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14명)

이전

저 : 정영철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정영철
관심작가 알림신청
鄭英喆
1969년 여수 출생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박사
2002년 캐나다 브리티쉬 컬럼비아대학교 방문연구원, 서울대 국제대학원, 이화여대 통일학연구원 연구위원 등을 지냈다. 주요 관심분야는 북한 및 통일, 남북관계 등이다. 현재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북한·통일정책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사단법인 어린이 어깨동무 평화교육센터 소장으로 일하고 있다.
쓴 책으로는 『김정일 리더십 연구』, 『북한의 개혁·개방:이중전략과 실리사회주의』, 『조선로동당의 역사학』, 『한반도정치론』 등이 있으며, 번역한 책으로는 『북한과 미국:대결의 역사』 등이 있다.

저 : 박신의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박신의
관심작가 알림신청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 교수
프랑스 파리4대학(소르본느)에서 미술사학 석사 및 DEA를 마치고, 인하대학교에서 문화경영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0년부터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 교수와 문화예술경영연구소 소장으로 재직하면서 문화예술정책, 박물관미술관경영 관련 연구와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참여정부시절 한국문화예술위원으로 위원회 내 ‘남북 및 국제문화예술교류 소위원회’를 개설하였으며, 이후 외교부 자체평가위원회 공공외교 분과위원장을 역임하면서 문화외교 및 공공외교 관련 연구 및 사업에 관여하였다. 주된 연구 주제는 문화예술경영론, 국제문화교류, 예술의 사회적 영향, 미디어아트 비즈니스 모델, 예술기업가정신 등이다.

저 : 김종곤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종곤
관심작가 알림신청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에서 HK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역사적 트라우마’ 개념의 철학적 재구성〉이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분단과 전쟁이 남긴 상처가 아물지 못하고 오늘날까지 이어지면서 발생하는 각종 사회적 문제를 포착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사회적 치유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하고 있다. 주요 논저로는 〈5·18 사후노출자의 트라우마와 이행기 정의로서 사회적 치유〉(2022), 〈분단폭력 트라우마의 치유와 ‘불일치’의 정치〉(2018), 《비판적 4·3연구》(2023, 공저), 《사회적 재난의 인문학적 이해》(2023, 공저), 《5·18 다시 쓰기》(2022, 공저) 등이 있다.

김종곤 의 다른 상품

대화로 철학하기

대화로 철학하기

14,000

'대화로 철학하기' 상세페이지 이동

남북의 가치·정서·문화 충돌과 포스트 통일 연구의 방향

남북의 가치·정서·문화 충돌과 포스트 통일 연구의 방향

16,000

'남북의 가치·정서·문화 충돌과 포스트 통일 연구의 방향' 상세페이지 이동

우리 땅 지키기 대작전

우리 땅 지키기 대작전

13,000

'우리 땅 지키기 대작전'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지성과의 통일대담

한국지성과의 통일대담

24,000

'한국지성과의 통일대담' 상세페이지 이동

국가폭력 트라우마와 치유

국가폭력 트라우마와 치유

14,000

'국가폭력 트라우마와 치유' 상세페이지 이동

코리언의 통합서사와 평화 공동체

코리언의 통합서사와 평화 공동체

16,000

'코리언의 통합서사와 평화 공동체' 상세페이지 이동

분단 트라우마 치유를 위한_고통의 공감과 연대 (통일인문학 연구총서. 24)

분단 트라우마 치유를 위한_고통의 공감과 연대 (통일인문학 연구총서. 24)

24,000

'분단 트라우마 치유를 위한_고통의 공감과 연대 (통일인문학 연구총서. 24)'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김종군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종군
관심작가 알림신청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HK교수. 연구관심분야는 남북한 문학분야의 통합, 코리언의 민속문화 통합, 역사적 트라우마와 치유방안 등이다. 주요 논문으로 「통합서사의 개념과 통합을 위한 문화사적 장치」, 「북한의 현대 이야기 문학 창작 원리 연구」, 「탈북민 구술울 통해 본 북한 민속의례의 변화와 계승」 등이 있으며, 저서로는 고전문학을 바라보는 북한의 시각(3권), 고난의 행군시기 탈북자 이야기, 분단 트라우마 치유를 위한 고통의 공감과 연대 등이 있다.

