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2명)

이전

등저 : 베르톨트 브레히트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등저 : 베르톨트 브레히트
관심작가 알림신청
Bertolt Brecht
1898년 2월 10일 독일 아우구스부르크(Augsburg)에서 종이 공장에서 일하던 아버지 베르톨트 프리드리히 브레히트(Berthold Friedrich Brecht)와 브레칭(Brezing)에서 태어난 어머니 조피(Sofie) 사이에서 태어났다. 1917년 10월 2일 뮌헨 대학에 입학했다. 이듬해 뮌헨의 ‘카머슈필렌’ 극장에서 그라베(Grabbe)의 「고독한 사람(Der Einsame)」이라는 공연을 보고, 이 작품에 대한 응답으로 5월 1일 「절반은 희극인 바알(Die halbe Komodie Baal)」을 완성했다. 1920년에 「바알」을 고쳐서, 게오르크 뮐러 출판사(Georg Muller-Verlag)에서 출판하고자 했으나, 출판을 거절당했다. 1922년 9월 29일 ‘카머슈필렌’ 극장에서 「한밤의 북소리(Trommeln in der Nacht)」를 초연했으며 같은 해 11월 3일에는 마리아네 초프(Marianne Zoff)와 결혼했다. 1923년 3월 12일 딸 하네(Hanne)가 태어난다. 1928년 8월 31일 ‘쉬프바우어담’ 극장에서, 에리히 엥겔(Erich Engel) 연출로 「서푼짜리 오페라」를 초연한다. 이듬해 4월 10일 헬레네 바이겔과 재혼한 브레히트는 1933년 가족과 함께 프라하로 이주한다. 1940년 1월 헬레네 바이겔이 스톡홀름에 연기학교를 세운다. 4월 17일 나치 군대가 덴마크와 노르웨이에 침입하자, 브레히트는 가족과 함께 헬싱키로 피난한다. 이듬해 7월 21일 미국 로스앤젤레스에 도착한 브레히트는 할리우드 근처의 산타 모니카(Santa Monica)에 거주하기 시작한다. 1947년 10월 30일 ‘반미활동조사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브레히트는 미국에서도 추방당한다. 10월 31일 파리로 출발한 브레히트는 11월 5일 스위스 취리히에 도착한다. 1956년 5월 초 감기 증상이 나타났다. 8월 10일 마지막으로 ‘베를리너 앙상블’ 극단 연습장에 나타난 뒤, 8월 14일에 사망했다.

주요 작품으로 『한밤의 북소리』, 『남자는 남자다』, 『서푼짜리 오페라』, 『마하고니 시의 흥망』, 『어머니』, 『제삼제국의 공포와 참상』, 『억척어멈과 그 자식들』, 『사천의 착한 사람』, 『갈릴레이의 생애』, 『푼틸라 나리와 그의 하인 마티』, 『코카서스의 분필 원』 등이 있다.

베르톨트 브레히트의 다른 상품

모든 슬픔이 사라진다

모든 슬픔이 사라진다

15,030 (10%)

'모든 슬픔이 사라진다' 상세페이지 이동

브레히트·카프카·클라이스트·드로스테 휠스호프

브레히트·카프카·클라이스트·드로스테 휠스호프

26,820 (10%)

'브레히트·카프카·클라이스트·드로스테 휠스호프' 상세페이지 이동

제3제국의 공포와 참상 (큰글자책)

제3제국의 공포와 참상 (큰글자책)

39,000

'제3제국의 공포와 참상 (큰글자책) ' 상세페이지 이동

제3제국의 공포와 참상

제3제국의 공포와 참상

18,800

'제3제국의 공포와 참상' 상세페이지 이동

꽃을 피우는 사과나무에 대한 감격

꽃을 피우는 사과나무에 대한 감격

15,030 (10%)

'꽃을 피우는 사과나무에 대한 감격' 상세페이지 이동

채신없는 할머니

채신없는 할머니

9,000 (10%)

'채신없는 할머니' 상세페이지 이동

브레히트, 시에 대한 글들 큰글씨책

브레히트, 시에 대한 글들 큰글씨책

29,000

'브레히트, 시에 대한 글들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브레히트, 시에 대한 글들

