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 괴츠 W. 베르너
관심작가 알림신청
Gotz W. Werner
독일에서 가장 사랑받는 기업이자, 유럽 최대 드러그스토어 데 엠(dm) 창업자. ‘무슨 일을 하는 사람이냐’는 질문에 ‘치약 파는 사람’이라고 즐겨 답하지만, 그보다는 현대적 경영 방식의 개척 자이자 보편적 기본소득 제도의 선구자, 독창적 기업윤리를 고 안해낸 사상가라는 표현이 더 어울릴 것이다.
어린 시절부터 아버지의 드러그스토어를 놀이터 삼아 지내면서 꿈을 키웠다. 고등학교 졸업 후 독일 곳곳의 드러그스토어를 들 아다니며 일을 배워 아버지의 가게를 이어받을 준비를 마쳤다. 그러나 주먹구구식인 아버지에게 직언을 하다가 쫓겨나고 29살 에 은행 돈을 빌려 자기만의 방식으로 첫 드러그스토어 할인점 을 열었다. 1만 가지가 넘는 품목에 일괄적인 가격을 적용하던 기 존의 방식과는 정반대로 제한된 품목을 저렴한 가격에 판매한 다는 그의 혁신적인 아이디어는 업계 동료들로부터 많은 질타를 받았지만 소비자의 반응은 열광적이었다.
사업 초반에는 모든 매장을 똑같이 운영하여 효율을 높인다는 수직적인 시스템을 고수했으나 어느 순간 데엠의 성장은 한계에 부딪혔다. 이후 그는 경영 방침을 180도 전환하여, 각 지점이 권 한을 가지도록 했다. 이런 경영 철학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 은 어느 세미나에서 우연히 접한 질문 ‘기업이 직원을 위해 존재 하는가, 아니면 직원이 기업을 위해 존재하는가?’였다. 업계의 관행을 차례로 부수는 그의 행보는 이후로도 이어져, 주기적인 할인 행사를 없애는 대신 상시 할인 제도를 도입하고 기업의 매 뉴얼과 본부 자체를 없앴다. 모두가 ‘성공할 수 없는 방법’이라고 입을 모았던 그의 도전은 45년 연속 흑자라는 놀라운 기록으로 이어졌다. 현재 데엠은 매일 200만 명이 방문하는 유럽 최대의 드러그스토어이자, 최고의 공정 거래 기업으로 당당히 자리매김 하고 있다.
괴츠 베르너는 사람이 없으면 기업도 존재하지 않으며 기업은 사람에게 이로움을 주어야 한다는 확고한 신념을 펼쳤다. 나아 가 모든 독일인에게 ‘조건 없는 기본소득 1,500유로’를 지급해 억지로 노동하는 사람이 없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사람과 노동을 존중하는 그의 사상은 주변 여러 나라의 제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지금까지도 사회복지 제도에 관한 뜨거운 논의를 불러 일으키고 있다.
어린 시절부터 아버지의 드러그스토어를 놀이터 삼아 지내면서 꿈을 키웠다. 고등학교 졸업 후 독일 곳곳의 드러그스토어를 들 아다니며 일을 배워 아버지의 가게를 이어받을 준비를 마쳤다. 그러나 주먹구구식인 아버지에게 직언을 하다가 쫓겨나고 29살 에 은행 돈을 빌려 자기만의 방식으로 첫 드러그스토어 할인점 을 열었다. 1만 가지가 넘는 품목에 일괄적인 가격을 적용하던 기 존의 방식과는 정반대로 제한된 품목을 저렴한 가격에 판매한 다는 그의 혁신적인 아이디어는 업계 동료들로부터 많은 질타를 받았지만 소비자의 반응은 열광적이었다.
사업 초반에는 모든 매장을 똑같이 운영하여 효율을 높인다는 수직적인 시스템을 고수했으나 어느 순간 데엠의 성장은 한계에 부딪혔다. 이후 그는 경영 방침을 180도 전환하여, 각 지점이 권 한을 가지도록 했다. 이런 경영 철학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 은 어느 세미나에서 우연히 접한 질문 ‘기업이 직원을 위해 존재 하는가, 아니면 직원이 기업을 위해 존재하는가?’였다. 업계의 관행을 차례로 부수는 그의 행보는 이후로도 이어져, 주기적인 할인 행사를 없애는 대신 상시 할인 제도를 도입하고 기업의 매 뉴얼과 본부 자체를 없앴다. 모두가 ‘성공할 수 없는 방법’이라고 입을 모았던 그의 도전은 45년 연속 흑자라는 놀라운 기록으로 이어졌다. 현재 데엠은 매일 200만 명이 방문하는 유럽 최대의 드러그스토어이자, 최고의 공정 거래 기업으로 당당히 자리매김 하고 있다.
괴츠 베르너는 사람이 없으면 기업도 존재하지 않으며 기업은 사람에게 이로움을 주어야 한다는 확고한 신념을 펼쳤다. 나아 가 모든 독일인에게 ‘조건 없는 기본소득 1,500유로’를 지급해 억지로 노동하는 사람이 없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사람과 노동을 존중하는 그의 사상은 주변 여러 나라의 제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지금까지도 사회복지 제도에 관한 뜨거운 논의를 불러 일으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