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 김지홍

이전

  저 : 김지홍
관심작가 알림신청
제주대학교 국어교육과를 졸업하고, 현재 경상국립대학교 국어교육과에 재직 중이다. 그간 40여 권의 저역서 중에서 10종이 대한민국학술원 및 문화체육관광부의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되었다. 한국연구재단의 서양편 명저번역 2종을 출간했고, 한문 번역서로서 국사편찬위원회에서 간행된 것 이외에 몇 권이 있다. 저서 『국어 통사·의미론의 몇 측면 : 논항구조 접근』(경진출판, 2010) 『언어의 심층과 언어교육』(경진출판, 2010) 『제주 방언의 통사 기술과 설명 : 기본구문의 기능범주 분석』(경진출판, 2014) 『언어 산출 과정에 대한 학제적 접근』(경진출판, 2015) 『제주 방언의 복합 구문 : 접속문과 내포문, 1∼2』(경진출판, 2020) 『제주 방언 통사의 몇 측면』(경진출판, 2021) 언어와 현대 사상 번역서무어(1953), 『말철학에서 중요한 몇 가지 문제』(경진출판, 2019) 심리학(언어의 산출 및 이해), 그리고 담화 분석 번역서르펠트(1989), 『말하기 그 의도에서 조음까지 1∼2』(나남, 2008) 킨취(1998), 『이해 : 인지 패러다임 1∼2』(공역, 나남, 2009) 클락(2003), 『언어 사용 밑바닥에 깔린 원리』(경진출판, 2009) 머카씨(1998), 『입말, 그리고 담화 중심의 언어교육』(경진출판, 2010) 페어클럽(2001), 『언어와 권력』(경진출판, 2011) 페어클럽(2003), 『담화 분석 방법 : 사회 조사연구를 위한 텍스트 분석』(경진출판, 2012) 위도슨(2004), 『텍스트, 상황 맥락, 숨겨진 의도』(경진출판, 2018) 언어 교육 평가 및 현장 조사 연구 번역서윌리스(1998), 『언어 교육현장 조사 연구 방법』(나라말, 2000) 루오마(2001), 『말하기 평가』(글로벌 콘텐츠, 2011) 벅(2001), 『듣기 평가』(글로벌콘텐츠, 2013) 앤더슨·브롸운·쉴콕·율(1984), 『모국어 말하기 교육』(공역, 글로벌콘텐츠, 2014) 브롸운·율(1984), 『영어 말하기 교육』(공역, 글로벌콘텐츠, 2014) 올더슨(2001) 『읽기 평가 1∼2』(글로벌콘텐츠, 2015) 한문 번역서유희(1824), 『언문지』(지식을만드는지식, 2008) 최부(1489), 『최부 표해록』(지식을만드는지식, 2009) 장한철(1771), 『표해록』(지식을만드는지식, 2009) 노상추(1746∼1829) 『국역 노상추 일기, 1∼3』(공역, 국사편찬위원회, 2019) 등이 있다.

김지홍의 대표 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