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8명)

이전

저 : 김경희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경희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베를린 훔볼트대학교에서 ‘마키아벨리의 정치적 역량 개념’ 연구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서양 정치사상·정치 이론·국가론 등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역서로 비롤리의 『공화주의』, 마키아벨리의 『군주론』(공역), 저서로 『근대 국가 개념의 탄생』 『공존의 정치』 『공화주의』 등이 있다.

김경희의 다른 상품

청소년을 위한 정치학 대안 교과서

청소년을 위한 정치학 대안 교과서

14,000

'청소년을 위한 정치학 대안 교과서' 상세페이지 이동

[대여] 마키아벨리 - 클래식클라우드 011

[대여] 마키아벨리 - 클래식클라우드 011

10,530 (29%)

'[대여] 마키아벨리 - 클래식클라우드 011' 상세페이지 이동

군주론 (개정판)

군주론 (개정판)

7,000

'군주론 (개정판)' 상세페이지 이동

마키아벨리 - 클래식클라우드 011

마키아벨리 - 클래식클라우드 011

15,040

'마키아벨리 - 클래식클라우드 011' 상세페이지 이동

공화주의 - Vita Activa 개념사 15

공화주의 - Vita Activa 개념사 15

7,100

'공화주의 - Vita Activa 개념사 15' 상세페이지 이동

저 : 박성우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박성우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시카고대학교에서 플라톤 정치철학과 그 현대적 의의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중앙대학교를 거쳐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전공 분야는 고전정치철학과 국제정치사상이며, 아울러 양 분야의 학제적 결합을 모색하는 연구 영역을 개척하고 있다. 저서로 『영혼 돌봄의 정치: 플라톤 정치철학의 기원과 전개』, 편저서로 『동굴 속의 철학자들: 20세기 정치철학자와 플라톤』, 『정치사상사 속 제국』 등이 있다. 대표 논문으로 「플라톤의 <국가>에 나타난 국제정치사상」, 「이라크 전쟁의 레오 스타라우스 책임론에 대한 정치철학적 비판」, 「국익추구의 도덕적 한계와 아리스토텔레스의 좋은 삶의 정치」, 「현실주의 국제정치이론에서 투키디데스 읽기의 한계와 대안의 모색」 등이 있다.

박성우의 다른 상품

저 : 김준석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준석
관심작가 알림신청
가톨릭대학교 국제학부 부교수, 서울대학교 외교학과와 동 대학원 석사과정을 마쳤고, 미국 시카고대학교 정치학과에서 근세초 유럽 국가형성사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연구 분야는 역사사회학, 국제관계사, 유럽정치, 유럽정치사상사. 주요 논저로는 『근대국가』(책세상, 2011), “연방적 국가의 탄생: 중세말-근세초 독일 국가형성과정의 재조명”, “17세기 중반 국제관계의 변환에 관한 연구”, “제1차 세계대전의 교훈과 동아시아 국제정치” 등이 있다.

저 : 이병택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병택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정치학과에서 학사학위와 석사학위를, 럿거스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BK사업단에서 연구원과 부교 수를 역임했고, 경희대학교 공공거버넌스센터에서 연구교수를 역임했다. 현재 동북아역사재단에서 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와 논문으로는 “밀에 나타난 관리형 제국 통치”(『정치사상사 속 제국』), “데이비드 흄이 본 영국의 헌정 논쟁: 이행적 정의를 중심으로”, 편저로는 『역사화해의 이정 표 I』, 『역사화해의 이정표 Ⅱ』 등이 있다.

이병택의 다른 상품

역사화해의 이정표 3

역사화해의 이정표 3

9,600

'역사화해의 이정표 3' 상세페이지 이동

역사화해의 이정표 2

역사화해의 이정표 2

10,000

'역사화해의 이정표 2' 상세페이지 이동

저 : 홍태영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홍태영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에서 정치학 석사학위를, 파리 사회과학고등연구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국방대학교 안보정책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안전보장대학원장을 역임하고 있다. 주요 저서와 논문으로는 『국민국가를 넘어서』, 『정체성의 정치학』, 『국민국가의 정치학』, “국민국가 건설과 민족주의적 통치성” 등이 있다.

저 : 권윤경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권윤경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마친 후 미국 시카고대학교에서 역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근대 프랑스사 전공으로 주로 프랑스 식민주의, 대서양 노예제와 노예제폐지운동, 프랑스혁명과 아이티혁명, 근대 인종주의, 기억의 정치, 탈식민주의 등을 연구한다. 『프랑스의 잃어버린 제국(France’s Lost Empires)』(2010), 『노예제폐지의 장소들(Abolitionist Places)』(2013), 『전쟁과 프랑스 사회의 변동』(2017), 『세계 디지털 인문학의 현황과 전망』(2019), 『정치사상사 속 제국』(2019), 『19세기 허스토리』(2022) 등 여러 책에 공저자와 공역자로 참여했다.

권윤경의 다른 상품

19세기 허스토리

19세기 허스토리

15,700

'19세기 허스토리' 상세페이지 이동

세계 디지털 인문학의 현황과 전망

세계 디지털 인문학의 현황과 전망

17,440

'세계 디지털 인문학의 현황과 전망'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윤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윤비
관심작가 알림신청
정치학 박사. 현 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부교수. 주요 연구 분야는 고중세 및 근대 초 정치사상, 현대유럽비판정치이론, 정치도상학 등이다. 논문으로는 “The Fox atop Fortune’s Wheel: Machiavelli and Medieval Realist Discourse”(2016), “Ptolemy of Lucca’s Distrust in Politics and the Medieval Discourse on Government”(2017), “Das Komische, das Moralische und das Politische. Der Pfaffe Amis in der Gedankenwelt der Stauferzeit”(2020) 등 다수가 있다.

저 : 차태서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차태서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외교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미국 존스홉킨스대학(Johns Hopkins University)에서 「아메리카 문명표준의 건설(The Construction of The American Standard of Civilization)」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 연구원, 공군사관학교 군사전략학과 전임강사 등을 거쳐 현재 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조교수로 있다.

담론 분석과 정치사상사를 기반으로 미국 외교와 세계질서 변동 연구에 집중해왔다. 최근 몇 년간에는 국제정치학에서의 인류세 논의와 함께 북한-미국 관계의 역사적 궤적에도 관심을 기울였다. 앞으로는 성찰적 현실주의의 세계관을 토대로 신냉전 시대 국제관계 변화와 한국 외교의 대응방향에 대해 모색해볼 계획이다.

주요 논문으로 ‘Contending American Visions of North Korea: The Mission Civilisatrice versus Realpolitik’, ‘Whither North Korea? Competing Historical Analogies and the Lessons of the Soviet Case’, ‘Rereading Friedrich Hayek and Karl Polanyi in the Late-Modern Condition of Fragility’, 「포스트휴먼 시대 행성 정치학의 모색: 코로나19/기후변화 비상사태와 인류세의 정치」, 「자유주의와 민주주의의 불화: 한국에서 포퓰리즘적 계기의 출현」, 「담론 분석이란 무엇인가? 국제정치학의 경우」, 「한국의 중견국 외교와 정체성 공진화의 정치: 신동방정책과의 비교와 시사점」 등이 있다.

차태서의 다른 상품

청소년을 위한 정치학 대안 교과서

청소년을 위한 정치학 대안 교과서

14,000

'청소년을 위한 정치학 대안 교과서'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