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출간일 | 2020년 11월 09일 |
---|---|
쪽수, 무게, 크기 | 224쪽 | 572g | 188*257*12mm |
ISBN13 | 9791189946784 |
ISBN10 | 1189946785 |
출간일 | 2020년 11월 09일 |
---|---|
쪽수, 무게, 크기 | 224쪽 | 572g | 188*257*12mm |
ISBN13 | 9791189946784 |
ISBN10 | 1189946785 |
교사들은 수업 중에 수없이 많은 질문을 던지면서도 자신의 질문이 학생에게 도움이 되는 좋은 질문인지 확신하지 못한다. 교육과 학습에서 질문을 강조해 온 까닭은 학생이 질문할 때 스스로 생각하는 힘이 길러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실제 수업 현장에서는 학생의 암기와 이해 여부를 그저 확인하는 수준의 질문이 오가고 있다. 이 책은 무엇이 좋은 질문이며, 좋은 질문은 어떻게 만들 수 있는지를 알려 준다. |
옮긴이 서문 5 감사의 글 8 도입 좋은 질문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14 01 사고력 계발을 위한 질문이란 무엇인가 21 사고의 엄밀함이란 무엇인가 25 좋은 질문하기를 통해 어떻게 사고의 엄밀함을 촉진할 수 있는가 35 사고의 엄밀함을 촉진하기 위한 질문을 활용해 어떻게 가르칠 수 있는가 38 결론 39 교사 전문성 계발│ 학습 목표에서 좋은 질문을 만들어보자 40 02 좋은 핵심적 질문이란 무엇인가 42 좋은 핵심적 질문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44 좋은 핵심적 질문을 활용해 어떻게 가르칠 수 있는가 59 결론 60 교사 전문성 계발│ 좋은 핵심적 질문을 만들어보자 61 03 좋은 사실적 질문은 어떻게 더 깊이 있는 학습의 토대를 마련하는가 63 좋은 사실적 질문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65 좋은 사실적 질문을 활용해 어떻게 가르칠 수 있는가 71 결론 76 교사 전문성 계발│ 좋은 사실적 질문을 만들어보자 78 04 좋은 분석적 질문은 어떻게 지식과 사고를 심화하는가 80 좋은 분석적 질문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82 좋은 분석적 질문을 활용해 어떻게 가르칠 수 있는가 91 결론 95 교사 전문성 계발│ 좋은 분석적 질문을 만들어보자 97 05 좋은 성찰적 질문은 어떻게 지식과 사고를 확장하는가 100 좋은 성찰적 질문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102 좋은 성찰적 질문을 활용해 어떻게 가르칠 수 있는가 109 결론 116 교사 전문성 계발│ 좋은 성찰적 질문을 만들어보자 117 06 좋은 가설적 질문은 어떻게 호기심과 창의력을 불러일으키는가 118 좋은 가설적 질문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120 좋은 가설적 질문을 활용해 어떻게 가르칠 수 있는가 128 결론 135 교사 전문성 계발│ 좋은 가설적 질문을 만들어보자 136 07 좋은 논증적 질문은 어떻게 선택, 주장, 논란을 다루는가 138 좋은 논증적 질문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140 좋은 논증적 질문을 활용해 어떻게 가르칠 수 있는가 146 결론 157 교사 전문성 계발│ 좋은 논증적 질문을 만들어보자 158 08 좋은 정서적 질문은 어떻게 차별화와 개인적 특성을 지원하는가 160 좋은 정서적 질문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162 좋은 정서적 질문을 활용해 어떻게 가르칠 수 있는가 171 결론 179 교사 전문성 계발│ 좋은 정서적 질문을 만들어보자 180 09 좋은 개인적 질문은 어떻게 학습 동기를 부여하는가 182 좋은 개인적 질문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183 좋은 개인적 질문을 활용해 어떻게 가르칠 수 있는가 184 결론 185 교사 전문성 계발│ 좋은 개인적 질문을 만들어보자 187 10 학생은 좋은 질문을 어떻게 다루고 그에 답해야 하는가 188 학생의 반응을 어떻게 평가할 수 있는가 188 학생으로부터 깊이 있는 반응을 끌어내는 법 191 부록 A 사고의 엄밀함 질문 틀 196 부록 B 보편적 핵심 질문의 예 200 부록 C 총체적 핵심 질문의 예 203 부록 D 난제 또는 불가능한 프로젝트를 다루는 논증적 질문 211 참고문헌 213 찾아보기 217 저자 소개 224 |
