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정보
출간일 | 2021년 04월 26일 |
---|---|
쪽수, 무게, 크기 | 336쪽 | 446g | 140*210*22mm |
ISBN13 | 9791191438024 |
ISBN10 | 1191438023 |
출간일 | 2021년 04월 26일 |
---|---|
쪽수, 무게, 크기 | 336쪽 | 446g | 140*210*22mm |
ISBN13 | 9791191438024 |
ISBN10 | 1191438023 |
MD 한마디
할머니의 『해님 달님』 이야기에서 막 튀어나온 것 같은 호랑이가 미국 워싱턴주에 사는 한국계 여자 아이 앞에 나타나면서 이야기가 시작되고, 떡과 김치, 고사 같은 한국의 문화가 책 전반에 걸쳐 등장한다는 점이 무척 흥미롭습니다. 한국계 작가인 태 켈러의 자전적 이야기가 담긴 이 책에서 작가는 자신이 물려받은 전통과 가족의 힘을 이야기의 마법을 통해 아름다운 별로 반짝이게 합니다. - 어린이MD 김현기
“할머니, 이야기 하나 해 주세요.” 할머니는 웃음을 머금고 깊은 숨을 한 번 쉰 다음, 한국식 “옛날 옛날에”로 이야기를 시작했다. “옛날 옛날에, 호랑이가 사람처럼 걷던 시절에……” ‘조아여’(조용한 아시아 여자애) 릴리, 병든 할머니를 위해 ‘마법 호랑이’와 대결하다! 한국계 여성 작가 태 켈러(27)가 쓴 2021년 뉴베리상 대상 수상작 『호랑이를 덫에 가두면』(원제: When You Trap a Tiger, 2020)이 돌베개에서 출간되었다. 이미 한국에도 출간된 데뷔작 『깨지기 쉬운 것들의 과학』이 그랬듯, 태 켈러는 이번에도 사랑하는 가족을 위해 모험에 뛰어드는 한국계 미국 소녀를 주인공으로 등장시킨다. 릴리네 가족은 병에 걸린 외할머니를 돌보기 위해 캘리포니아에서 워싱턴주로 이사한다. 어느 날, 할머니의 「해님 달님」 이야기에서 튀어나온 것만 같은 호랑이가 릴리 앞에 나타나 솔깃한 제안을 한다. 옛날 옛날에 네 할머니가 훔쳐 간 것을 돌려주면 할머니를 낫게 해 주마. 릴리는 온 힘을 다해 달리기 시작한다. 할머니를 구하기 위해서, 사랑하는 가족을 지키기 위해서. 그러나 호랑이가 사람의 소원을 순순히 들어줄 리가! 『호랑이를 덫에 가두면』은 자신을 ‘투명 인간’이라고 정의하고, 언니로부터는 ‘조아여’(조용한 아시아 여자애)라고 불리는 릴리가 ‘마법 호랑이’와 밀고 당기는 줄다리기를 하는 과정 속에서, 마음 깊숙이 숨겨 둔 고통과 슬픔, 분노와 욕망, 드러내기 힘든 진실과 마주할 용기를 깨닫는 이야기다. 한편으로는 이야기의 힘, 가족의 마법, 자아 정체성 탐구, 강인한 한국 여성들에 관해 말한다. |
호랑이를 덫에 가두면 9 저자의 말 325 감사의 말 331 |
미나리처럼 느낌이 좋은 책