김종군 의 다른 상품

동야휘집 완역본 제4책

동야휘집 완역본 제4책

50,000

'동야휘집 완역본 제4책' 상세페이지 이동

동야휘집 완역본 제3책

동야휘집 완역본 제3책

50,000

'동야휘집 완역본 제3책' 상세페이지 이동

동야휘집 완역본 제2책

동야휘집 완역본 제2책

50,000

'동야휘집 완역본 제2책' 상세페이지 이동

동야휘집 완역본 제1책

동야휘집 완역본 제1책

50,000

'동야휘집 완역본 제1책' 상세페이지 이동

남북의 가치·정서·문화 충돌과 포스트 통일 연구의 방향

남북의 가치·정서·문화 충돌과 포스트 통일 연구의 방향

16,000

'남북의 가치·정서·문화 충돌과 포스트 통일 연구의 방향' 상세페이지 이동

우리 땅 지키기 대작전

우리 땅 지키기 대작전

13,000

'우리 땅 지키기 대작전'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지성과의 통일대담

한국지성과의 통일대담

24,000

'한국지성과의 통일대담' 상세페이지 이동

국가폭력 트라우마와 치유

국가폭력 트라우마와 치유

14,000

'국가폭력 트라우마와 치유' 상세페이지 이동

저 : 박재인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박재인
관심작가 알림신청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HK연구교수. 2000년 건국대학교를 입학하여 이듬해 故정운채 선생님을 만나고 문학치료학을 공부하기 시작했다. 학부시절 중어중문학을 전공하였고, 이후 국어국문학과 고전문학 전공으로 동대학원에 입학하였다. 그리고 2009년 2월 「초월적 여성과의 결연 서사 유형과 그 문학치료적 의미: 『태평광기(太平廣記)』의 여성 서사와 한국의 전기적 남녀결연 서사를 대상으로」라는 논문으로 석사학위를 받았고, 2015년 8월 「한중일 조왕서사를 통해 본 가정 내 책임과 욕망의 조정 원리와 그 문학치료학적 의미」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졸업 후 6년간 몸담은 건국대 통일인문학연구단에 HK연구교수로 일하게 되었고, 이때부터 본격적으로 문학치료학과 통일인문학을 접목한 연구를 시작했다.

지금은 탈북민을 위한 문학치료 설계 연구와 더불어, 통합서사를 활용한 통일교육 방안을 구안하고 현장에 적용하는 연구를 실천하고 있다. 『문학치료 서사사전』(문학과 치료, 2009), 『청소년을 위한 통일인문학: 소통·치유·통합의 통일 이야기』(알렙, 2015), 『통일문화콘텐츠 희(希)스토리: 새로운 산학협력모델 인문브릿지』(박이정, 2016), 『우리가 몰랐던 북녘의 옛이야기』(박이정, 2015), 『남북이 함께 읽는 우리 옛이야기』(박이정, 2017), 『이야기, 죽음을 통하다』(박문사, 2018)에 공동 저자로 참여하였다.

