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발행일 | 2020년 01월 25일 |
---|---|
쪽수, 무게, 크기 | 336쪽 | 646g | 188*257*30mm |
ISBN13 | 9791130308968 |
ISBN10 | 1130308960 |
발행일 | 2020년 01월 25일 |
---|---|
쪽수, 무게, 크기 | 336쪽 | 646g | 188*257*30mm |
ISBN13 | 9791130308968 |
ISBN10 | 1130308960 |
제1부 사회과학 연구방법의 개요 제1장 사회현상의 과학적 연구 3 1. 사회현상과 과학적 연구 3 가. 사회현상 연구의 의미_3 나. 사회현상의 과학적 연구에서 인과적 설명_5 다. 과학적 지식과 상식적 지식_6 2. 사회과학 연구방법의 특징 9 가. 방법론적 일원론과 이원론_9 나. 사회과학 연구의 핵심요소_11 3. 사회과학 연구방법의 다양한 구분 14 가. 사례기술적 및 법칙정립적 방법_14 나. 양적 연구방법과 질적 연구방법_15 다. 연역적 및 귀납적 방법_16 4. 사회과학 연구방법과 학문적 글쓰기 18 제2장 사회과학 연구를 하기 전에 알아야 할 것 20 1. 사회과학과 인과성 20 가. 사회과학에서 인과론적 설명의 특징_20 나. 사회과학에서 인과성의 기준_23 다. 통제의 중요성_26 2. 양적 연구방법과 질적 연구방법 27 가. 연구방법론의 일반적 구분_27 나. 사회현상의 특성과 연구방법_27 3. 사회과학 연구의 진행 29 4. 연구 설계 32 가. 연구 설계의 의미와 내용_32 나. 연구 설계에서 자료수집 방법 선택의 기준_33 다. 대표성을 기준으로 한 자료수집 방법의 비교_34 라. 연구 설계에서 양화(측정 수준)의 의미와 중요성_35 5. 다양한 자료수집 방법의 개관 37 가. 서베이_37 나. 실험법_39 다. 참여관찰과 심층면접_41 제3장 연구에서 지켜야 할 윤리 43 1. 연구와 윤리 43 가. 연구에서 윤리 문제의 중요성_43 나. 연구윤리의 의미_45 2. 연구대상과 관련한 윤리 46 가. 연구대상자의 동의 문제_46 나. 연구대상자의 사생활 침해 등 인권 보장 문제_49 다. 연구대상자의 안전과 복지 보장 문제_51 3. 연구 단계별 고려해야 할 연구윤리 53 가. 연구주제 선정 단계에서 고려해야 할 연구윤리_53 나. 자료수집 단계에서 고려해야 할 연구윤리_55 다. 자료 분석 단계에서 고려해야 할 연구윤리_56 라. 결과 발표 단계에서 고려해야 할 연구윤리_58 4. IRB와 연구윤리 승인 60 가. IRB에 대한 이해_60 나. IRB에서의 연구윤리 심의 처리 절차_60 제2부 사회과학 연구의 실제 제4장 사회과학 연구를 위한 기초 지식 70 1. 개념과 가설 70 가. 개념화와 개념_70 나. 개념의 물화: 실제로 있는 것의 측정_72 다. 가설_73 2. 변수 74 가. 변수의 의미_74 나. 변수의 종류_75 다. 변수 간의 관계: 상관관계 및 인과관계_77 3. 변수의 측정 수준과 통계 기법 80 가. 변수의 속성과 측정_80 나. 측정의 분류와 특징_80 다. 변수의 측정 수준과 통계의 측정 수준_83 4. 연구대상 관련 고려 사항 83 가. 분석단위의 문제_83 나. 대표성의 문제: 모집단과 표본 선택_86 제5장 연구주제 정하기 88 1. 연구주제의 선정 88 가. 연구주제 선정의 어려움_88 나. 연구주제 선정의 과정_89 2. 연구주제 선정 시 독서의 의미 92 가. 탐색적 목적의 독서_93 나. 