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 황선혁

이전

  저 : 황선혁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해에 인접한 바다마을 대천에서 나고 자라, 국립공주대학교 생명과학과에서 ‘유전성 신경퇴행성질환 환자에서의 후성유전학적 변이’를 주제로 학사 학위를 취득했다. 졸업 직후, 오랜 소망이었던 노화 연구의 꿈을 이루고자 현재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서 노화연구에 참여하며 연구자로서의 역량을 개발하고 있다.

이과생임에도 불구하고, 글과 밀접한 관계를 맺게 된 계기는 고교 시절 우연히 접한 칼 세이건의 작품 때문이다. 과학은 그저 과학자들이 발견한 현상을 정의할 뿐, 그것을 진리로 받아들일지는 온전히 인류 사회의 몫이다. 그래서 과학은 그 자체만으로 존재하기보다, 인문학, 철학과 공존할 때 가장 큰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이라 판단했다.

그리하여 나는 과학을 여러 측면에서 이해하고 해석하여, 대중들에게 전달하는 것을 인생의 과업으로 삼았다. 그렇게 2015년에 복제인간을 주제로 한 미출간 단편 『플라스크의 아이』 집필을 시작으로, 2018년에는 인간 복제와 유전자 편집 등 첨단 기술의 남용을 주제로 한 SF 소설 『네피림』을 정식 출간했다.

첫 출간 후, 독자 피드백을 통해 부족한 글쓰기 실력을 인지하고, 2020년부터 2022년까지 3년간 공주대학교 신문사에서 학생기자 활동을 수행하며 다시 기본기를 다져나갔다. 그리고 2021년 7월에는 학과 후배들과 과학 콘텐츠 제작 동아리인 ‘벡터’를 결성하여 출판 프로젝트를 이끌며, 2023년 『과학 한 입 베어물기』를 공동출판했다.

앞으로 노화 제어 기술이 더 발달하겠지만, 어쨌든 생명의 본질은 불완전에 있다. 당연하게도 내 생명은 계속 닳아가겠지만, 한번 펴낸 글은 영원히 닳지 않는다. 그래서 앞으로도 꾸준히 글은 계속 쓸 예정이지만, 아직 응애연구원 황선혁은 글쓰기보다 논문 읽기가 시급하다는 게 학계(실험방 선배님들)의 정설이다.

황선혁의 대표 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