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발행일 | 2020년 03월 25일 |
---|---|
쪽수, 무게, 크기 | 384쪽 | 188*257*30mm |
ISBN13 | 9791164443529 |
ISBN10 | 1164443526 |
발행일 | 2020년 03월 25일 |
---|---|
쪽수, 무게, 크기 | 384쪽 | 188*257*30mm |
ISBN13 | 9791164443529 |
ISBN10 | 1164443526 |
큰별쌤 최태성의 별★별 한국사 기출500제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1·2급)
16,200원 (10%)
큰별쌤 최태성의 별★별 한국사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1·2급) (하)
13,050원 (10%)
큰별쌤 최태성의 별★별 한국사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1·2급) (상)
13,050원 (10%)
Part 01 사회과의 구조 및 역사 Chapter 01 사회과 교육의 개념적 특성 Ⅰ. 사회과 교육의 의미 Ⅱ. 사회과교육의 특성 Ⅲ. 사회과교육의 구조 Chapter 02 미국 사회과 교육의 역사 Ⅰ. 1880년대~1919년 Ⅱ. 1920~1930년대 Ⅲ. 1950년대 Ⅳ. 1960~1970년대 Ⅴ. 1980년대 Ⅵ. 1990~2000년대 Chapter 03 한국 사회과 교육의 역사 Ⅰ. 교수요목기 Ⅱ. 제1차 교육과정 Ⅲ. 제2차 교육과정 Ⅳ. 제3차 교육과정 Ⅴ. 제4차 교육과정 Ⅵ. 제5차 교육과정 Ⅶ. 제6차 교육과정 Ⅷ. 제7차 교육과정 Ⅸ. 2007 개정 교육과정 Ⅹ. 2009 개정 교육과정 XI. 2015 개정교육과정 Chapter 04 사회과 교육의 본질 Ⅰ. 사회과 교육의 본질에 대한 논의 Ⅱ. 사회과의 5가지 모형 Ⅲ. 사회과 모형에 대한 정리 Part 02 사회과 교육의 목표 Chapter 01 사회과 목표의 의미 및 역사 Ⅰ. 사회과 목표의 정의 Ⅱ. 사회과 교육목표의 발달 Chapter 02 우리나라 사회과 교육의 목표 Ⅰ. 2015개정 교육과정 사회과 목표 Ⅱ. 우리나라 사회과 교육의 목표 Part 03 사회과 교육과정 Chapter 01 사회과 교육과정의 구성 및 조직형태 Ⅰ. 사회과 교육과정의 의미와 구성 Ⅱ. 교육과정 조직형태 Chapter 02 우리나라 사회과 교육과정의 구성원리 및 교육과정 Ⅰ. 우리나라 사회과 교육과정 구성원리 Ⅱ.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주요 내용 Part 04 교수-학습방법 Chapter 01 수업지도안 Ⅰ. 수업지도안의 의의 Ⅱ. 수업지도안 단계별 주요 활동 Chapter 02 수업기법 Ⅰ. 강의 Ⅱ. 발문 Ⅲ. 토의(론)학습 Ⅳ. 역할놀이 Ⅴ. 시뮬레이션 학습 Chapter 03 지식의 구조 및 기능 학습 Ⅰ. 지식의 구조 학습 개관 Ⅱ. 개념학습모형 Ⅲ. 일반화 학습 Ⅳ. 탐구수업모형 Chapter 04 기능학습 Ⅰ. 기능의 개념과 종류 Ⅱ. 사회참여 학습 Ⅲ. 고차 사고력 학습 Chapter 05 가치수업모형 Ⅰ. 가치교육 개관 Ⅱ. 인지적 측면의 가치 교육 방법 Ⅲ. 대안적인 가치교육 접근법 Chapter 06 논쟁문제 수업모형 Ⅰ. 논쟁문제수업의 의의 Ⅱ. 논쟁문제 수업의 유형 Ⅲ. 논쟁문제에 대한 교사의 역할 Ⅳ. 논쟁문제 수업의 실천 Chapter 07 의사결정 학습모형 Ⅰ. 의사결정 학습모형의 의의 Ⅱ. 의사결정 학습모형의 유형 Chapter 08 협동학습모형 Ⅰ. 협동학습의 의미 Ⅱ. 협동학습의 기본원리 Ⅲ. 협동학습의 구조 Ⅳ. 협동학습의 특징 Ⅴ. 협동학습에 대한 평가 Ⅵ. 협동학습의 유형 Ⅶ. 사회과교육에서 중시하는 협동학습모형 Chapter 09 협동학습 유형 Ⅰ. STAD(Student Teams Achievement Division) 모형122 Ⅱ. 직소 모형 Ⅲ. Pro-con 모형 Ⅳ. 마시알라스와 허스트의 집단의사 결정모형 Ⅴ. 스탈의 의사결정 학습모형 Ⅵ. 시뮬레이션 게임 협동학습모형 Part 05. 사회과 평가 Chapter 01. 사회과 평가 이해 Ⅰ. 사회과 평가의 의의 및 원리 Ⅱ. 사회과 평가의 방향 Ⅲ. 사회과 평가 기준 및 형태 Chapter 02. 사회과 평가 방안 Ⅰ. 수행평가에 대한 이해 Ⅱ. 교육과정과 수행평가 Ⅲ. 수행평가의 유형 Part 06 사회과 교육의 새로운 쟁점 Chapter 01 사회과 교사의 전문성 Ⅰ. 사회과 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와 실천 Ⅱ. 사회과 교사의 수업 전문성에 대한 이해 Chapter 02 범교과 주제 Ⅰ. 다문화교육 Ⅱ. 세계시민교육 Ⅲ. 양성평등교육 Ⅳ. STS 교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