브레히트, 시에 대한 글들

18,800

'브레히트, 시에 대한 글들' 상세페이지 이동

등역 : 강명수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등역 : 강명수
관심작가 알림신청
1965년 경북 포항에서 출생했다. 1985년 고려대학교 노어노문학과에 입학한 뒤 대학 생활의 절반을?『고대신문』에서 기획 면과 학술 면을 담당하며 보냈다.?동 대학원에서 체호프 후기 단편소설 연구로 석사학위를 취득했다.?육군사관학교 교수요원으로 선발돼 교수부 아주어과(러시아어 담당)에서?교수로 재직하면서 군 복무를 마쳤다.?그 후 러시아로 유학해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대학교에서?「안톤 체호프의 사상적인 중편소설 연구: ‘등불’에서?‘6호실’로」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고려대학교에서?「가르신의?‘붉은 꽃’과 체호프의?‘6호실’에 드러난 공간과 주인공의 세계」라는 연구로 박사 후 과정을 마쳤다. 러시아에서 귀국한 1999년부터 고려대학교(학부)와 중앙대학교(학부와 대학원)에서 러시아 어문학과 문화,?체호프와 톨스토이를 강의했다. 2006년부터 청주대학교 인문대학 어문학부 러시아어문학과에서 교수로 재직했으며, 2013년부터는 포항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체호프,?톨스토이,?가르신, 체호프와 톨스토이, 체호프와 이태준, ‘러시아 문학과 한국 문학의 미적 근대성 비교 연구’에 대한 주제로?30여 편의 논문을 학술지(KCI 등재학술지)에 게재하는 한편,?한국연구재단의 지원으로 「체호프와 이태준 비교 연구」, 「체호프의 예술세계에 나타난 의복의 기호학: 후기 작품세계에 형상화된 여주인공의 의복을 중심으로」, 「러시아 문학과 한국 문학의 미적 근대성과 ‘창조된 고전/정전’ 연구」를 수행하기도 했다. 또한 2016년 8월부터 2년간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본부 인문학단 전문위원으로 활동했으며, 지금도 한국연구재단의 각종 연구사업의 평가위원으로서 ‘인문학 진흥’에 일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으로?『체호프의 세계』[개정판?『체호프와 그의 시대』(소명출판, 2004)]라는 학술서를 번역했다.?체호프 선집(총?5권)을 총괄기획하고,?『체호프 선집?4?철없는 아내』(범우사, 2005)를 번역했다.?체호프의 희곡?『벚나무 동산』(지식을만드는지식,?2008), ?톨스토이의 소설 『위조 쿠폰』(지식을만드는지식, 2009)과 『홀스토메르/무엇 때문에?』(지식을만드는지식, 2009), 체호프의 희곡 『갈매기』(지식을만드는지식, 2011), 톨스토이의 소설 『하지 무라트』(지식을만드는지식, 2011)를 번역했다.?톨스토이 서거?100주년을 맞아 펴낸 톨스토이 전집(총?12권)?중에서 후기 걸작들이 담긴 제?9권 『중단편선IV』(작가정신, 2011)도 번역했다.?또한 러시아어 교재?『쉽게 익히는 러시아어?2』(공저,?신아사, 2007)를 출간하기도 했다. 아울러 오디오북 『100인의 배우, 세계 문학을 읽다 1/2』(커뮤니케이션북스, 2020) 출간에 번역자로 참여하는 한편, 커뮤니케이션북스(주)가 주도하는 ‘2021 AI 문학작품 낭독낭송 음성데이터 구축’ 사업에 저작재산권 이용을 허락했다. 첫 저서인?『체호프 문학의 몇 가지 쟁점:?우리 시대의 인간·현실·관념 읽기』(보고사, 2009)를 출간했다.?두 번째 저서(『체호프 다시,?깊이 읽기(A thorough re- reading of Chekhov’s works)』)를 위해 체호프와 톨스토이 후기 작품들에 나타난 ‘관념과 사상의 프리즘’으로, 체호프와 톨스토이 예술세계의 특질을 궁구(窮究)하기 위해 힘쓰는 한편, 체호프 연구를 확장해 보려는 다양한 시도를 계속하고 있다.?이 저술을 위해서 긴 호흡으로 체호프의 예술 세계에 나타난?‘음식의 기호학’, ‘의복의 기호학’, ‘공간의 기호학’을 더욱 깊이 연구함과 동시에,?「체호프와 이태준의 문학세계에 나타난 ‘미와 현실’ 연구」도 병행하고 있다. 2013년부터는 러시아 극동과 포항을 매개로 한 ‘환동해 연구’에도 뛰어들어, 『환동해 국제심포지엄』에 지속적으로 패널로 참가하면서 연구논문 「환동해 네트워크와 포항영일만항」, 「포항·훈춘·하산 3각 협력과 환동해 물류·관광 중심도시 - 포항」을 발표했다. 이러한 학술활동을 토대로, 환동해 경제권 관련 연구논문과 ‘포항과 환동해 네트워크’를 주제로 한 칼럼과 인터뷰를 정리해서 저서 『포항과 환동해』를 준비하고 있다.

강명수의 다른 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