박재인 의 다른 상품

남북의 가치·정서·문화 충돌과 포스트 통일 연구의 방향

남북의 가치·정서·문화 충돌과 포스트 통일 연구의 방향

16,000

'남북의 가치·정서·문화 충돌과 포스트 통일 연구의 방향' 상세페이지 이동

우리 땅 지키기 대작전

우리 땅 지키기 대작전

13,000

'우리 땅 지키기 대작전' 상세페이지 이동

탈북민을 위한 문학치료

탈북민을 위한 문학치료

13,000

'탈북민을 위한 문학치료'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지성과의 통일대담

한국지성과의 통일대담

24,000

'한국지성과의 통일대담' 상세페이지 이동

국가폭력 트라우마와 치유

국가폭력 트라우마와 치유

14,000

'국가폭력 트라우마와 치유' 상세페이지 이동

분단 트라우마 치유를 위한_고통의 공감과 연대 (통일인문학 연구총서. 24)

분단 트라우마 치유를 위한_고통의 공감과 연대 (통일인문학 연구총서. 24)

24,000

'분단 트라우마 치유를 위한_고통의 공감과 연대 (통일인문학 연구총서. 24)'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이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진
관심작가 알림신청
현 독일 정치+문화연구소장(Direktor, Institut Politik+Kultur).
재독 정치철학자이자 문화학자. 법과 제도 이면의 정치문화와 기억문화를 연구한다.
베를린 훔볼트대, 자유대, 바이마르 니체학술원 등에서 민주주의의 성패는 공정한 경쟁과 생산적 갈등의 문화에 달렸음을 역설해 왔다. 국내 통일 연구에 불가결한 『독일통일총서』를 함께 만들었다. 다루지 못했던 독일 분단기의 후속 연구 결과는 [서독의 기억] 시리즈와 이 책에 담았다. 현재 한겨레신문 등에 포스트코로나 · 포스트메르켈 시대 독일의 정치문화 및 사회적 전환 노력에 대해 기고 중이다.

곧 독일 펠릭스 마이너 출판사에서 민주주의적 논쟁 문화의 조건을 스피노자와 니체의 대결 속에서 고찰하는 이론서 『Konfliktfahig(갈등능력)』가 출간된다.

이진의 다른 상품

힙 베를린, 갈등의 역설

힙 베를린, 갈등의 역설

15,000

'힙 베를린, 갈등의 역설'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김미영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미영
관심작가 알림신청
한양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교수
현대소설을 전공했으며, 「최인훈 소설의 환상성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저서로는 최인훈 소설 연구, 한국 현대소설의 분석적 이해, 문학교육과 현대소설, 예술로 배우는 다문화(공저) 등이 있다. 소설교육과 현대소설연구 분야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으며, 최근에는 다문화시대의 소설교육에 관심을 두어 「다문화 사회와 소설교육의 한 방법: 김려령의 완득이를 중심으로」, 「신경숙의 장편소설에 나타난 에코페미니즘적 글쓰기와 다문화 시대의 윤리」, 「다문화적 체험과 소수자 표상에 대한 소설사교육 연구」 등이 있다.

저 : 주영애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주영애
관심작가 알림신청
성신여자대학교 소비자생활문화산업학과 교수
성신여자대학교 생활과학대학장, 교양대학장, 평생교육원장 역임
(사)아시아유럽미래학회 부회장
한국가정관리학회 및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이사

주영애의 다른 상품

한국의 태교 문화

한국의 태교 문화

10,000

'한국의 태교 문화' 상세페이지 이동

생활문화의 발전적 계승을 위한 한국생활문화연구

생활문화의 발전적 계승을 위한 한국생활문화연구

18,000

'생활문화의 발전적 계승을 위한 한국생활문화연구'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곽미숙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곽미숙
관심작가 알림신청
남북차문화연구소장
이화여자대학교에서 법학을 전공했고, 「청소년의 통일·인성교육을 위한 전통문화의 재발견과 차문화적용」으로 성신여대에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탈북청소년의 통일·인성교육을 위한 차문화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성 연구」를 주제로 박사학위논문을 준비 중에 있다. 주요 연구관심 분야는 통일문화콘텐츠, 통일교육, 인성교육, 생활문화, 전통문화이다.