연구자의 새로운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한 독서_94 3. 새로운 연구주제를 찾기 위한 논리 96 가. 기존 이론의 약점을 보완하여 새로운 연구주제 개발하기_96 나. 이론의 외연을 확장하여 새로운 연구주제 만들기_98 다. 이론의 적용 범위를 축소하여 새로운 연구주제 만들기_100 라. 기존 이론들의 설명요인들을 혼합하여 새로운 연구주제 만들기_102 마. 새로운 연구방법 적용이나 연구대상 변경하기_102 바. 기존 연구 재검증하기_103 4. 연구주제 설정의 실제 104 가. 연구주제의 범위 정하기_104 나. 막연한 생각을 글로 표현해 보기_104 다. 다양한 질문 던지기_104 라. 아우트라인 만들기_105 마. 연구주제의 일관성 유지하기_106 바. 오랜 휴식 기간을 거치고 다시 논문을 써야 할 때_106 제6장 선행 연구 고찰과 연구모형 및 가설 정하기 107 1. 선행 연구 고찰 107 2. 연구모형의 구성 111 가. 연구모형이란?_111 나. 연구모형의 의미_111 다. 연구모형의 내용과 구성 단계_112 라. 연구모형이 가지는 의의_117 3. 가설의 설정 118 가. 가설이란_118 나. 인과적 가설이 성립되기 위한 조건_118 다. 가설의 평가 기준_119 라. 가설이 갖추어야 할 요건_119 제7장 양화 과정: 조작화 과정, 지수와 척도 122 1. 조작화 과정 123 가. 가설의 단계_123 나. 조작적 정의와 세분화_124 다. 차원과 지표_127 라. 조작적 정의에서 유의해야 할 사항_132 2.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134 가. 신뢰도_134 나. 타당도_136 3. 지수와 척도 138 가. 지수와 척도의 의미_139 나. 지수와 척도의 공통점과 차이점_140 다. 척도의 종류_141 제8장 질문지 작성하기 146 1. 질문지의 구성 요소 146 가. 질문지 안내_147 나. 문항 _150 2. 문항의 구성 152 가. 문항의 내용 명료화를 위한 유의점_152 나. 문항의 종류_157 다. 문항의 형식과 관련한 권장 사항_163 라. 문항의 배치와 관련한 권장 사항_167 3. 질문지 작성에서 기존 질문지 활용하기 168 가. 기존 질문지 파악하기_168 나. 기존 질문지 활용 시 유의 사항_169 4. 질문지의 오류를 수정하여 완성하기 171 가. 전문가 자문을 통한 질문지 수정하기_171 나. 예비 조사를 통한 질문지 수정하기 _171 제9장 표본 조사와 표집 방법 173 1. 표본 조사에 대한 이해 173 가. 표본 조사 관련 기본 개념_173 나. 표본 조사의 의미와 이유_176 다. 표본 조사의 이론적 근거: 추리통계학의 원리_178 2. 표본의 대표성 문제 179 가. 대표성의 의미_179 나. 대표성이 중요한 이유_179 3. 표본추출 방법의 이해 181 가. 확률 표집 방법_182 나. 비확률 표집 방법_186 4. 연구 수행에서 표집의 실제와 문제점 188 가. 표집 절차와 고려 사항_188 나. 표집 과정에서 표집오차와 비표집오차 고려하기_190 다. 표본추출에서 이론과 현실의 차이 고려하기_191 제10장 서베이 연구에서 자료수집 194 1. 자료의 의미와 종류 194 가. 자료의 의미_194 나. 1차 자료와 2차 자료_195 다. 횡단 연구 자료와 종단 연구 자료_196 2. 자료를 직접 수집하는 방법 203 가. 자기기입식 조사 방법: 우편을 활용하여_203 나. 