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출간일 | 2020년 12월 24일 |
---|---|
쪽수, 무게, 크기 | 136쪽 | 208g | 128*207*20mm |
ISBN13 | 9791189467210 |
ISBN10 | 1189467216 |
출간일 | 2020년 12월 24일 |
---|---|
쪽수, 무게, 크기 | 136쪽 | 208g | 128*207*20mm |
ISBN13 | 9791189467210 |
ISBN10 | 1189467216 |
MD 한마디
[시 쓰는 집사의 러브레터] 『나 개 있음에 감사하오』 댕댕이 시집에 이은 고양이 시집. 열여덟 명의 시인들이 자신의 반려묘를 생각하며 쓴 시와 산문을 엮었다. 유심한 시인과 무심한 고양이는 오늘도 서로를 살게 하고 각자의 방식과 언어로 사랑을 주고 받는다. 이 책은 시 쓰는 '집사'들이 애정 어린 단어를 골라 고양이에게 보내는 러브레터다. - 시MD 김소정
속 모를 고양이 마음, 시인의 눈길로 헤아려보다 세상 모든 고양이들에게 바치는 책 『그대 고양이는 다정할게요』가 아침달에서 출간됐다. 지난해 출간된 『나 개 있음에 감사하오』에 이은 책으로, 고양이와 함께 사는 열여덟 명의 시인들이 반려묘에 관해 쓴 36편의 시와 짧은 산문을 엮었다. 책의 서두에는 고양이 시점으로 ‘집사’에게 건네는 짧은 이야기를 김지희 작가의 그림으로 담아내 사랑스러움을 더했다. 국내 반려동물 동반 인구 추정치가 천만에 달하는 오늘날, 인간이 다른 동물과 공생하는 일을 생각해보는 일은 의미 있다. 고양이는 쉽게 길들여지지 않는 존재다. 때문에 인간과 더불어 살면서도 독립적인 고양이의 태도는 인간의 마음으로는 알기 어렵다. 알 수 없는 반려묘를 관찰하고 헤아리려는 시인들의 눈길이 주목되는 까닭이다. 시인들의 눈에 비치는 고양이들의 모습은 각양각색이다. 황인숙 시인에게 고양이는 털을 아무리 빗어주어도 끝없이 털을 만들어내는 털의 마술사다. 신미나 시인이 보는 고양이는 인간이 시를 읽어주든 무얼하든 신경도 안 쓰고 제 할 일에만 바쁜 시큰둥한 존재다. 한정원 시인이 보는 고양이는 반려인과 숨바꼭질을 즐기는 장난꾸러기다. 각양각색의 모습 와중에 인간을 고생시킨다는 점은 일관적이다. 이토록 무심한 듯 자기중심적이면서도 사랑스러운 고양이들을 어쩌면 좋을까. 권민경 시인은 “고양이의 호기심은 우리의 이해 범주 안에 들기도 하고 넘어서기도 한다”면서 고양이에 대한 사랑은 짝사랑이라고 말한다. 그 말대로, 공생하기 위해 우리에게 먼저 필요한 것은 종족 사이의 이해를 넘어서는 애정이 아닐까? |
권민경 간신배 관심배 철수(여, 9살) | 사단법인 취업 지침 | 정물 김건영 나의 단이 | Take a look | 기쁠 때나 슬플 때나 야옹 김승일 네가 보고 싶어 | 한지는 웃지 않는다 | 나는 모스크바에서 바뀌었다 김잔디 살아 있는 동안 우리는 | 고양이 심정 | 고양이 잠 김하늘 나의 늙은 고양이 | NEAR AND DEAR | Pit a pat 박시하 알 듯 모를 듯 사랑해 | 콘택트 | 너의 집에 산다 배수연 누가 누가 함께 | 누 | 아메 백은선 뾰족한 투명 | 아이누 | 날개가 길어지면 찾아갈게 신미나 묘곡장 | 묘책 | 궁남지 유진목 동시에 | 옥사나 | 동묘 이민하 그분이 오신다 | 신비주의 | 시간 속의 산책 이현호 오늘의 방 | 고양이 세수를 배우는 저녁 | 계시 조은 개 떼 | 아직도 | 젠틀맨을 들이다 지현아 고릉고릉 | 넌 어디에 있니 | 고라 최규승 뭐, 닮은 데, 있는, 없는 | 그루밍 선데이 | 너라는 고양이 한연희 너무나 다른 너희 | 호랑과 신령 | 손톱달 한정원 The Apple of My Eye | 10시 10분 | 나 어디 있게? 황인숙 눈 오는 날, 삼냥이들 | 털 빗는 노래 | 란아, 내 고양이였던 |
고양이를 키우는 친구에게 선물할까 싶어 선물 전에 미리 제가 사서 읽어보았는데 결론적으로 선물은 안하기로 했어요. 고양이를 키우지 않는 저도 이렇게 오열하면서 읽었는데 투병중인 고양이와 함께 사는 친구에게 이 책을 선물하는건 너무 가혹한 일 같아서요.
하지만 여러 작가님들이 동반묘들과 주고 받는 따뜻한 시선이 다정한 언어로 표현되어 읽는 내내 좋았어요. 느긋한 오후 살랑살랑 불어오는 봄바람을 느끼며 푹신한 쇼파에 앉아 고양이와 함께 평온하게 자다 깨서 책 읽는 기분이었습니다.
고양이를 키워서 그런가, 이 책의 제목을 보자마자 구매 버튼을 눌렀다. 표지부터 각각의 시까지 너무나 마음에 드는 책이었다. 시를 읽다보면 공감이 가는 구절도 많고, 너무 공감이 가다보니 눈물까지 나오는 부분이 많았다. 이 책은 왜 이리 따스하고 다정한 것인가. 왜 이리 보드랍고 포근한 것인가. 다 읽고 나면 내 곁에 누워있는 고양이를 꼭 안아주고 싶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