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출간일 | 2021년 03월 22일 |
---|---|
쪽수, 무게, 크기 | 292쪽 | 360g | 128*188*17mm |
ISBN13 | 9791190885669 |
ISBN10 | 1190885662 |
출간일 | 2021년 03월 22일 |
---|---|
쪽수, 무게, 크기 | 292쪽 | 360g | 128*188*17mm |
ISBN13 | 9791190885669 |
ISBN10 | 1190885662 |
『사물의 뒷모습』이 [현대문학]에서 출간되었다. 조각가, 예술가라는 장르를 뛰어넘어 사물과 형상, 나아가 자신의 삶의 태도와 사유를 소박하고 순수하게 표현한 안규철의 에세이집이다. 그는 ‘내 이야기로 그린 그림’이란 제목으로 월간 [현대문학]에서 2010년부터 11년 간 연재해오고 있다. 그 첫 번째 책으로 2013년 출간된 『아홉 마리 금붕어와 먼 곳의 물』의 후속작인 『사물의 뒷모습』은 2014년 1월호부터 연재한 글과 그림 67편을 엮은 것이다. |
책머리에 1 식물의 시간 형태와 형태 아닌 것 · 공 · 그릇들 · 바람이 되는법 · 인공누액 · 무뎌진톱 · 녹 · 물건들 · 눈물 전기 · 겉과 속 · 유리잔 · 나사못 · 관성 · 균형의 문제 · 꽃나무의 소묘 · 신호들 · 소리들 · 나무에게 배워야 할 것 · 살아지다 · 씨앗 · 식물의 시간 2 스무 개의 단어 주어가 없는 세상 · 이름에 대하여 · 소음에 대하여 · 말들의 폐허에서 · A와 B의 문제 · 가假주어 · 귀뚜라미는 울지 않는다 · 잡초 · 간발의 차이 · 스무 개의 단어 · 말의 유효기간 · 직각直角의 문제 3 예술가들에게 은혜를 예술가가 사라지는 법 · 두 개의 벽 · 머그컵 · 완성되지 않는 원圓 · 박새의 날개 · 이명耳鳴 · 씨줄과 날줄 · 스케치북에 쓰는 글 · 연필과 지우개 · 실패하지 않는 법 · 보이저 2호 · 피라미드 · 100세 시대 · 예술가들에게 은혜를 · 모든 것이면서 아무것도 아닌 것 · 4 마당 있는 집 중력 · 목요일까지 · 미세먼지 · 우리가 배우지 않은 것 · 좋은 목수 · 마당 있는 집 · 작업실 · 외딴집에서 · 어제 내린 비 · 안부 · 아버지보다 늙은 아들 · 옛날 사진 · 머물지 않는 것들 ·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을 때 · 아빠는 우리와 같이 살지 않아요 · 메시지 · 시간과의 경주 · 집 · 엽서 추천사_ 윤동구ㆍ안소연 |
제목이 너무 좋아 무의식적으로 장바구니에 담고, 그렇게 구매를 해버린 기억이 남은 책이다. 책장 속에 한동안을 보내다가 눈에 띄어 꺼내어 읽어본다. 사물의 뒷모습이라니 참 멋진 말과 시선인 것 같다. 동전에도 양면이 있듯 우리가 보는 모든 것들에는 우리가 보지 못하는 면이 분명 있을 것이다. 스웨덴의 시인 토마스 트란스트뢰메르의 '작은 잎'이라는 시에는 이런 구절이 있다.
'우리는 모든 것을 보며 아무것도 보지 않는다.'
자신에게 세상은 자신의 인지 속에서 만들어진 것이라고 하지만 내가 생각하지 못했던 부분에 대해서 끊임없이 고민하는 것은 어쩌면 내 눈에 닿은 그것에 대한 예의가 아닐까 싶다. 12개의 얼굴을 가진 어느 관음보살상처럼 여러 면으로 바라볼 수 있는 능력은 없지만 그래서 고민하고 사색하는 행위는 참 중요한 것 같다.
