누설전류, 접지확인법, 접지의 효과, 접지선, 접지공사의 종류 02 번개와 전기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 KEY WORD : 번개, 벼락, 피뢰침, 피뢰기, 피뢰기의 구성요소, 가공지선 03 집안 어딘가에 있는 두꺼비집의 정체는? KEY WORD : 분전반, 차단기, 두꺼비집, 분전반 구조, 배선용 차단기, 누전차단기, 주택용 차단기 04 문어발식으로 멀티탭을 사용하지 않아야 하는 이유는? KEY WORD : 멀티탭, 멀티탭의 종류, 멀티탭의 주의사항, 허용전류, 과부하 05 젖은 손으로 플러그를 꽂지 않아야 하는 이유는? KEY WORD : 감전, 인체의 임피던스, 감전전류, 감전 시 대처방법, 감전예방법 06 조명을 구입할 때 알아야 할 것은? KEY WORD : 조명, 광속, 조도, 휘도, 실지수, 색온도, LED 조명의 종류, 레일등, 레이스웨이, 센서등 07 전기를 저장할 수 있는 축전지는 어떤 원리일까? KEY WORD : 전지, 이온, 망간전지, 알카라인전지, 리튬이온전지, 건전지, 축전지, 연축전지, 충전방식 Ⅵ. 전기공사의 기초 01 간단한 전기작업을 위한 수공구와 계측기는 어떻게 사용하는가? KEY WORD : 전기작업안전수칙, 수공구, 멀티미터, 클램프미터, 절연저항기 02 전선과 차단기는 어떤 것을 선택해야 하는가? KEY WORD : 전선의 구분, 전선의 굵기와 차단기, 전선의 종류 및 특징 03 전선관은 무엇이며 어떤 종류가 있는가? KEY WORD : 전선관의 규격 및 역할, 전선관의 종류 및 특징, 전선관 시공, 금속관 시공, 애자사용공사 04 케이블을 이용한 공사는 무엇이 있는가? KEY WORD : 케이블공사, 케이블덕트공사, 버스덕트, 라이팅덕트, 플로어덕트, 케이블트레이공사 05 콘센트와 스위치는 어떻게 배선해야 하는가? KEY WORD : 전압선과 중성선, 차단기의 개수 산정, 콘센트, 스위치, 내선공사, 배선, 아웃렛박스 부록 1 SI 단위·접두어 2 전기의 단위 및 그리스문자 3 전기이해를 위한 기초수학 4 전기배선도의 기호보는 법 5 차단기 정격전류 산정표 6 전기기술자 경력수첩 ■ Index 여기서 잠깐! ▶ 전기의 기본 이론 가정용 전압은 왜 220V를 사용할까? / 불쾌한 정전기를 예방하는 방법은? / 해외여행과 해외직구 시 주의해야 할 점은? / 저항이 없다면 어떻게 될까? / 인버터 에어컨은 무엇이기에 전기를 절약하는가? / 전동기의 명판은 어떻게 읽어야 하는가? ▶ 전력의 흐름 달리는 기차는 어떻게 전기를 공급받을까? / 송전탑은 인간에게 위험한 존재인가? / 한전에서 까치를 유해동물로 지정한 이유는? ▶ 전기요금의 이해 가정에서 손쉽게 전기를 절약하는 방법은? ▶ 전기응용과 안전 전자제품의 방진·방수등급은 어떻게 나누어지는가? / LED 조명의 장단점은? ▶ 전기공사의 기초 전기공사면허업체와 전기공사기술자란? |
"유튜버연고맨의 전투수학" 전기기사 기초수학책과 더불어 김기사의 e-쉬운전기를 보고있습니다.., 전기 초보자이기에 도움을 많이 받고있는 책입니다. 블로그에서도 깔끔한 설명으로 늘 감동받았었습니다..
어디서부터 어떤걸 해야될지 몰랐는데, 잘알려줘가지고 정말 좋습니다. 최근에는 임규명 유튜버에도 나오셔서 여러가지 알려주시고 좋습니다. 전기는 수학이 필수인 공학이고 수학이 많이들어가서 그 부분은 "유튜버 연고맨의 전투수학"을 보고 전기의 전반적인 지식을 쌓을 때는 이책으로 많은 도움을 얻고 있습니다. 전기 파워블로그&통계학과 출신 답게 역시 사람들이 필요한 지식을 잘알려주시네용
전기산업기사 자격증 공부를 하고 있는데 도무지 무슨 말인지를 모르겠다. 하도 어려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까 싶어 집어든 책. 일단 쉽다고 하니 찬찬히 읽다 보면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하는 기대가 있었는데 천만의 말씀 만만의 콩떡. 어렵기는 매한가지. 그래도 전기에 대한 폭넓은 지식들이 들어 있어 안 읽은 것 보다는 낫다. 지금 이 책이 어려운 것도 내 공부의 수준이 아직 그만큼도 되지 않는다는 뜻이겠지. 그러니 다시 도전하는 수 밖에. 원래 기술서적은 완전히 이해될 때까지 봐야 하는 법. 오늘 드디어 1회독을 마쳤으니 시작은 한 셈. 좋은 책이라는 느낌도 든다. 다시 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