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출간일 | 2020년 11월 16일 |
---|---|
쪽수, 무게, 크기 | 284쪽 | 448g | 140*210*16mm |
ISBN13 | 9791191056297 |
ISBN10 | 1191056295 |
출간일 | 2020년 11월 16일 |
---|---|
쪽수, 무게, 크기 | 284쪽 | 448g | 140*210*16mm |
ISBN13 | 9791191056297 |
ISBN10 | 1191056295 |
“마음의 근육을 키우면 실패에 무너지지 않는다” 정신과 의사 하지현 교수가 전하는 일과 삶을 키우는 생산적인 독서의 기술 오은 시인, 정여울 작가 추천! 1년에 100권 이상의 책을 읽는 독서가, 5년의 연재 기간 동안 한 번도 쉬지 않고 서평 칼럼을 연재한 성실한 서평가인 정신과 의사 하지현 교수가 독서 에세이 『정신과 의사의 서재』를 출간하며 자신의 서재를 공개한다. 의사이자 교수라는 직업인으로 진료도 하고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도대체 언제 책을 읽을까? 사람의 심리를 들여다보고 아픔을 다루는 사람으로서 책 읽기에 다른 접근법이 있을까? 책상 위에 쌓이는 수많은 책들을 어떻게 정리하고 기록할까? 이 책은 작가 개인의 독서 여정인 동시에 ‘왜 책을 읽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작가 나름대로의 답이라고 할 수 있다. 책을 통해 얻은 지식과 정보로 세상을 더 깊고 넓게 이해함으로써, 단단하고 흔들리지 않는 자아의 힘, 마음의 근육을 키우는 것이 책을 읽는 이유라고 말하는 작가는 책에 대한 모든 이야기를 진솔하면서도 유쾌하게 털어놓는다. 책을 읽고 정리하는 노하우, 책을 고르는 법, 글쓰기로 연결시키는 책 읽기, 주제별로 읽어보면 좋은 책 등 실용적인 독서의 방법부터, 책 읽기에 대한 추억과 애정, 도서관 순례, 인생을 바꾼 책 등 개인적인 경험까지 모두 담아낸 이 책은 ‘앎의 기쁨’이 동력이 되는 또 다른 지적 독서의 세계를 보여준다. |
프롤로그 마음의 코어 근육 만들기 1장 정신과 의사의 책 읽기 책을 읽다가 즐거워지는 순간│앎의 경계를 긋는다는 것│독서에 관한 첫 번째 기억│닉네임 옥수동 도서관이라는 천국│킹스크로스역 9와 3/4│적극적인 우연이 주는 발견│정신과 의사의 책 처방 2장 텍스트의 소유 도대체 책은 언제 보세요?│책 고르기 3분류의 법칙│책에 대한 정보는 어디서 얻을까│완독의 기준│책을 완전히 내 것으로 만드는 방법│독서의 생산성 높이기│일 년간의 독서 지도 그리기│명예의 전당 3장 어쩌다 보니 작가 추천사 쓰기의 정석│능동적인 독서의 기술│마음을 읽는 서가│저자로 살아가기│책을 만드는 사람들 4장 많이 읽어보니 알게 된 것들 단편집은 첫 편부터│그림책 속의 상상력│책을 선물할 때 생각해볼 것│우호적 독자의 행동 강령│저자 소개에서 글쓴이를 상상하기│여행에 함께할 책 고르기│베스트셀러의 공식│함께 읽기라는 낯선 경험 5장 이런 책을 권하고 싶습니다 정신분석을 공부하고 싶다면│불안에 대한 책│우울증을 이해하기 위해서│정신과도 후기가 필요하다│믿고 선택하는 심리서 전문 출판사│괜찮은 어른에 대한 그림을 그려보려면│일과 덕질의 균형│쓴소리가 필요한 순간│대작의 숙명│책을 좋아하는 사람의 책│내 인생의 책 에필로그 꾸준히 읽어가는 것뿐 하지현이 읽은 책들 추천의 글 |
책읽는 스타일이 똑같다 이 반가운 마음 기분 좋다.
백수인데 1년에 130권 읽는다 많이 읽는다고 생각했는데 의사 바쁜 직업이다 150권 읽다니
지독한 고수를 만났다.
누군가의 독서 습관을 참고하는 것도 독서인에겐 유용한 배움이다.
책을 읽다보면 작가가 다독가인 사람을 가끔 만난다.
좋은 책을 정말 많이 소개한다. 시간과 돈에 한정이 있어 몇권만 골라산다.
소개된책 좋은데 다살 수도 없고 작가가 밉다.
잘썼고 좋은 글이고 책마다마다에서 내용이 어떤 것이고 무슨 의미를 담고있는지 부연
설명을 정성껏해주어 좋았다.
서재에 관한 책을 가끔 사읽는데 모두 작가의 책장 사진이 몇컷 있거나 표지에 디자인 되어 있기도하다.
여기선 덜렁 의자와 책상만 있다 물론 나름 의미도 있겠지만 저자의 서재사진이 없다는게
조금은 아쉽다.
제 생각에 환자들이 정신과 상담을 꺼리는 이유는 드라마마다 정신과 환자를 괴물인양 다루기 대문입니다.