그렇다고 이 책이 엄청난 통찰력을 얘기하는 책은 아니다. 살아가면서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생각들을 적어 둔 에세이이기 때문이다. 때로는 '그렇네'라며 시큰둥하기도 하고 때로는 '그렇구나'라고 돌 트이는 소리가 나기도 한다. 그런 글과 함께 담긴 담백한 삽화는 보는 눈을 즐겁게 하기도 한다.
몇 가지를 얘기하자면 이렇다.
코로나 시대에 집안에 틀여 박혀 쓰는 말은 스무 단어나 될까 싶다. 반대로 시끌벅적한 바깥세상에서도 쓰는 말은 스무 단어보다 많을까? 무의미한 대화를 하며 시간을 흘려보내고 있지는 않은지, 그저 획일화된 대화만 하고 있진 않은지 고민해 본다. '안녕하세요', '수고하세요', '그럼, 이만'. 사실 그렇게 다양한 단어를 써가며 논쟁할 일도 사색을 나눌 일도 없다.
우리가 만들어 내는 문장에는 항상 주어가 존재한다. 생략을 하든 하지 않든 말이다. 주어는 동사를 하는 주체라고 하지만 정말 그럴까. '바람이 분다'와 '봄이 온다'에서 주어인 '바람'과 '봄'은 정말 스스로 불고 스스로 오는 것일까. 태양이 있고 지구가 회전하고 기체의 대류가 발생하고 그런 온갖 것들이 행위를 만든 거라면 주어의 의지대로 동사를 사용하는 것이 성립하는 걸까. '나는 공부한다'는 순수하게 내가 공부하는 것일까. 무언가에 의해 공부를 하고 있는 건 아닐까. 사실 말장난 같지만 그것이 우리가 쓰는 말의 뒷모습이 아닌지 생각해 본다. 물론 말꼬리 물기를 하면 결국 모든 의지의 주체는 '빅뱅'이 되겠지만, 주어에 대한 이해와 배려가 가능하게 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우리는 어느샌가 자신의 일 외에 것을 알지 못하는 세상에 살고 있을지 모른다. '사용자 편의성'이라는 단어를 통해서 격리되고 있는지 모르겠다. 요즘 TV는 예전보다 훨씬 좋아져서 많은 부분을 알아서 해주고 쉽다. 하지만 고장이 났을 때에 우리가 할 수 있는 고작 전문가를 부르는 일이다. 사실 그들이 할 수 있는 일도 거의 없다. 그저 부품 모듈만 교체해 줄 뿐이다. 사실 이런 관계는 우리 삶과 무관하지 않다. 우리가 사물 혹은 사건의 겉에만 관심이 있고 그 내부에 무관심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고장 난 것이 우리 자신이거나 우리가 속한 집단일 때 혹은 그 집단을 움직이는 제도일 때라도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거의 없다.
평범한 사람이 평범하게 만날 수 있는 상황에서의 개인적 사색을 담은 책이다. 속지가 빳빳해서 펼쳐보기 힘든 점이 있지만 마치 도화지를 사용한 화가의 느낌처럼 글을 담았다. 그래서 두꺼운 종이가 마음에 들었다. 무심코 지나쳐도 살아가는데 큰 문제는 없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내가 스친 많은 것들과 나 자신의 뒷모습을 보며 자신이 깨닫지 못했던 모습을 보려는 노력은 나에 다르게 보는 능력을 가져다주는 동시에 조금 더 따뜻한 사람으로 만들게 해 줄 것 같다.
빠르게 걷는 것만이 미덕인 시대에 잠깐 서서 쳐다봐야만 알 수 있는 것들이 있다는 것을 기억해둬야겠다.
