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출간일 | 2020년 03월 06일 |
---|---|
쪽수, 무게, 크기 | 260쪽 | 392g | 140*207*20mm |
ISBN13 | 9788965749899 |
ISBN10 | 8965749891 |
출간일 | 2020년 03월 06일 |
---|---|
쪽수, 무게, 크기 | 260쪽 | 392g | 140*207*20mm |
ISBN13 | 9788965749899 |
ISBN10 | 8965749891 |
MD 한마디
경제 규모에서 선진국인 대한민국. 불행히도 자살율도 선두다. 저자는 한국이 미국의 시스템을 추구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한다. 덧붙여, 대안 모델인 독일에 주목하자고 제안한다. 더 이상 행복을 개인 차원에 맡겨서는 안 된다. 공동체 전체의 행복을 생각해볼 때다. - 손민규 사회정치 MD
우리는 행복할 권리가 있다 JTBC [차이나는 클라스] 김누리 교수 화제의 명강의 과거청산, 복지와 통일의 나라 독일에서 일그러진 우리의 자화상을 보다 중앙대 독문학과 교수이자 독일유럽연구센터 소장인 김누리 교수가 ‘이상한 나라’ 대한민국의 불편한 진실을 파헤친『우리의 불행은 당연하지 않습니다』가 출간되었다. 주요 포털사이트 실시간 검색어에 오르며 폭발적인 반응을 일으킨 JTBC [차이나는 클라스]의 ‘독일 2부작’ 강연부터 인기 팟캐스트 정영진, 최욱의 [매불쇼] 강력 추천 에피소드까지, 많은 이들에게 놀랄 만한 통찰과 충격을 안겨주었던 김누리 교수의 비판적 분석과 전망을 보충 정리하여 이 한 권의 책에 담았다. |
들어가는 말 “우린 지금 이상한 나라에 살고 있다” 프롤로그 병든 사회에서 거울 보기 제1장 민주주의자 없는 민주주의 1 우리의 혁명은 도착하지 않았다 민주주의 1등 선진국, 대한민국/얼마나 위대한지, 얼마나 취약한지/광장 민주주의와 일상 민주주의 2 빼앗긴 주인의 권리를 되찾기 위해 조교도 총장을 할 수 있는 대학 /노사공동결정제, 독일 경제 성장의 비밀/‘이름 대 이름’이 의미하는 것/새로운 삶을 위한 도발 3 68혁명, 모든 형태의 억압을 거부하다 부조리한 세상에 맞서다/세계를 뒤엎은 68혁명/과거청산과 교양 사회/아우슈비츠와 비판 교육/사회적 정의를 추구하는 정치 제2장 대한민국의 거대한 구멍 1 왜 한국에만 68혁명이 없었는가 ‘서울의 봄’이 오지 않은 이유/68혁명의 빈자리를 연구하다/베트남전 파병의 시작과 끝/1968년 대한민국, 역사의 흐름에 역행하다 2 위대하고 위태로운 86세대 이 땅의 86세대는 누구인가/86세대의 성취와 한계/도덕적으로 우월하다는 위험한 착각 3 경쟁의 덫에 걸린 한국 교육 인권 감수성과 소비 감수성의 부재/성에 대한 죄책감은 민주주의의 적이다/원샷 사회와 텐샷 사회 4 자기착취와 소외에 병들어가다 내 안의 노예 감독관/수단에 잡아먹히다/단단한 성(性)의 장벽 제3장 악순환의 연결 고리를 찾아서 1 시대착오적인 헬조선의 자화상 ‘큰 나라’ 대한민국/사람들이 자꾸만 뛰어내린다/유례없는 불평등 사회/우울한 아이와 노동 기계 어른/학벌, 새로운 계급의 탄생 2 야수가 활개 치는 사회 여의도가 수상하다/대한민국을 집어삼킨 야수 자본주의 3 정권 교체만으로는 바꿀 수 없다 ‘보수 대 진보’라는 거짓말/기만적인 기득권 싸움/수구-보수 과두지배는 어떻게 가능했나 4 미국보다 더 미국적인 ‘작은 미국’, 대한민국/미국은 글로벌 스탠더드가 아니다 제4장 우리는 함께 웃을 것이다 1 독일 통일에 대한 오해와 진실 평화가 시급하다/동에서 온 독일 통일/베를린 장벽이 무너지고/빠른 통일을 원하다/동독 사람들에게 상처를 남긴 ‘통일의 날’/통일 비용은 손해가 아니다/동독을 보는 서독, 서독을 보는 한국 2 남과 북, 다치지 않고 손잡는 법 감히 ‘통일’이라는 말도 꺼내지 못했지만/남한과 북한, 두 병자가 만나다/서로의 생각과 이력을 존중하기 3 성숙하고 평화로운 통일 한반도를 위하여 한반도의 정치적 미래는 북한 주민의 손에/단호하게 평화를 요구할 것 에필로그 거울 앞에서 당당하기 |
우리는 너무 역량에 따른 차별을 당연시하며 살고 있음에 소오름.
사회는 보편 복지를 추구하지만 양극화는 점점 심해지고 모든 일의 결과는 개인의 책임으로 돌아갑니다. 내로남불을 비롯해서 본인이 태어날 때부터 가졌던 것을 의식하지 못하는 능력주의로 인해 양극화가 점점 더 심해지는 것 같아요.
언론의 경쟁적인 비교와 수치화로 인해 능력주의가 더 고착되는 건 아닌지요. 2030세대가 경쟁적으로 자산을 축적하기 위해 영끌 대출도 마다하지 않는 것은 내일이 오늘보다 나아지리라는 희망이 자꾸 사라지기 때문이 아닐까요. 아무도 Na를 책임져주지 않으니까 두 손 두발 다 걷어붙이고 투자를 향해 도전하는 마음이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