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 우네 유타카

이전

  저 : 우네 유타카
관심작가 알림신청
宇根豊
과도하게 농약에 의존하는 농업에 의문을 품고, 1979년 벼이삭에 달라붙는 벌레를 판별할 수 있는 ‘벌레관찰판’을 개발했다(현재 15만 장 보급됨). 논에 농약살포를 줄이는 저농약운동을 제안하면서 자연환경이 어떤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지를 분명히 하는, 환경의 관점에서 출발한 새로운 농업기술 개발연구실천운동을 펼치고 있다.
1973년부터 후쿠오카 현 농업개량보급원으로 근무하면서, 규슈에서 최초로 ‘저농약쌀’의 직거래를 시작했고(1983년), 『저농약 벼농사 짓는 법』을 자비로 출판하는 등 저농약운동이 일본 전역에 정착하는 데 기여했다. 고추잠자리가 논에서 태어나는 것에 착안해, ‘일반 벌레’들이 자연환경을 형성하고 있다는 획기적인 관점을 제안하여 농업과 자연환경의 새로운 관계를 발견하기도 했다. 1989년부터는 이토지마 군 니죠마치에서 농사를 시작하여 겸업농가의 길을 걷고 있다. 이후 ‘환경벼농사연구회’를 결성하고(1994년), ‘제1회 농업과 자연환경 전국 심포지움’을 개최했다(1997년). 후쿠오카 현 농업대학으로 일터를 옮긴 후(1997년), 기존의 농업서에서는 볼 수 없던 신선한 관점에서 집필한 책 『생명이 모이는 생명이 자라는 논학교』(원제; 논학교 입학편, 2000년)는 출간 후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저자는 후쿠오카 현청을 퇴직하고, NPO법인 ‘농과자연연구소’를 설립하여 대표이사가 되었다. 이 연구회에서는, 논의 은혜 대장 제1탄 ‘생물기록’ 조사에 착수하고, 규슈 대학과 도쿄 대학에서 생물심포지엄을 개최하는 한편, 고추잠자리 전국조사, 독일의 환경직불제정책 번역·배포, 일본판 환경직불제안 발표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저서로는 『벌레관찰판으로 풍요로운 논을』, 『농부의 농사일이 자연을 만든다』, 『논이 잃어버린 것』, 『환경벼농사 짓는 법』, 『논 벌레 도감』, 『저농약 벼농사』 등이 있다. 2001년에 일본작물학회 제2회 기술상을 수상했다

우네 유타카의 대표 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