그냥 마음의 감기인데 자신의 인기를 위해 일부 사람들을 희생시키는 드라마 작가들의 이기심이 문제입니다.
P240 인생쓴소리 2권 카트에 바로 담았다 카트와 리스트에 담긴 책도 많아
진짜 읽고 싶은데 일부러 차버린 책이 많다 두권은 보자마자 바로 구매했다.
좋은 책 좋은 말이 많은데 한줄만 옮겨적고 제목 좀 옮겨 적어본다 잘봤다.
긴 인생에서 내가 흔들리지 않도록 중심을 잡아주는 책은 반드시 필요하다.
추천도서
카우치에 누워서
주말엔 숲에서
망각의 기술
풀하우스
인간은 왜 늙는가
알래 드 보통(불안)
배움의발견
우리는 다시 한번 별을 본다
김애란(입동)
그쪽의 풍경은 환한가
100만번 산 고양이
불안해도 괜찮아
정신과는 후기를 남기지 않는다
죽고 싶지만 떡볶이는 먹고 싶다
정신분석적 발달이론
어른의 의무
서재겨혼시키기
88
이 책은 정신과 전문의이자 작가인 하지현 교수의 책에 관한 에세이다. 제목만 보고 생각했던 대로 정신과 의사의 서재는 어떤 책들로 채워져 있을지 궁금했고, 한편으로는 책을 좋아하는 누군가의 이야기를 들어보고 싶은 마음에서 이 책을 읽게 되었다.
저자는 독서가 세상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인식을 깊어지게 만든다고 하며, 자신은 마음의 코어 근육을 단련하기 위해 책을 읽는다고 말한다. 저자는 이 책에서 독서에 대한 저자의 생각, 책을 고르는 방법, 저자만의 독서 방법 등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놓는다. 여러 이야기들 중에서 추천사를 쓰는 방법과 저자가 책을 읽으며 필요한 부분을 메모하거나 발췌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정리·분류하는 것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는 내용이 특히 기억에 남는다. 책의 마지막에는 저자가 관심 있는 분야에 관한 책을 추천하는 부분도 있었다. 다독가이자 정신과 의사가 추천하는 책 목록이어서 책을 읽기 전 목차를 살펴보며 가장 궁금했던 부분이었는데, 역시나 이 부분을 읽고 나니 궁금한 책들이 많아 나의 읽을 책 목록이 꽤나 늘어나 있었다.
【 처음 10~20페이지를 읽을 때 느낌이 온다. 머리말과 1장을 읽으면서 바로 펜을 들고 줄을 긋기 시작할 수밖에 없는 책과 그 정도의 감흥은 없는 책으로 말이다. 줄을 그을 부분이 바로 보이면 신이 난다. 월척이 걸린 무게감으로 팔에 바짝 힘을 준 낚시꾼 같은 흥분이다. 인상적인 부분이 있으면 무조건 줄을 잔뜩 치면서 읽는다. 】 (p. 83)
【 책을 읽으며 알게 된 지식들이 한쪽에 모여 줄을 짓는다. 반대쪽에서는 내 삶의 경험 속 조각들이 다른 색의 줄을 만든다. 이 둘이 서로 만나 직조해 새로운 패브릭을 만든다. 그 안에서 새로운 아이디어나 깨달음을 얻는 것이다. 그냥 읽는 게 아니라, 내 안에 담겨 있는 경험, 지식, 감정과 만나서 화학 작용을 일으킨 다음에야 그 내용은 온전히 내 것이 된다. 독서의 희열은 바로 이 지점에서 발생한다. 내게 기억으로 남는 것들은 책의 온전한 모습이 아니라, 이렇게 새로 짜여진 패브릭이다. 사람들이 같은 책을 읽어도 기억하는 내용이 모두 다른 이유다. 】 (p. 85)
【 예전부터 나에게 짧건 길건 여행을 갈 때 최고의 고민은 책이었다. 여행 가방에 어떤 책을 넣고, 몇 권 정도가 적당할지 결정해서 넣는 것. 출발하는 당일까지도 제일 중요하게 고심하는 일이었다. 일주일 정도 해외 학회나 휴가를 갈 때가 가장 고민을 많이 할 때다. 비행기에서 읽을 책, 호텔에서 시차 적응에 실패한 한밤에 일어나 읽을 책, 학회장에서 한국어가 고플 때 읽을 책, 돌아다니다 다리를 쉬면서 카페에서 읽을 책, 기차에서 읽을 책 등등 상황이 다른 만큼 필요한 책도 모두 다르다. 밥을 배부르게 먹고 난 다음 디저트 먹는 배는 따로 있는 것이고, 고기를 아무리 먹어도 2차에 맥주 마실 배는 언제나 따로 존재하는 것처럼. 】 (p. 171)
나도 책을 좋아하는 사람이고 즐겨 읽는 편이라 저자의 말에 공감이 가는 부분이 많았다. 책을 좋아하는 사람이 풀어놓는 책 이야기는 언제나 반갑다. 정신과 의사의 서재 속 책들과 그의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정신과 의사의 서재>를 읽어 보길 바란다. 책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끄덕끄덕 공감하며 읽는 재미를 맛볼 것이다. 또한 읽어 보고 싶은 책이 한가득 늘어나는 것도 덤으로 얻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