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11명)

이전

편 : 허동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편 : 허동현
관심작가 알림신청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 칼리지 교수
근현대 한국사 전공. 저서로는 《장면 : 건국·외교·민주의 선구자》(분도출판사, 1999)와 《근대 한일관계사연구: 朝士視察團의 일본관과 국가구상》(국학자료원, 2000), 역서로는 《兪吉濬論疏選》(일조각, 1987)이 있다. 공저로는 《우리역사 최전선》(푸른역사, 2003), 《열강의 소용돌이에서 살아남기》(푸른역사, 2005), 《길들이기와 편가르기를 넘어》(푸른역사, 2009), 《장면 시대를 기록하다》(샘터, 2014), 《장면 수첩에 세상을 담다》1(경인문화사, 2016) 등이 있다.

허동현의 다른 상품

역사관과 역사학자 : 비동시성의 동시성

역사관과 역사학자 : 비동시성의 동시성

25,000

'역사관과 역사학자 : 비동시성의 동시성' 상세페이지 이동

논어집주상설 1

논어집주상설 1

14,700

'논어집주상설 1' 상세페이지 이동

대학장구상설 1

대학장구상설 1

9,100

'대학장구상설 1' 상세페이지 이동

대학장구상설 2

대학장구상설 2

9,100

'대학장구상설 2' 상세페이지 이동

대학장구상설 3

대학장구상설 3

9,100

'대학장구상설 3' 상세페이지 이동

논어집주상설 2

논어집주상설 2

16,800

'논어집주상설 2' 상세페이지 이동

논어집주상설 3

논어집주상설 3

15,400

'논어집주상설 3' 상세페이지 이동

논어집주상설 4

논어집주상설 4

19,600

'논어집주상설 4' 상세페이지 이동

편 : 박은숙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편 : 박은숙
관심작가 알림신청
朴銀淑
고려대학교 강사
근대 한국 사회사 전공. 저서로는 《갑신정변 연구》(2005, 역사비평사), 《김옥균, 역사의 혁명가 시대의 이단아》(2011, 너머북스), 《시장으로 나간 조선백자》(2016, 역사비평사), 역서로는 《갑신정변 관련자 심문, 진술 기록》(2009, 아세아문화사)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 〈개항 후 분원 공인과 공가에 대한 연구(1883~1895)〉(《韓國史硏究》 174, 2016), 〈김윤식과 원세개이홍장주복의 교류(1881~1887)-장정체제 구축과 종속의 네트워크〉(《韓國史學報》 61, 2015) 등이 있다.

박은숙의 다른 상품

시장의 역사

시장의 역사

14,000

'시장의 역사' 상세페이지 이동

편 : 최덕수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편 : 최덕수
관심작가 알림신청
崔德壽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한국사학과 명예교수
근대 한국 정치사 및 외교사 전공. 저서로는 《개항과 朝日관계》(2004, 고려대학교출판부)와 《대한제국과 국제환경》(선인, 2005), 공저로 《조약으로 본 한국 근대사》(열린책들, 2010), 《근대 한국의 개혁 구상과 유길준》(고려대학교출판문화원, 2015)가 있다. 역서로는 《조선의 개화사상과 내셔널리즘》(열린책들, 2014), 《근대 조선과 일본》(열린책들, 2015) 등이 있다.

최덕수의 다른 상품

근대 조선과 일본

근대 조선과 일본

14,400

'근대 조선과 일본' 상세페이지 이동

편 : 김윤희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편 : 김윤희
관심작가 알림신청
1967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고려대학교에서 학부,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고, 현재 전주대학교 한국고전학연구소 HK교수로 재직 중이다. 근대 동아시아와 한국자본주의 관계를 탐색하는 연구를 시작으로 최근에는 국민경제론 등 경제적 질서 관념과 유교문화의 관계성에 대한 비판적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저서로는 『근대 동아시아 한국자본주의』(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이완용 평전: 극단의 시대 합리성에 포획된 근대적 인간』(한겨레출판), 『마주하는 한국사교실 7: 자주와 개혁을 외치다』(웅진주니어), 공저로는 『일제강점기 경성부민의 여가생활』(서울역사편찬원) 등이 있다.

편 : 김소영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편 : 김소영
관심작가 알림신청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연구교수
근대 한국 정치사상사 전공. 공저로 《조약으로 본 한국근대사》(열린책들, 2010), 《한국 근대 신어의 특성과 유형》(역락, 2016)이 있다. 논문으로는 〈대한제국기 ‘국민’ 형성과 여성론〉(《한국근현대사연구》 67, 2013), 〈한말 魚潭의 ‘친일’ 행적과 정체성 형성 과정〉(《韓國史學報》 59, 2015), 〈한말 지식인들의 ‘애국론’과 민족주의〉(《개념과 소통》 16, 2016) 등이 있다.

편 : 박한민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편 : 박한민
관심작가 알림신청
동국대학교 역사교과서연구소 전문연구원
한국근대사와 한일관계사 전공. 공저로 《근대 한국의 개혁 구상과 유길준》(고려대학교출판문화원, 2015)이 있다. 논문으로는 〈1878년 두모진 수세를 둘러싼 조일 양국의 인식과 대응〉(《韓日關係史硏究》 39, 2011), 〈조일수호조규 관철을 위한 일본의 정찰활동과 조선의 대응〉(《歷史學報》 217, 2013), 〈개항장 ‘間行里程’ 운영에 나타난 조일 양국의 인식과 대응〉(《韓國史硏究》 165, 2014) 등이 있다.

박한민의 다른 상품

일제의 독도·울릉도 침탈 자료집 (3)

일제의 독도·울릉도 침탈 자료집 (3)

15,000

'일제의 독도·울릉도 침탈 자료집 (3)' 상세페이지 이동

편 : 마스타니 유이치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편 : 마스타니 유이치
관심작가 알림신청
고려대학교 대학원 한국사학과 박사수료
한국 근대 사회사 전공. 논문으로는 〈갑오개혁기 도일유학생 파견 정책의 전개와 중단 과정〉(《韓國史學報》 56, 2014), 〈甲午改革期渡日朝鮮人留學生の人脈形成と社會進出〉(《近代日本硏究》 33, 慶應義塾福澤硏究センタ?, 2016), 〈李容九の??大東合邦論??の受容について〉(《東アジア近代史》 20, 2016)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