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8명)

이전

저 : 김통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통년
관심작가 알림신청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를 졸업하고 한화종합화학(주)에서 근무했으며, 건축단열재 전문업체인 주식회사 보은을 설립하여 경영하고 있다. 집안의 역사와 풍습을 살피고 정리하는 일에 관심을 두고 『우리집 세계(世系)』, 『나의 선친 경인 김문현 선생 이야기』, 『우리 집안의 서예술』, 『오현』, 『어느 공주님의 이야기』 등을 저술했다. 쑤다오위(蘇道玉) | 1977년생이며 중국 산둥에서 태어났다. 중국 서남대학과 북경사범대학에서 학습하고 「중국 현대서예창작 변천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원광대학교 서예문화예술학과에서 「김충현과 김응현 서예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중국 허베이성 지질대학 중국서예연구소 소장으로 재직 중이며, 국가급 전문잡지인 CSSCI에 학술 논문을 여러 차례 발표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서예전각의 창작과 이론, 서예교육, 평론 등이다. 정복동 | 성균관대학교 유학과 동양미학전공과정에서 「훈민정음 구조와 한글서예미학의 심미구조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조선시대 한글편지 2000여 건을 대상으로 『한글서체자전』을 편찬했고, 현재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및 한국미술협회 한글서예분야 초대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조선시대 한글편지 서체자전』 2권, 『15세기 한글서예사』, 『16세기 한글서예사』(공저) 등이 있으며, 「한글서예의 예술성과 활용가치 고찰」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김수천 | 경희대학교 미술교육과를 졸업하고 대만 문화대학예술연구소에서 석사학위를, 대전대학교 철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월전미술관 학예연구사를 역임했으며, 원광대학교 서예문화예술학과 교수 및 동 대학교 서예문화연구소 소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서예사이다. 저서로는 『서예문화사』, 『월전 장우성 시서화 연구』(공저)가 있으며, 논문으로는 「상나라 명문글씨의 창조성」, 「학습자중심 서예교육프로그램이 인성교육에 미치는 영향」 등이 있다. 문희순 | 충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지봉 이수광의 시론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전임연구원을 역임했다. 현재 대전시 문화재위원을 맡고 있으며, 한남대학교에 출강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조선시대 여성문인과 지역학이다. 저서로 『동춘당 송준길가의 여성문화』, 역서로 『김성달가, 조선의 살아있는 가족문학사』가 있다. 논문으로는 「기호학파 여성문학의 전개와 문학사적 의의: 김성달·김창협 가문을 중심으로」 등이 있다. 이종호 | 성균관대학교 한문교육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한국한문학을 전공하여 석사학위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립안동대학교 인문대학 한문학과 교수를 정년퇴직한 후 현재는 동 대학교 명예교수로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한국 한문학 비평과 한국 선비문화이다. 저서로는 『조선의 문인이 걸어온 길』, 『온유돈후: 퇴계학 에세이』 등이 있다. 배옥영 | 원광대학교 서예문화예술학과를 졸업하고 대만 문화대학국학연구소에서 고문자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전남대학교 철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원광대학교 서예문화예술학과와 동양학연구소에서 강사 및 초빙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 현암인문학연구소 전임연구원, 대한검정회 전임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철학과 동양미학과 서예이론이다. 저서로는 『주대의 상제의식과 유학사상』, 『서예이론과 실기』, 『문자에 실은 그림과 글』, 『인간의 근본 효』가 있으며, 다수의 논문이 있다. 정현숙 | 이화여자대학교 문리대학을 졸업하고 원광대학교 서예문화예술학과에서 미술학 석사학위를, 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교(UPenn)에서 미술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이천시립월전미술관 학예연구실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원광대학교 서예문화연구소 연구교수로 재직하면서 전시 기획자로도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서화, 그 문자향 서권기』, 『삼국시대의 서예』, 『신라의 서예』 등이, 역서로는 『광예주쌍집』, 『미불과 중국 서예의 고전』, 『서예 미학과 기법』 등이 있으며, 서화 논문 50여 편이 있다. 한국서예학회·한국목간학회 부회장이며, 2020년 우현학술상을 수상했다.

김통년의 다른 상품

일중 김충현의 삶과 서예

일중 김충현의 삶과 서예

39,000

'일중 김충현의 삶과 서예'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쑤다오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쑤다오위
관심작가 알림신청
蘇道玉
1977년생이며 중국 산둥에서 태어났다. 중국 서남대학과 북경사범대학에서 학습하고 「중국 현대서예창작 변천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원광대학교 서예문화예술학과에서 「김충현과 김응현 서예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중국 허베이성 지질대학 중국서예연구소 소장으로 재직 중이며, 국가급 전문잡지인 CSSCI에 학술 논문을 여러 차례 발표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서예전각의 창작과 이론, 서예교육, 평론 등이다.

저 : 정복동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정복동
관심작가 알림신청
성균관대학교 유학과 동양미학전공과정에서 「훈민정음 구조와 한글서예미학의 심미구조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조선시대 한글편지 2000여 건을 대상으로 『한글서체자전』을 편찬했고, 현재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및 한국미술협회 한글서예분야 초대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조선시대 한글편지 서체자전』 2권, 『15세기 한글서예사』, 『16세기 한글서예사』(공저) 등이 있으며, 「한글서예의 예술성과 활용가치 고찰」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저 : 김수천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수천
관심작가 알림신청
1957년 대전에서 태어나, 경희대학교 미술교육과를 졸업하고 대만문화대학臺彎文化大學 예술연구소에서 석사학위를, 대전대학교에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원광대학교 미술대학 서예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원광대학교 서예문화연구소 연구위원이다. 월전미술관 이사, 서지학회 이사, 한국서예학회 부회장, 한국서예치료회장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서예문화사 1』(1998)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상나라 명문 글씨의 창조성」 「신라 무구정광대다라니경 서체의 예술철학적 조명」 등이 있다.