면접 가서 멘탈 무너지지 않으려고 책 읽었다. 안규철의 『사물의 뒷모습』. 아침에 일어나서 책상에 앉아. 창문 열어 놓고 새소리를 배경음 삼아 천천히 읽어 나갔다. 집중력이 꽝이라 한 시간 읽고 밥 먹었다. 밥 먹었으니 누웠다. 집 안에서만 생활하는데도 체력이 달리는 건 기분 탓인가. 청소, 설거지만 했을 뿐인데 힘이 없다. 자기 전 역시 누워서 『사물의 뒷모습』을 읽었다. 떨린다. 왜 떨릴까. 또 이상한 소리 들을까 봐. 그 이상한 소리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할까 봐.
그림이 있고 글이 있다. 단순한 책이다. '종이에 연필'로 그린 그림은 담담한 내용의 에세이와 잘 어울린다. 그림을 평가하는 능력은 없으니 심심한 그림체가 좋다는 말 밖에는. 글은 시와 산문의 경계를 자유롭게 넘나든다. 요즘은 그렇다. 힘이 될만한 글을 찾아 읽으려고 한다. 힘이 되지 않을 글이어도 힘이 되지 않을까 하면서 읽는다. 그렇게 힘을 찾고 있다. 애써 힘을 찾으며 무너지지 않기 위해 애를 쓴다. 책은 소중한 위안이다.
『사물의 뒷모습』은 우리가 볼 수 없는 달의 뒷면처럼 사물이 가진 이면을 찾아내 들려준다. 조용한 산사에 들어가서 읽으면 좋을 책이다. 그림 한 번 보고 생각에 잠겼다가 느리게 글을 읽고 나서 생각에 빠진다. 계속 생각하게 만드는 책이다. 어제의 기억과 오늘의 감정을 곱씹게 된다. 내일은. 내일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할 수 있게 해주면 좋겠지만 그렇게 되진 않는다. 아직 오지 않은 미래를 걱정하는 바보 같은 일을 하지 않으려고 책을 읽지만 번번이 실패한다.
내일 일찍 일어나야 한다는 부담감에 책을 마저 다 읽지는 못했다. 단체 면접이라는 걸 처음 봤다. 그냥 개 망했다는 후기. 차가 없는 뚜벅이는 걸어서 집으로 올라왔다. 와. 높은 우리 집. 땀 좀 식히려고 의자에 앉아 있었는데 지나가는 일본인 아줌마에게 전화번호 따였다. 무슨 실천 모임이라는데 엉겁결에 주소와 번호를 써주고 말았다. 왜 그랬나. 바보. 거절 좀 하지. 집에 와서 낮잠 자고 일어나 『사물의 뒷모습』을 진짜 다 읽었다.
책 리뷰 쓰는데 전문적인 내용은 하나도 없고 책 읽은 과정만 나열하고 있다. 멘탈 관리하려고 읽었지만 어김없이 멘탈은 깨졌다. 복구하려고 다시 책 읽고. 역시나 드러누워서. 면접이란 무엇일까. 사람의 앞면만을 보는 시간 아닐까. 이력서에는 적히지 않은 그이의 뒷면을 보는 것 까지는 바라지 않는다. 적힌 내용이라도 제대로 물어봐 주기를. 그러지 않아서 세계의 뒷모습을 염탐하는 이의 치열한 기록을 읽는다. 내가 어떤 사람인지 잘 알아봐 주는 건 책이 전부다.
rm의 독서리스트로 읽은 책. 나도 같은 부분을 스크랩했다.
누군가 나에게 만약 후에 부모가 된다면 아이에게 무엇을 가르치고 싶느냐 묻거든 망설임 없이 관찰이라 답하고 이 책을 권할 것 같다.
잠시 멈춰서 바라보고, 자신의 시각으로 바라보고, 또 입장을 대입해보기도 하면서 관찰하는 사람이 되기를.
드러나는 표면보다도 그 이면까지도 바라보는 사람이 되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