면접 조사원을 통한 조사 방법_208 다. 전화를 통한 조사 방법_211 라. 인터넷을 통한 조사 방법_213 3. 2차 자료를 활용하는 자료수집 214 가. 기존 조사에서 자료를 얻는 방법_215 나. 2차 자료 활용의 장단점_215 다. 2차 자료 활용에서 유의할 점_216 라. 2차 자료를 얻을 수 있는 연구 기관 안내_217 제11장 자료의 분석과 해석 219 1. 양적 자료의 분석 219 가. 자료 분석을 위해서 갖추어야 할 것_220 나. 일반적인 자료 분석의 단계_221 다. 자료 분석 시 염두에 두어야 할 사항_227 2. 자료 분석의 논리: 가설검증의 원리 228 3. 연구 결과의 일반화 및 해석 229 가. 일반화에서 대표성의 중요성_230 나. 연구 결과 해석의 필요성_231 다. 연구 결과 해석에 들어갈 내용_232 제3부 사회과학 연구 논문(보고서)의 작성 제12장 서베이 연구를 위한 연구계획서 작성 237 1. 연구계획서의 의미와 구성 237 가. 연구계획서의 의미_237 나. 연구계획서의 특징_238 다. 연구계획서의 구성_239 2. 연구계획서의 주요 내용 240 가. 연구 제목과 연구목차_240 나. 예상되는 연구목차_243 다. 서론: 문제의식과 연구주제_244 라. 이론적 배경_247 마. 연구방법: 연구대상, 자료수집 방법, 분석 방법_249 바. 예측되는 연구 결과_250 사. 참고문헌과 부록_250 3. 학위 논문 심사와 논문 연구계획서 251 가. 논문 심사의 의미_251 나. 논문 연구계획서 작성과 관련한 의문과 해결책_252 다. 논문 심사의 진행_254 제13장 논문 및 최종 보고서(리포트) 작성법 260 1. 논문에 대한 기본적 이해 260 가. 논문은 무엇인가?_260 나. 논문에서는 무엇을 강조해야 하는가?_261 다. 논문에서 다른 사람의 글 인용하기_263 2. 학위 논문의 구성과 작성 방법 266 가. 학위 논문의 구성_266 나. 학위 논문의 작성 방법_268 3. 연구 보고서의 구성과 작성 방법 270 가. 연구 보고서 작성 시 고려 사항_271 나. 연구 보고서의 구성_271 다. 구체적인 연구 보고서 작성 요령_272 4. 리포트의 구성과 작성 방법 273 가. 주제선정 시 유의할 점_273 나. 리포트가 갖추어야 할 요소_274 다. 리포트 구성과 작성 방법_275 제4부 실험법 제14장 실험설계의 원리와 이해 279 1. 실험설계의 의의 279 가. 실험법의 기본_279 나. 전형적인 실험설계_280 다. 실험설계가 인과성의 기준을 충족하는 근거_285 2. 실험 연구에서 타당도의 문제 286 가. 내적 타당도_286 나. 내적 타당도를 저해하는 요인_286 다. 외적 타당도_291 제15장 실험법의 실제 293 1. 실험 상황에 따른 종류 293 가. 실험실 실험_293 나. 현장 실험_294 다. 자연 실험_296 2. 실험설계에 따른 종류 297 가. 진실험설계_297 나. 유사실험설계_297 다. 전실험설계_298 3. 진실험설계의 실제 299 가. 사전-사후검사 통제집단 설계_299 나. 사후검사 통제집단 설계_301 다. 솔로몬 4집단 설계_303 4. 유사실험설계의 실제 305 가. 비동등 통제집단 설계_305 나. 단순 틈새 시계열 설계_306 5. 전실험설계의 실제 310 가. 단일 회기 단일 사례 연구_310 나. 비노출집단 비교_311 다. 단일집단 사전-사후검사 설계_312 참고문헌 / 314 찾아보기 / 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