벚꽃이 막 피기 시작할 즈음 출판사 담당자분으로부터 새 책 출간 소식을 들었다. 뉴베리상 대상 수상 작품을 준비 중인데, 작가는 한국계 3세 미국인이고 책에 호랑이와 한국인 할머니가 나온다는 것이다. 여기까지 들었을 때 기대감으로 눈이 번쩍 뜨였다. 조금 부풀려 말하자면 이 책은 출판계의 미나리! 미나리는 어디서든 잘 자라듯이, 이 책 또한 어디서든 잘 팔리리라! 검토용 가제본을 전달 받았다. 정식 출간 전에 먼저 책을 받아볼 수 있다는 것이 MD라는 직업의 장점이라면 장점. 표지는 원서 디자인을 그대로 썼는데, 우리 전래동화에서 볼 수 있을 법한 호랑이 일러스트가 가운데 배치되어 있다. 이 책 왠지 느낌이 좋았다. 갇혀 있기를 거부한 이야기 릴리네 가족은 병에 걸린 외할머니를 보살피기 위해 캘리포니아에서 워싱턴주로 이사를 한다. 할머니 집에 거의 도착할 무렵 릴리는 할머니의 옛 이야기에 등장할 법한 호랑이를 목격한다. 오직 릴리에게만 보이는 이 마법 호랑이는 할머니가 훔쳐간 이야기를 돌려주면 할머니를 낫게 해주겠다고 제안한다. 릴리는 사랑하는 할머니를 구하기 위해 마법 호랑이와 정면으로 승부하는 것을 선택한다. 릴리는 자신을 “투명인간”으로 정의하고, 언니로부터는 “조아여(조용한 아시아 여자애)”라고 불리는 아이이다. 반면에 릴리의 언니 샘은 “조아여”가 되지 않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는 사춘기 소녀이다. 릴리는 그런 언니에게 마법 호랑이 이야기를 털어 놓을 수가 없다. 엄마에게도 마찬가지. 호랑이를 덫에 가두기 위한 작업을 비밀스럽게 진행한다. 할머니는 늘 밝고 상냥하고, 무엇보다 옛날이야기를 재미있게 들려준다. 하지만 어린 시절 겪었던 한국에서의 경험은 잘 털어놓지 않는다. 한국 사람들이 식민지배와 핍박으로 많이 힘들었고 슬펐기 때문에 그 이야기는 손녀들에게 들려주지 않는다. 호랑이가 돌려받고자 했던 이야기는 바로 할머니가 가슴에 묻어 놓았던 이야기, 할머니 홀로 고통과 슬픔을 감내해야 했던 그 이야기가 아니었을까. 릴리는 마법 호랑이와 밀고 당기는 줄다리기를 하면서 늘 자신을 규정해왔던 “존재감 없는 아이”라는 외적 시선을 허물어버린다. 할머니를 구하기 위해 고군분투 하는 동안 자신이 물려받은 전통과 가족의 힘을 발견하고, 할머니의 마지막 순간 자신만의 이야기를 아름다운 별처럼 반짝이도록 풀어놓는다. 한국 할머니의 힘과 그 모습을 이어받을 우리 책의 여운이 가시지 않은 가운데 접한 윤여정 배우의 아카데미 여우조연상 수상 소식이 무척 반갑다. 책에 등장하는 한국 할머니의 작품 속 이름은 “애자”인데, 애자 할머니가 이역만리 미국 땅에서 갖은 고생을 하면서도 사랑과 친절을 잃지 않고 꿋꿋하게 자신의 뿌리를 지키며 살아온 것도 함께 인정받는 것 같은 기분이 들었다. 현실과 상상 속 한국 할머니의 공통점을 꼽자면, 두 분 다 성별과 인종의 벽을 뛰어 넘을 정도로 정말 열심히 살았다는 것이다. 한국 할머니의 강인한 모습, 그 모습을 이어받아 자기 정체성을 탐구하며 성장하는 릴리의 모습을 담은 이 책은 자기만의 목소리를 찾아 나서는 이들에게 공감과 위로를 선사할 것이다. |
<재작성 후기>
여러 번 봐야 제대로 눈에 들어오는 책. 특히 한국인이라면!
