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출간일 | 2020년 07월 16일 |
---|---|
쪽수, 무게, 크기 | 232쪽 | 550g | 140*210*20mm |
ISBN13 | 9791157062010 |
ISBN10 | 1157062016 |
출간일 | 2020년 07월 16일 |
---|---|
쪽수, 무게, 크기 | 232쪽 | 550g | 140*210*20mm |
ISBN13 | 9791157062010 |
ISBN10 | 1157062016 |
MD 한마디
코로나 19 대유행 이후 세계는 바뀌었다. 전염병의 원인은 무엇이고, 위기는 어떻게 진행될 것이며 인류에게 남은 선택지는 존재할까? 제러미 리프킨, 원톄쥔, 장하준, 마사 누스바움, 케이트 피킷, 닉 보스트롬, 반다나 시바 등 석학 7명에게 물었다. - 손민규 사회정치 MD
코로나19 이후 문명의 나침반은 어디를 가리킬 것인가 전 지구적 위기 한복판에서 세계 석학 7인에게 던진 긴급한 질문 그들이 제안하는 7가지 문명 전환 시나리오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처음 보고된 바이러스가 전 지구적으로 확산되기까지 걸린 시간은 불과 3개월 남짓이었다. 가장 먼저 감염자가 나타난 지역이 문을 닫아걸었고, 그다음은 아예 국경을 폐쇄했다. 봉쇄라는 초유의 대응책을 펼친 곳에서는 사람들의 이동이 엄격하게 통제되었다. 전례 없는 혼란 속에 혐오나 사재기 같은 사회 문제가 대두되었고, 얼마 지나지 않아 기록적인 실업률이 장기간 이어질 후유증을 예고했다. 의료 위기가 정치, 경제 위기로 확산되었다. 사람들은 지금껏 인류가 밟아온 발전의 경로를 의심할 수밖에 없었다. ‘뉴 노멀’이라는 말이 회자되었고, 코로나19 이후 도래할 새로운 질서에 대한 궁금증과 바람이 커져갔다. 수십 명의 석학에게 문명의 좌표를 물어온 저널리스트 안희경이 그간 인류의 미래에 대해 전방위 비평을 해온 이들을 한 자리에 불러 모았다. 제러미 리프킨, 원톄쥔, 장하준, 마사 누스바움, 케이트 피킷, 닉 보스트롬, 반다나 시바. 어제까지와는 다를 오늘부터의 세계에 대한 갈급함을 가지고 이 일곱 명의 석학에게 질문을 던졌다. 위기의 원인은 무엇이고, 인류 앞에는 어떤 선택지가 놓여 있는가, 그리고 그 선택이 가져올 우선적인 변화는 무엇인가. 대부분 이동 제한령을 따르고 있는 상황에서 인터뷰는 온라인 화상이나 전화, 혹은 몇 차례의 왕복 서한으로 이루어졌지만 코로나19라는 공통 경험이 인터뷰에 어느 때보다 짙은 현장감을 불어넣었다. 위기의 원인을 날카롭게 진단하고 임박한 질서를 대담하게 상상할 수 있는 통찰로 가득하다. |
들어가며 포스트 코로나, 위기에서 만들어지는 새로운 질서 1장 집중과 분산 제러미 리프킨 화석연료 없는 문명이 가능한가 2장 중심과 주변 원톄쥔 위기 이후 어떤 세계화가 도래할 것인가 3장 성장과 분배 장하준 왜 우리는 마이너스 성장을 두려워하는가 4장 혐오와 사랑 마사 누스바움 새로운 정치의 가능성은 어디에서 오는가 5장 개별과 보편 케이트 피킷 우리는 질병과 죽음 앞에 평등한가 6장 기술과 조정 닉 보스트롬 세계는 다음의 위기에 대응할 준비가 되어 있는가 7장 분리와 연결 반다나 시바 바이러스와의 전쟁은 왜 실패할 수밖에 없는가 나가며 혁신은 모두를 위한 이익에서 나온다 감사의 글 |
단순 감기정도로 치부했던 코로나19가 한국에 상륙한지도 벌써 1년하고도 절반이 다
지나간다.
그동안 전역을 하고, 취직을 하고, 운 좋게 한 번의 이직을 하게 됐다.
나도, 내 주변의 지인들도 소위 말하는 '한 번도 겪어보지 못 한 세계'를 살아내고 있다.
고용시장은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차갑게 얼어붙었고 갈 곳을 잃은 유동성 자금들은
시장질서를 파괴하며 상대적 약자들의 삶을 순차적으로 망가뜨리고 있다.
책의 골자는 각종 기후재난 및 질병에 의한 재난 속에서 어떻게 인류가 연대하고 힘을 합쳐
살아남을 수 있는지에 대한 7명의 석학들의 의견들이다. 다만 아쉬운 점은 책을 읽는 개인의
입장에서 '그래서 내가 이 시점에 무엇을 해야 앞으로 살아남을 수 있는데?'라는 질문에는
아무런 실효성 있는 대답을 주지 못한다는 사실이다. 석학들의 의견은 대부분이 강대국
혹은 사회적으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한 존재들의 약자에 대한 시혜적 정책을 '해결책'으로
제시할 뿐이다.
책을 읽으며 느낀 '오늘부터의 세계'에선 사실 개인의 역량은 초라할 정도로 미미해 보인다.
재앙의 원인이 되는 인간의 탐욕의 몇 알 없는 열매는 점점 소수의 인류에게 집중되고 감내
해야 할 재앙은 그 여집합에 집중된다. 희망을 품기 어려워보이는 미래에 대한 불안이 오늘을
잠식하지 못하도록 오늘 내가 할 수 있는 일에 집중하는 것이 오늘부터의 세계에서 내가 할
수 있는 유일한 일이 아닐까하는 생각을 해본다.
코로나19 이후의 세상에 대한 예측도서가 쏟아지고 있는 요즘 이 책도 그중 하나인데요, 한명의 목소리가 아닌 각계 전문가와 석학 7명의 생각을 모은 책이라 고민없이 바로 구입했습니다. 책은 일반인도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쓰여져 있고요, 뉴스나 언론매체 어디서도 들을 수 없는 전문가의 의견 및 생각을 듣고, 폭 넓은 시야를 공유할 수 있어서 정말 유익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