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메뉴
주요메뉴


소득공제 EPUB
동아시아공동체로의 머나먼 여정
미리보기 공유하기
eBook

동아시아공동체로의 머나먼 여정

[ EPUB ]
리뷰 총점8.0 리뷰 1건 | 판매지수 240
구매 시 참고사항
  • 2020.4.1 이후 구매 도서 크레마터치에서 이용 불가
{ Html.RenderPartial("Sections/BaseInfoSection/DeliveryInfo", Model); }
한 눈에 보는 YES24 단독 선출간
매월 1~7일 디지털머니 충전 시 보너스머니 2배 적립
100% 페이백 『마음 가면』
나는 책에서 인생의 힌트를 얻었다
할인에 할인을 더하다! UP TO 65% OFF
[READ NOW] 2023년 3월호
eBook 전종 10%할인+5%적립 무한발급 슈퍼쿠폰
3월 쇼핑혜택
현대카드
1 2 3 4 5

품목정보

품목정보
발행일 2020년 07월 01일
이용안내 ?
지원기기 크레마,PC(윈도우),아이폰,아이패드,안드로이드폰,안드로이드패드,전자책단말기(일부 기기 사용 불가),PC(Mac)
파일/용량 EPUB(DRM) | 25.66MB ?
글자 수/ 페이지 수 약 26.3만자, 약 6.4만 단어, A4 약 165쪽?
ISBN13 9788974184025

소개 책소개 보이기/감추기

목차 목차 보이기/감추기

감사의 글5
표 목차와 그림 목차12

제1부 연구대상의 이해 15
제1장 공동체로의 머나먼 여정 17
제1절 동아시아 공동체: 꿈인가 현실인가? 17
제2절 동아시아공동체란 무엇인가? 25
제3절 동아시아공동체를 둘러싼 쟁점 36
제4절 책의 구성과 특징 46

제2부 이론의 이해 53
제2장 지역주의 이론의 동아시아 적실성 문제 55
제1절 문제의식 55
제2절 지역주의 이론의 이해 61
제3절 이론적 쟁점: 동아시아에 대한 설명력 97

제3부 경험분석 117
제3장 동아시아공동체의 기본구조 119
제1절 들어가는 말 119
제2절 동아시아공동체의 구조 및 현황 124
제3절 사례연구: 외교협력 기구로서의 ASEAN+3(APT) 143
제4절 맺는 말 165

제4장 경제공동체 I: 금융협력 아키텍처 167
제1절 들어가는 말 167
제2절 동아시아 금융협력 아키텍처의 구조 172
제3절 동아시아 금융협력의 향후 과제 197
제4절 나오는 말 210

제5장 경제공동체 II: 통상협력 아키텍처 213
제1절 들어가는 말 213
제2절 동아시아의 지역화 219
제3절 동아시아의 통상협력 아키텍처: FTA 복합네트워크 231
제4절 동아시아 무역질서 구축의 주도권 경쟁: RCEP와 TPP 247
제5절 나오는 말 256

제6장 정치안보공동체: 전통적/비전통적 안보협력 아키텍처 258
제1절 들어가는 말 258
제2절 동아시아의 전통적 안보협력 아키텍처 266
제3절 동아시아의 NTS 협력 아키텍처 272
제4절 사례연구: 전염병 287
제5절 나오는 말 : 비전통적 안보 이슈의 동아시아공동체에 대한 함의 299

제7장 사회문화공동체: 동아시아 아이덴티티 형성 304
제1절 들어가는 말 304
제2절 사회문화협력 아키텍처 311
제3절 협력사업의 개관 318
제4절 나오는 말 335


제4부 과제와 전망 339
제8장 동아시아공동체의 도전과 과제 341
제1절 들어가는 말 341
제2절 동아시아공동체에의 도전Ⅰ: 구조적 문제점 346
제3절 맺는 말 359