솔직히 표지부터 마음에 들지 않았다. 내가 아는 전통적인 호랑이의 이미지와 너무 거리가 멀었다. 마치 요정처럼 생긴 익숙지 않은 호랑이. 책 내용 또한 내가 아는 한국 문화와 거리가 멀었다. 표지와 마찬가지로 내용에서 그려진 호랑이는 한국 사람들이 아는 그 호랑이와 거리가 멀다. 동물들을 호령하는 산중호걸이 달리 날렵하고 우아하게, 비밀스럽게 등장하는 호랑이. 김치 식이요법을 하며 거래를 제안하는 모습. 수호자의 모습보다 추격자의 모습을 한 호랑이. 이외에도 고사, 약초, 지하실 등 할머니의 집과 할머니의 말투는 정말 어색하다. 마치 중국 사람이 한국에 와서 자장면을 먹고 고개를 갸웃거리는 느낌이랄까
책모임 분들과 이야기를 나누면서도 많은 분이 이렇게 문화적 이질감 때문에 책에 집중할 수 없었다고 했다. 어쩌면 ‘우리 전통문화’에 대한 이야기라 검열이 더 강했던 것 같다. 문제는 이 문화 검열 때문에 나는 책에서 진짜 그리고자 했던, 책이 주었던 큰 울림을 느끼지 못했다. 문화에 대한 것들을 조금 제쳐두면 책에서는 많은 것을 다루고 있다. 한국에서 미국으로 넘어와 겪는 이민자의 모습을 호랑이와 소녀의 심장을 모두 가진 여인이라는 옛이야기로 상징적으로 다루었다. 또 자신을 투명 인간으로 여겼던, 스스로 조아여(조용한 아시아 여자아이)라고 여긴 소녀의 성장을 그려내었다(결국 그녀는 안 보이는 것을 볼 수 있는 여자아이가 되었다!). 할머니와의 추억담으로 보일 수 있지만 그 안에 이민자, 성장, 가족의 모습 등 많은 것들이 녹아있는 이야기. 나는 단지 내가 알고 있는 우리 문화와 다르다는 점에 집중하다가 이것들을 대부분 놓쳤다. 그리고 두 번째 읽으면서, 다른 독자들과 기핑 이야기를 나누면서 그 편견을 조금은 내려놓을 수 있었다.
다시금 생각해보면 내가 생각하는 우리의 ‘전통문화’ 또한 우리나라 사람마다 조금씩 다를 것이다. 문화 자체가 생명력이 있으며 끊임없이 변하기에 고정된 모습 또는 정답은 없다. 그러니 미국으로 건너간 문화, 미국으로 건너간 호랑이 또한 그 자체로 생명력을 가지고 있고 자신의 환경에 맞게 변하는 것은 당연한 일. 내가 보기엔 어색했던 호랑이가, 미국 사람들이 보기에도 낯선 호랑이가 어쩌면 이민자들의 모습을 그려낸 것일 수도 있겠다. 이런 그들의 모습을 내 머릿속 기준으로 평가하는 것이 오히려 그릇된 것이 아니었을까?
자칫 알량한 문화적 검열과 비평을 위한 이야기 해석으로 좋은 작품을 제대로 보지 못하고 지나칠 뻔했다.
호랑이의 심장과 인간의 심장을 동시에 가진 소녀. 할머니(Halmoni).
호랑이가 그려진 표지를 보고 한국 작가가 쓴 이야기라고 지레짐작했다. 호랑이야말로 우리나라를 상징하며 전래동화에 단골처럼 등장하는 동물이다. 산중 호걸, 당당함과 존재감, 용맹하면서도 가끔 엉뚱하고 바보 같은 모습. 수호자의 모습. 하지만 영미권 작가가 쓴 호랑이 이야기 속 호랑이는 내가 간직하고 있는 이미지와 달랐다.
