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 한유정

이전

  저 : 한유정
관심작가 알림신청

작가 한마디

남들과 똑같은 평범한 일상으로 내 인생을 흘려보내기엔 너무 아깝다고 생각했다. 이왕이면 역사에 빛나는 사람이 되겠다는 당찬 꿈을 품은 사춘기 소녀였다.

Yoojung Han
세계에서 가장 뜨거운 핫 플레이스 ‘할리우드’를 누비는 미술총감독. 할리우드를 홈그라운드로 뛰고 있는 그녀도 한때는 특별한 꿈이 없는 평범한 소녀였다. 열여섯 살, ‘무대디자이너’라는 꿈을 품고 난 뒤 오로지 그 꿈만을 향해 달렸다. 별들의 전쟁터인 할리우드에서 맨몸으로 부딪쳐가며 최고의 자리에 올랐다. 실수에 기죽기보다는 이를 딛고 일어나 성공의 발판으로 삼으려 애쓰고, 매사 철저한 사전 준비로 현실을 뛰어넘어 꿈을 이루어냈다 .

스물여섯에 ‘무대디자이너’라는 꿈을 이루기 위해 안정된 직장을 버리고 LA로 유학을 떠난 그녀는 IMF 시절 3개에 1달러 하던 햄버거를 얼렸다 녹여 먹으며 고픈 배를 채웠고, 학비를 벌기 위해 닥치는 대로 아르바이트를 했다. 하루 2시간만 자는 강행군을 지속하면서도 이를 악물었고, 23시간 55분 동안 촬영현장을 지키고 있어도 5분을 비우면 물거품이 되는 냉정한 할리우드에서 반드시 살아남아야 한다는 마음가짐으로 자신의 입지를 다져갔다.

한유정의 사전에 대충대충은 없다. 무보수 학생작품도 최선을 다하기로 정평이 나, 함께 일해 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다시 작업하고 싶어 했다. 학생 신분에도 불구하고 LA 올 로케이션 영화 <러브 Love>(1999)의 미술총감독으로 발탁, 영화계에 입문했다. <리틀 히어로 2 Little Heroes 2>(1999)로 ‘세트를 최상으로 만들어내는 미술감독’이라는 칭송을 받으며 할리우드에 입성했다. <맨 프럼 엘리시안 필즈 The Man from Elysian Fields>(2001)로 고등학생 시절 우상이던 앤디 가르시아를 비롯, 믹 재거, 제임스 코번 등의 대가들과 함께 작업하는 영광을 누리기도 했다.

저예산으로 최상의 세트 효과를 낸 <베터 럭 투마로우 Better Luck Tomorrow>(2001)는 개봉 첫 주 최다관객 동원, 2001년 ‘올해의 영화 Top5’로 선정, 선댄스 영화제에 초청받아 레드카펫을 밟는 쾌거를 이뤄냈다. 알래스카에서 촬영한 <허스 HERs>(2006)는 배우가 “세트에 들어선 순간 캐릭터를 이해하게 됐다”고 극찬할 정도로 고품격의 세트를 완성, 2007년 제 8회 전주국제영화제에서 장편경쟁부문 대상인 JJ-Star상을 수상하는 데 기여했다. 할리우드에서 활약하고 있으면서도 ‘한유정’이라는 이름을 고집하고, 동서양의 조화를 꿈꾸는 ‘블렌딘Blend-in’사업을 추진하며 한국과 할리우드의 협력을 이끌고 있는 그녀는 할리우드의 심장에서 뛰고 있는 자랑스러운 한국인이자 꿈의 무대에서 빛나는 진정한 주인공이다.

한유정의 대표 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