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출간일 | 2020년 06월 30일 |
---|---|
쪽수, 무게, 크기 | 484쪽 | 1307g | 210*297*30mm |
ISBN13 | 9791164710683 |
ISBN10 | 1164710680 |
출간일 | 2020년 06월 30일 |
---|---|
쪽수, 무게, 크기 | 484쪽 | 1307g | 210*297*30mm |
ISBN13 | 9791164710683 |
ISBN10 | 1164710680 |
베스트셀러 <유대인 이야기>로 호평을 받은 저자 홍익희는 세 종교의 시작을 연 인물인 아브라함의 뿌리가 되는 고대 수메르 문명부터 기독교를 국교로 제정한 로마제국, 기독교와 이슬람교 간에 치러진 십자군전쟁과 일방적인 유대교 박해가 행해진 중세 암흑기를 거쳐 홀로코스트와 팔레스타인 분쟁까지 전 방위적으로 세계사를 아우르며 이 책을 통해 세 종교 간 대립을 끝내고 평화공존의 관계를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22년간 KOTRA에서 근무하며, 뉴욕, 밀라노, 마드리드부터 상파울루까지 곳곳의 무역 현장을 누비며 다양한 경제 환경을 경험한 저자는 이산과 방랑이라는 고통과 수난의 역사 속에서 반대급부로 ‘부(富)’에 눈을 뜬 유대인들과 그들을 지탱한 유대교의 힘에 주목하게 되었다. 하지만 <유대인 이야기>와 <유대인 창의성의 비밀> 등의 전작이 유대인에 초점을 맞추었다면, 이 책은 유대교에서 뻗어 나와 다른 발전 과정을 거친 종교, 기독교와 이슬람교 각각의 역사를 살피고, 세 종교 간 비교분석을 통해 이 종교들이 어떻게 보편적인 세계 종교로 거듭나고 지금의 위치에 서게 되었는지를 살펴본다. |
머리말 1 세 종교의 기원, 아브라함의 시대 수메르 문명의 특징 아브라함의 고향, 우르 수메르 문명 당시의 문란했던 사회상 2 유대교는 어떻게 탄생되었나? 신과 맺은 영원한 계약 출애굽기 3 유대교는 어떻게 종교로 자리 잡았나? 예루살렘, 성지가 되다 북이스라엘 왕국, 우상숭배로 멸망하다 1차 이산, 유대인 방랑시대의 시작 유대교의 변화 유대인의 귀환 유대교를 바로 세우다 유대교 개혁과 복지제도 2차 이산 §1 유대인의 경전, 《모세오경》 §2 현대 유대교의 세 흐름 4 기독교는 어떻게 탄생되었나? 예수의 생애와 기독교의 탄생 5 기독교는 어떻게 종교로 자리 잡았나? 열두 제자의 활약 원시 기독교 사상의 변화 유대교의 한 분파였던 초기 기독교 기독교, 로마제국의 국교로 가톨릭의 분열과 종교개혁 유대교 입장에서 바라본 예수 6 이슬람교는 어떻게 탄생되었나? 이슬람교의 출현 이슬람교 경전 7 이슬람교는 어떻게 종교로 자리 잡았나? 이슬람교의 팽창 §3 이슬람교 종파들 8 세 종교는 무엇이 같고 무엇이 다른가? 같은 점 다른 점 9 반목과 갈등의 역사 로마제국의 유대인 박해 이슬람교의 유대인 박해 가톨릭의 이슬람교와 유대인 박해 유대인이 박해를 많이 받은 이유 나치의 반유대주의 이스라엘 건국과 중동전쟁 이후의 팔레스타인 분쟁사 §4 세계 종교인 분포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
머리말 1 세 종교의 기원, 아브라함의 시대 수메르 문명의 특징 아브라함의 고향, 우르 수메르 문명 당시의 문란했던 사회상 2 유대교는 어떻게 탄생되었나? 신과 맺은 영원한 계약 출애굽기 3 유대교는 어떻게 종교로 자리 잡았나? 예루살렘, 성지가 되다 북이스라엘 왕국, 우상숭배로 멸망하다 1차 이산, 유대인 방랑시대의 시작 유대교의 변화 유대인의 귀환 유대교를 바로 세우다 유대교 개혁과 복지제도 2차 이산 §1 유대인의 경전, 《모세오경》 §2 현대 유대교의 세 흐름 4 기독교는 어떻게 탄생되었나? 예수의 생애와 기독교의 탄생 5 기독교는 어떻게 종교로 자리 잡았나? 열두 제자의 활약 원시 기독교 사상의 변화 유대교의 한 분파였던 초기 기독교 기독교, 로마제국의 국교로 가톨릭의 분열과 종교개혁 유대교 입장에서 바라본 예수 6 이슬람교는 어떻게 탄생되었나? 이슬람교의 출현 이슬람교 경전 7 이슬람교는 어떻게 종교로 자리 잡았나? 이슬람교의 팽창 §3 이슬람교 종파들 8 세 종교는 무엇이 같고 무엇이 다른가? 같은 점 다른 점 9 반목과 갈등의 역사 로마제국의 유대인 박해 이슬람교의 유대인 박해 가톨릭의 이슬람교와 유대인 박해 유대인이 박해를 많이 받은 이유 나치의 반유대주의 이스라엘 건국과 중동전쟁 이후의 팔레스타인 분쟁사 §4 세계 종교인 분포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