이야기 줄거리는 투명 인간의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믿는 소녀의 시점으로 그려진다. 캘리포니아에서 하와이로 떠나 할머니 집으로 이사 가는 도중 호랑이를 마주하는 소녀. 그때부터 소녀는 현실과 판타지를 오가며 호랑이로부터 할머니를 지키기 위해 고군분투한다. 유리병 속 이야기에서 저주에 걸린 호랑이 여인이 자신의 할머니였다는 것을 알게 되고 할머니의 끝을 함께하며 할머니를 추억하기 위해 도서관에서 온 마을 사람들과 떡으로 고사를 지내는 그녀. 단순히 줄거리만 보면 판의 미로와 비슷해 소녀의 상상과 현실이 부딪히는 지점에서 조금 혼란스럽기까지 하다. 하지만 조금만 들여다보면 소녀의 상상 속에는 현실을 빗댄 상징이 들어있다.
주인공 할머니(Halmoni)는 이민자다. 한국의 시골 마을에서 살다가 엄마를 찾아 미국으로 건너온다. 그녀는 전통을 지키면서 낯선 문화와 환경에 적응하려고 힘쓴다. 호랑이(한국)의 심장과 소녀(미국) 사이에서 힘들어하는 할머니의 모습은 이야기로 그려진다. 호랑이의 모습을 싫어하는 것 같은 그녀였지만 점차 호랑이의 모습도 꽤 좋아했다는 이야기 속 호랑이 여인은 자신을 버린 엄마에 대한 분노와 낯설게 보는 자신이 싫었던, 하지만 자신이 나고 자라 익숙한 그 전통을 버릴 수 없는 이민자, 할머니(Halmoni)의 모습과 같다.
직접 다루었다면 무겁고 힘든 주제였을 것이다. 그렇지만 소녀의 상상과 유리병 속 이야기로 풀어내 이민자의 모습은 더 큰 울림으로 다가왔다. 전래동화의 은유와 상징이 때론 직접적인 가르침보다 큰 여운과 깊은 감동을 주는 것처럼...
솔직히 읽는 내내 바뀐 호랑이의 모습에 적응하기 힘들었다. 전래동화 속에서 당당하고 존재감 있는 호랑이의 모습과는 달리 날렵하고 우아하게, 비밀스럽게 등장하는 호랑이. 김치 식이요법을 하며 거래를 제안하는 모습. 수호자의 모습보다 추격자의 모습을 한 호랑이. 이 소설에서 그려낸 호랑이는 서양의 요정처럼 보인다. 그렇지만 이 호랑이의 모습조차 본연의 모습을 일부 간직하며 미국의 문화에 맞게 적응하는 할머니(Halmoni)처럼 보여 묘한 여운이 남는다.
돌베개 출판사에서 출간한 태 켈러 작가의 호랑이를 덫에 가두면 입니다. 릴리네 가족은 병에 걸린 외할머니를 돌보기 위해 캘리포니아에서 워싱턴주로 이사한다. 어느 날, 할머니의 「해님 달님」 이야기에서 튀어나온 것만 같은 호랑이가 릴리 앞에 나타나 솔깃한 제안을 한다. 옛날 옛날에 네 할머니가 훔쳐 간 것을 돌려주면 할머니를 낫게 해 주마. 릴리는 온 힘을 다해 달리기 시작한다.
돌베개 출판사에서 출간한 태 켈러 작가님의 장편소설 <호랑이를 덫에 가두면> 리뷰입니다.
이 책은 우리 전래동화를 모티브로 한 소설인데요.
한국계 미국 소녀인 릴리를 주인공으로 내세워 병에 걸린 외할머니(한국계)를 돌보기 위해 캘리포니아에서 워싱턴주로 떠나면서 시작됩니다.
어느 날, 릴리는 우리 전래동화인 <해님 달님> 이야기에서 막 튀어나온 것 같은 호랑이를 마주하게 됩니다. 그리고 그 호랑이는 릴리에게 솔깃한 제안을 하는데요.
소재 자체가 한국인들에게 친근한 소재여서 그런지 가볍게 읽을 수 있었습니다.
어린이들뿐 아니라 성인들이 읽어도 재밌게 읽을 소설이라고 생각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