어릴적부터 질문왕이었던 나는 부모님을 꽤 귀찮게 한 아이였다. 오죽하면 꼬리를 무는 질문에 부모님께서 나를 데리고 새로운 곳에 다니시길 포기하였을까. 지금은 어릴적보다 덜하지만 아직도 질문을 하던 기질이 남아 있어 "왜?"라는 질문을 많이 하는 편이다. 그런데 이런 내가 좋은 질문에 대해 오랜 기간동안 고민을 하게 될 줄이야. 신규 교사들뿐만 아니라 경력이 많은 교사들도 좋은 질문에 대해서는 항상 고민할 것이다. 사실 시중에 좋은 질문에 대한 책은 많지만 수업을 하는 교육자를 위한 책은 생각보다 편수가 적은 편이다. 그만큼 좋은 질문이라는 것이 어려운 부분이라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평소 나는 아이들에게 좋은 질문을 해야 한다는 강조를 하며 교육활동을 해 왔다. 지금 생각해보면 좋을 질문의 유형을 몇가지 가르쳐주고 비슷한 패턴으로 질문을 만들도록 지도했던 것 같다. 처음에는 어려워하는 아이들도 시간이 지날수록 좋은 질문을 만들고, 좋은 질문을 알아보는 안목이 생겼던 것 같지만 지속적으로 이어지지는 못했다. 아마도 '이거 좋은 질문이야!'의 내용처럼 체계적으로 질문에 대해 지도하지 않은 것이 지속성을 보장하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이거 좋은 질문이야!'는 내가 항상 아이들에게 하던 이야기와 같은 제목의 도서라 더욱 반가웠다. 게다가 나의 가장 고민거리인 질문에 대해 다루고 있다니 그 반가움은 더해졌다. 이과적인 나의 성향에도 딱 맞게 질문의 유형별로 공통적인 패턴의 정리된 글이 마음에 들었다. 번역서라 약간은 어색한 질문도 있지만 지금 내가 가르치고 있는 내용에 변형하여 적용해도 될만한 예시 자료 역시 매우 유용하였다. 그러나 이 책이 단순하게 좋은 질문의 예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좋은 질문을 만드는 방법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는 저자의 이야기처럼 이 책의 내용을 활용하여 좋은 질문을 만들어야 하는 과제가 남았다. 책을 읽고 나니 코로나19로 여전히 어렵겠지만 아이들과 좋은 질문을 하게 될 신학기가 기대된다.
이 책은 차례가 모두 질문이다. 그 차례의 질문들을 모아 보니 31개 정도 되었다. 차례의 질문들을 하나씩 읽어 보면서 그에 대한 답을 생각하고 있는 나를 발견하게 되었다. 그렇다. 바로 질문의 힘이었다. 차례에 나온 질문들을 열거해 보면 이렇다.
좋은 질문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사고력 계발을 위한 질문이란 무엇인가? 사고의 엄밀함이란 무엇인가? 좋은 질문하기를 통해 어떻게 사고의 엄밀함을 촉진할 수 있는가? 사고의 엄밀함을 촉진하기 위한 질문을 활용해 어떻게 가르칠수 있는가? 좋은 핵심적 질문이란 무엇인가? 좋은 핵심적 질문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좋은 핵심적 질문을 활용해 어떻게 가르칠 수 있는 것인가? 좋은 사실적 질문은 어떻게 더 깊이 있는 학습의 토대를 마련하는가? 좋은 개인적 질문은 어떻게 학습 동기를 부여하는가? 학생은 질문을 어떻게 다루고 그에 답해야 하는가? 등의 수 많은 질문을 하고 방법에 대해 설명해 준다.
이 책의 목적은 학생의 더 깊이 있는 사고를 촉진한다는 등의 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좋은 질문을 만드는 방법을 독자가 이해하도록 돕는 것이라고 한다. 각 질문의 끝마다 교사 전문성 계발을 할 수 있도록 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목표와 자료, 절차를 통해서 충분히 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점이 좋았다.
개념과 내용을 폭넓게 이해하는 핵심적 질문, 정보와 사실을 인식하고 파악하는 사실적 질문, 사건과 현상을 조사하고 설명하는 분석적 질문, 원인, 관계, 결과, 영향에 대해 광범위하게 생각하는 성찰적 질문, 창의적으로 상상하는 가설적 질문, 다양한 관점을 고려하고 타당한 주장을 구성하는 논증적 질문, 신념과 의견을 자신만의 방식으로 표현하는 정서적 질문, 자신이 배운 것과 더 배우고 싶은 것에 대해 숙고하는 개인적 질문을 유형화해서 제시해 주는데, 나에게 가장 와닿았던 것은 개인적 질문이었다. 학생으로부터 깊이 있는 반응을 끌어내는 법을 자세하게 알려준다. 그 방법으로는 보여주고 말하라, 한 단어 또는 한 문장의 반응을 자제시켜라, 뭘 의미하는지 물어보라, 정보를 다른 말이나 형태도 바꾸어 표현하라, 전문가처럼 가르쳐라, 학생이 자신의 성적을 선택하게 하라가 있었다.
좋은 질문을 만드는 것이 고민인 사람들에게 한 번 읽어 보라고 권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