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출간일 | 2019년 11월 29일 |
---|---|
쪽수, 무게, 크기 | 206쪽 | 238g | 116*183*16mm |
ISBN13 | 9788932035864 |
ISBN10 | 8932035865 |
출간일 | 2019년 11월 29일 |
---|---|
쪽수, 무게, 크기 | 206쪽 | 238g | 116*183*16mm |
ISBN13 | 9788932035864 |
ISBN10 | 8932035865 |
“남편들과 아들들이 등에 무기를 지고 다니는 동안 여인들이 베트남을 짊어지고 있었다. 남자들이 정글에서 나와 논두렁을 걸어 다니기 시작한 뒤에도 여자들의 등에는 여전히 소리 나지 않는 베트남의 역사가 얹혀 있었다.” 2018년 뉴 아카데미 문학상(대안 노벨문학상) 최종 후보 베트남 보트피플에서 국제적 작가로 발돋움한 킴 투이 고통과 절망을 의지와 연대로 헤쳐나간 이들에게 바치는 헌사 열 살 때 베트남을 떠나 퀘벡에 정착한 보트피플로서, 자전적 소설 『루ru』로 디아스포라 문학의 새 장을 열며 국제적 작가로 부상한 킴 투이Kim Thuy의 데뷔작 『루』와 두번째 장편소설 『만man』이 문학과지성사에서 동시에 출간되었다. 킴 투이는 변호사, 대사관 직원, 레스토랑 경영 등 다른 일을 하다가 뒤늦게 작품 활동을 시작했으나, 삶의 무게와 성찰이 담긴 그의 작품은 큰 반향을 일으키고 단숨에 주목받는 작가가 되었으며, 전 세계 25개 언어로 번역되었다. 『루』는 캐나다 ‘총독문학상’ , 프랑스 ‘에르테엘-리르 대상’ 등 다수의 국내외 문학상을 수상했으며, 2018년에는 첫 작품을 낸 지 10년 만에 심사위원과 연관된 성추문으로 취소된 노벨문학상을 대신하는 뉴 아카데미 문학상 최종심에 오르며 세계 최고의 작가들과 어깨를 나란히 했다. 킴 투이가 세계 문단에서 이런 대접을 받는 이유는 그의 작품이 울림이 있는 동시에 아름답기 때문이다. 작가 자신의 체험이 녹아든 그의 작품들은 무겁고 고통스러운 역사가 배어 있음에도 섬세하고 감성을 건드리는 문장으로 독자들에게 미적 감동을 선사한다. |
루 옮긴이의 말 · 루ru, 흘러내린 눈물과 피에 비치는 자장가 |
보트피플- 예전 학교다닐때 들어봤지만 금새 잊은 단어. 이념 다툼에 밀려 살기위해 모든걸 버리고 목숨걸고 탈출한 사람들 중 살아남은 사람의 이야기. 이 책을 추천한 분에게 참 고맙네요.
그냥 흘러가듯 얘기하는데 자기연민이 없어서 내가 눈물흘릴수 있었어요. 세상엔 많은 지독한 역사를 겪은 사람들이 있지만 내가 겪은게 제일 최악이라고 소리치는 류가 아니라서 그래요.
베트남 역사에 대해 처음으로 인식할수 있게해준 책이었어요. 그흐름속의 개인의 역사를 볼수있어서 좋았어요.
캐나다로 망명을 간 베트남 보트 피플이었던 작가의 자전적인 소설입니다. 충격적인 이야기를 자극적이지 않게, 서정적으로 묘사하고 있습니다. 작가와 가족이 베트남에서 몰락한 이야기, 베트남을 빠져나오기 위해 했던 고생들, 그리고 캐나다 퀘벡 주로 이사한 이후의 일들이 서술됩니다. 읽은 지 좀 되어서 제 기억이 틀릴 수도 있는데, 허구의 이야기도 섞여 있었던 것으로 기억해요. 잘 읽었습니다.
베트남 여행 붐이 불기 전까지만 해도, 베트남 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단어는 '전쟁'이 아니었을까. <루>의 작가 킴 투이는 베트남 전쟁 생존자다. 1968년 베트남 사이공(현재는 호치민)에서 태어난 작가는 10살 때 가족과 함께 배를 타고 베트남을 떠나 난민으로 지내다 1979년 말 캐나다에 정착했다. 이후 몬트리올 대학교에서 번역학, 법학 학위를 받고 변호사로 일하다 현재는 '루 드 남'이라는 베트남 식당을 운영하며 작가로 활동 중이다.
킴 투이의 첫 책 <루>는 작가의 실제 경험이 많이 반영된 것으로 보이는 작품이다. 주인공의 이름은 킴 투이가 아니라 '응우옌 안 띤'이지만, 작가와 안 띤 모두 베트남의 상류층 출신이고, 전쟁을 피해 보트피플로서 캐나다에 왔고, 정착에 성공해 변호사가 되었고 음식점을 차렸다. 심지어 작가의 둘째 아들도 안 띤의 둘째 아들 앙리처럼 자폐아라고 하니 이 소설의 어디까지가 작가의 실제 경험이고 허구인지 분간이 안 될 정도다.
이 소설에서 가장 인상적이었던 대목은 안 띤이 변호사가 되어 베트남을 다시 찾은 후에 겪은 일들이다. 베트남에서 태어나고 자랐지만, 베트남 사람들은 안 띤을 베트남 사람으로 보지 않는다. 안 띤이 피해서 달아난 전쟁을, 그들은 그 자리에서 온몸으로 겪었고 지금도 그 고통을 감내하는 중이기 때문이다. 비록 부모의 뜻이었지만, 안 띤이 배를 타고 베트남을 떠났을 때, 안 띤은 더 이상 베트남 사람들과 '한 배'를 탈 수 없는 몸이 되었다. 떠난다는 것은 그런 것이다. 한때는 같았으므로 언젠가 다시 만나면 비슷해질 수도 있지만 영원히 예전처럼 같을 수는 없게 되는 것.
열 살 때부터 난민 신분으로 망망대해를 떠돌아야 했던 안 띤의 처지를 생각하면 가엾지만, 안 띤을 그렇게 만든 안 띤의 부모가 가진 재산이 프랑스 식민지 시절 프랑스 정부에 부역해 축적한 것임을 생각하면 떨떠름한 기분이 들기도 한다. 한국의 경우로 바꿔 말하면, 일제 강점기 시절 일제에 부역해 만든 재산을 들고 외국으로 간 친일파의 자손이 외국에서 잘 먹고 잘 사는 걸 보는 느낌이랄까. 그렇다고 안 띤이 겪은 고생과 고통을 폄하할 건 아니지만, 편한 마음으로 보기는 어려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