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출간일 | 2020년 06월 30일 |
---|---|
쪽수, 무게, 크기 | 292쪽 | 464g | 148*210*20mm |
ISBN13 | 9791196537586 |
ISBN10 | 1196537585 |
출간일 | 2020년 06월 30일 |
---|---|
쪽수, 무게, 크기 | 292쪽 | 464g | 148*210*20mm |
ISBN13 | 9791196537586 |
ISBN10 | 1196537585 |
대한민국 1호 미래학교 창덕여중이 만들어 온 5년간의 기록 공교육에서 실천한 미래교육 이야기 4차 산업혁명으로 대표되는 과학기술의 변화, 이것이 몰고 올 사회적 변화 등 미래사회를 규정하는 불확실성과 복잡성 속에서 학교의 역할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지고 있다. 더불어 우리의 학교교육이 변화하는 사회에 대응할 수 있는 학생들의 역량을 어떻게 갖추게 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이에 교육부와 시?도 교육청은 미래학교 유형 개발 및 학교 공간 혁신 정책을 대대적으로 지원하고 운영할 계획을 발표했다. 이러한 흐름에서 미래학교의 선두 주자로서 해마다 국내외에서 수많은 교육자가 방문하고 있는 대한민국 1호 미래학교인 창덕여중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이 책은 2014년 말부터 2019년까지 창덕여중 공동체가 시도했던 사실에 대한 기록이자 성찰을 담고 있다. 공립학교가 마주하는 제도적 범위 안에서 수많은 경계에 부딪혀 가며 학교 문화, 교육과정, 학습 환경의 불일치를 극복하고, 미래교육적 생태계를 구축해 온 시간과 과정에 대한 이야기를 담았다. 미래학교가 무엇인지 궁금한 이에게는 그 궁금증을 풀어 줄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며, 미래교육에 대해 고민하는 누군가에게는 시행착오를 줄여 주고, 보다 깊이 있는 고민을 함께 나눌 수 있는 기회를 줄 것이다. |
제1장 미래를 만들어 가는 행복한 학교 1. 모두가 꿈꾸는 미래학교 2. 미래학교 5년간의 여정 제2장 학교 문화 1. 미래학교 비전 세우기 2. 미래학교 회의 문화 3. 실천하고 연구하는 교사들 4. 수업을 공유하는 교사들 5. 미래학교 토크콘서트 대담1_ 학교 문화에 대한 교사들의 이야기 제3장 교육과정 1. 미래학교 수업과 평가의 방향 2. 학교교육에서의 개별화 수업 3. 테크놀로지 활용 피드백 4. 생활을 해석하는 수업 5. 실제 문제 해결과 프로젝트 학습 6. 호기심과 질문 그리고 탐구 7. 성장을 위한 성찰 8. 디지털 세대와 독서하고 글쓰기 9. 학습을 위한 학습, 짝토론 10. 미래교육 속 생태전환교육 대담2_ 졸업생과 학부모가 말하는 창덕여중 이야기 제4장 학습 환경 1. 미래학교와 테크놀로지 2. 미래학교의 공간 환경 대담3_ 교사들이 말하는 공간과 테크놀로지 이야기 |
‘비교적 덜 낡은 학교를 미래학교로 시설개선한다면 20억 원 정도면 충분하다는 계산이 나온다.’(p.275)
"학교당 20억원으로 올 수 있는 공교육의 미래"라기보다는 학교 자랑 + 경험 공유로 보면 좋을 책. 예산, 인력, 시간, 노력 등 초호화 학교다보니 사례 자체는 볼만함. 이걸 못하는 능력과 환경에 좌절하지 않고 참고로 보면 좋을 책.
수 년 전 교육계의 혁신적인 바람을 불어일으켰던 '혁신학교'를 넘어, 이제는 '미래학교'가 교육의 새로운 트렌드로 떠올랐다. '미래학교는 어떤 곳일까? 미래를 준비하는 학교일까? 아니면 미래형 학교?' 여러 궁금증에 의해 이 책을 읽게 되었다.
이 책은 2015년부터 미래학교를 시작한 서울 창덕여중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미래학교 비전을 세우기 위한 준비 단계 부터 현재 모습까지... '학교 문화, 교육과정, 학습 환경' 이라는 세 가지 주제로 나누어 선생님들과 학생들, 학부모들이 경험하고 느꼈던 이야기들을 들려준다.
이 책을 읽으며 이 학교의 학생들이 부러웠다. 또한 계속적으로 연구, 실천하며 공유하는 선생님들의 모습을 보며, 참 멋있으시다는 생각을 했다.
앞으로 많은 학교들이 미래교육의 방향성을 가지고 나아갈 텐데, 먼저 경험한 창덕여중의 이야기를 읽어 본다면 도움이 되지 않을까? 이 책을 교사들, 특히 교육 정책가들에게 추천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