약어해설?362
참고문헌?370

eBook 회원리뷰 (1건) 리뷰 총점8.0

혜택 및 유의사항?
구매 다자주의 국제협력에 대한 감을 좀 얻었다고나 할까? 내용 평점4점   편집/디자인 평점4점 e****s | 2022.04.10 | 추천0 | 댓글0 리뷰제목
당초 생각했던 것과는 다소 다른 방향으로 연구되어 작성된 글들이었다. 어차피 제대로 알지 못하는 분야이긴 하지만, 막연히 동아시아의 역사적 특성과 여러가지 어려운 상황들, 이들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방향의 이념적/운동적 활동들이 필요할 것인가하는, 어찌보면 정부 및 NGO들의 활동들에 대한 소개나 방향제시가 아닐까 생각했었다.  웬걸, 이건 아예 외교분야 혹은;
리뷰제목

당초 생각했던 것과는 다소 다른 방향으로 연구되어 작성된 글들이었다. 어차피 제대로 알지 못하는 분야이긴 하지만, 막연히 동아시아의 역사적 특성과 여러가지 어려운 상황들, 이들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방향의 이념적/운동적 활동들이 필요할 것인가하는, 어찌보면 정부 및 NGO들의 활동들에 대한 소개나 방향제시가 아닐까 생각했었다. 

웬걸, 이건 아예 외교분야 혹은 국제정치분야의 정부/공공기관에서 발주한 연구보고서, 혹은 그러한 보고서의 바탕이 되는 학자의 논문들을 모아놓은 것이더라. 즉, 보다 중점적으로 정부들의 활동, 그러니까 동아시아 국가들의 지난 수십년간의 여러차원 및 방향에서의 만남과 회의와 각각의 지향점과 걸림돌들을 분서해 놓은 것이고. 

앞부분에 지역(국가)공동체 발전에 관한 이론적 갈래들을 소개해 놓은 부분을 빼고는 경제/안보/사회문화 등등의 분야에서 동아시아 지역에 어떠한 협의체들이 있었고, 누가 주도했으며, 누가 나름 반대를 했고, 미약하던 의미있던 어떠한 성과들이 있는지를 쫙 정리해 놓았다. 이런 분야에 대해서 내가 책을 하나 볼 것이라곤 생각도 못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에 WMO라는 기구에 3년간 파견근무를 하면서, 이러한 국제기구가 과연 어떠한 의미를 가질 수 있는 것인지에 대해 나름 회의를 하던 과정에서 들던 고민들, 부정적임에도 불구하고 그같은 기구가 가질 수 있는 의미를 정리해보려고 하던 단편적인 사고들이 이 책에 실려진 이론적 갈래 정리 부분에 체계적이고 논리적으로 제시되어 있더라. 나름 유사하게 말이다. 그리고 나서도, 실제 2-30년간의 역사에서 보여진 동아시아 지역의 성과와 한계점이라는 것들의 사례들도, 나름 우리분야에서 피상적으로만 보여지던 활동들의 의미를 조금은 더 이해할 수 있게 도움을 주었고, 동시에 비판을 하고자 하면 더 날카로와질 수 있는 논거들을 던져주는 것 같더라. 각각의 배경에 대한 이해도도 살짝 높일 수 있겠고. 

이런 분야의 책들을 본 적이 별로 없기에, 과연 이 책의 완성도랄까? 신뢰성에 대해 자신은 없지만, 우리 기관에서 국제협력 업무를 하는 사람들에게 한번 검토해보면 좋을 것 같다는 추천을 해보고 싶어지는 내용들이었다. 확실히 우리에게는 다자협력 무대에서 어떤 이슈에 대해 리더십이나 기여를 하겠다는 전략이 없었다는 것을 확실히 그리고 씁쓸하게 인지하게 되었다. 

댓글 0 이 리뷰가 도움이 되었나요? 공감 0
뒤로 앞으로 맨위로 aniAla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