김수천의 다른 상품

월전 장우성 시서화 연구

월전 장우성 시서화 연구

35,000

'월전 장우성 시서화 연구' 상세페이지 이동

저 : 문희순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문희순
관심작가 알림신청
충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지봉 이수광의 시론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전임연구원을 역임했다. 현재 대전시 문화재위원을 맡고 있으며, 한남대학교에 출강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조선시대 여성문인과 지역학이다. 저서로 『동춘당 송준길가의 여성문화』, 역서로 『김성달가, 조선의 살아있는 가족문학사』가 있다. 논문으로는 「기호학파 여성문학의 전개와 문학사적 의의: 김성달·김창협 가문을 중심으로」 등이 있다.

문희순의 다른 상품

해주일록

해주일록

20,900 (5%)

'해주일록'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이종호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종호
관심작가 알림신청
성균관대학교 한문교육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한국한문학을 전공하여 석사학위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립안동대학교 인문대학 한문학과 교수를 정년퇴직한 후 현재는 동 대학교 명예교수로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한국 한문학 비평과 한국 선비문화이다. 저서로는 『조선의 문인이 걸어온 길』, 『온유돈후: 퇴계학 에세이』 등이 있다.

이종호의 다른 상품

안동문화로 보는 한국학

안동문화로 보는 한국학

14,400 (10%)

'안동문화로 보는 한국학' 상세페이지 이동

마음을 열어 하늘의 소리를 듣다

마음을 열어 하늘의 소리를 듣다

18,050 (5%)

'마음을 열어 하늘의 소리를 듣다' 상세페이지 이동

열녀와 의리

열녀와 의리

19,000 (5%)

'열녀와 의리' 상세페이지 이동

월전 장우성 시서화 연구

월전 장우성 시서화 연구

35,000

'월전 장우성 시서화 연구' 상세페이지 이동

저 : 배옥영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배옥영
관심작가 알림신청
광대학교 서예문화예술학과를 졸업하고 대만 문화대학국학연구소에서 고문자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전남대학교 철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원광대학교 서예문화예술학과와 동양학연구소에서 강사 및 초빙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 현암인문학연구소 전임연구원, 대한검정회 전임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철학과 동양미학과 서예이론이다. 저서로는 『주대의 상제의식과 유학사상』, 『서예이론과 실기』, 『문자에 실은 그림과 글』, 『인간의 근본 효』가 있으며, 다수의 논문이 있다.

저 : 정현숙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정현숙
관심작가 알림신청
鄭鉉淑
정현숙鄭鉉淑은 대구 출생으로 경북여자고등학교, 이화여자대학교를 졸업하고 원광대학교에서 서예사로 석사학위를, 펜실베니아대학교(UPenn)에서 미술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천시립월전미술관·열화당책박물관 학예연구실장을 역임했다. KBS전국휘호대회 초대작가로 원광대학교에서 금석학, 서예사, 서예미학 등을 강의했다. 현재 한국목간학회·한국서예학회 부회장, 원광대학교 서예문화연구소 연구교수로 한중 서예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 2020년 우현학술상을 수상했다.

저서로 『일중 김충현 경후 김단희, 아버지와 딸』, 『서화, 그 문자향 서권기』, 『삼국시대의 서예』(우현학술상), 『신라의 서예』(세종도서 학술부문), 공저로 『일중 김충현의 삶과 서예』, 『신라 왕경과 포항중성리신라비』, 『한국서예사』, 『영남서예의 재조명』(대학출판협회 우수도서), 『서예가 보인다』(세종도서 교양부문), 『월전 장우성 시서화 연구』, 『한류와 한사상』, 역서로 『광예주쌍집』 2권(공역), 『미불과 중국서예의 고전』, 『서예 미학과 기법』이, 그리고 논문 약 55편이 있다.

기획 전시로는 「일중 김충현 경후 김단희, 아버지와 딸」, 「김충현 현판글씨, 서예가 건축을 만나다」, 「출판인 한만년과 일조각」, 「서예, 우리 붓글씨 예술의 세계를 찾아서」, 「20세기 한국수묵산수화」, 「한국수묵대가: 장우성·박노수 사제동행」, 「당대수묵대가: 한국 장우성·대만 푸쥐안푸」, 「옛 글씨의 아름다움」 등이 있다.

정현숙의 다른 상품

서화, 그 문자향 서권기

서화, 그 문자향 서권기

40,000

'서화, 그 문자향 서권기' 상세페이지 이동

삼국시대의 서예

삼국시대의 서예

60,000

'삼국시대의 서예' 상세페이지 이동

영남서예의 재조명

영남서예의 재조명

28,000

'영남서예의 재조명' 상세페이지 이동

신라의 서예

신라의 서예

38,000

'신라의 서예' 상세페이지 이동

광예주쌍집 하

광예주쌍집 하

30,000

'광예주쌍집 하' 상세페이지 이동

광예주쌍집 상

광예주쌍집 상

40,000

'광예주쌍집 상' 상세페이지 이동

월전 장우성 시서화 연구

월전 장우성 시서화 연구

35,000

'월전 장우성 시서화 연구'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