저 : 김우정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우정
관심작가 알림신청
매너&이미지전략연구소 대표
성신여자대학교, 상지대학교에서 강의하고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모바일 이모티콘의 긍정적 사용 행태연구」가 있으며, 저서로는 (공저)새로쓰는 매너와 이미지메이킹이 있다. 주요관심 분야는 매너교육, 인성예절교육, 생활문화이다. 대학생을 위한 인성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로 박사학위논문을 준비 중에 있다

저 : 정은찬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정은찬
관심작가 알림신청
통일부 통일교육원 교수
경제학 박사(경북대)
북한 정준택원산경제대학 학부, 동 대학 박사원 졸업
경북대, 대구대, 영남신학대, 경일대 강사, 경북대 경제학 겸임교수 역임.
대표 논저: 『북한경제, 시장화와 불평등』(저서), 『북한경제, 변화와 기회』(저서), 『북한이해』(공저), 『통일문제이해』(공저), 『북한시장의 경제사회적 기능과 한계』(논문), 『신북방경제협력의 경제적 효과』(논문) 등 다수

정은찬의 다른 상품

12개 주제로 생각하는 기독교와 통일 그리고 북한

12개 주제로 생각하는 기독교와 통일 그리고 북한

11,900

'12개 주제로 생각하는 기독교와 통일 그리고 북한' 상세페이지 이동

분단을 건너는 아이들

분단을 건너는 아이들

7,200

'분단을 건너는 아이들' 상세페이지 이동

저 : 문철훈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문철훈
관심작가 알림신청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 학예연구사
영국 요크대학교(Univeraity of York) 디지털헤리티지학과(Digital heritage) 석사과정을 수료했으며 문화유산을 전공했다.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 근무한 적(2012.7~2013.9)이 있으며 현재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 학예연구사로 있고 우리나라 문화유산보호와 남북 문화유산교류협력에 관심을 지니고 있다. 논문으로는 「The Collective Power of Safeguard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Research on Wiki Inventory-making, focusing on South Korea's ICHPEDIA and Scotland's ICH Wiki Lis」 등이 있다.

저 : 송민선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송민선
관심작가 알림신청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관
한국사를 전공했다. 현재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관으로 재직 중이며, 무형문화재 관련 부서에서 25년 이상 근무해 왔다. 현재 충청북도 문화재위원, 세종자치시 문화재위원, 대전광역시 향토자원심의위원에 재임 중이다. 연구 관심분야는 전통의례와 무형문화유산 정책이다. 주요 논문으로는 「친영과 반친영의 역사적 함의」, 「서원 제례 조사연구 개황: 국립문화재연구소의 연구과제를 중심으로」, 「인류무형문화유산 남북 공동 등재를 위한 교류협력방안 연구」 등이 있고, 경기·강원지역의 산간신앙(공저)종가의 제례와 음식(공저), 국외 무형문화유산 보호제도연구(공저)의 저술이 있다.

저 : 신현욱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신현욱
관심작가 알림신청
한양대 문화콘텐츠학과 겸임교수
문화콘텐츠를 전공했으며 현재 한양대 문화콘텐츠학과 겸임교수로 있다. 「글로벌 문화콘텐츠 창작소재로서 영웅서사시의 가치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공연에 중점을 둔 창작소재 개발과 남북한의 문화콘텐츠 인프라 연구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창극의 북한식 수용양식으로 본 민족가극 [춘향전]」, 「북한의 저작권 전담 행정기구 설립에 따른 남북 저작권 교류의 환경 변화 연구」, 「창극의 새로운 공연 포맷 개발에 관한 연구」, 「북중 문화교류를 통해 본 현 단계 남북한 문화교류의 진단과 평가: 단일극(劇) 양식의 공연예술 교류를 중심으로」, 「북한의 무형문화유산 법제 도입 현황과 무형문화유산 분야 남북 교류 협력 방안」 등이 있으며, 저서로는 북한의 문예이론과 문화콘텐츠 인프라(공저), 성공하는 문화콘텐츠 소재 개발 전략(공저)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