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15명)

이전

공저 : 금장태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공저 : 금장태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종교학과와 성균관대대학원 동양철학과(철학박사)를 졸업하고 동덕여대와 성균관대의 교수를 역임하였다. 현재는 서울대학교 종교학과 명예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비판과 포용-한국실학의 정신』,『귀신과제사-유교의 종교적 세계』,『한국유교와 타종교』,『율곡평전-나라를 걱정한 철인』,『다산평전-백성을 사랑한 지성』,『퇴계평전-인간의 길을 밝혀준 스승』,『경전과 시대-한국유학의 경전활용』『선비의 가슴 속에 품은 하늘』 등이 있다.

금장태의 다른 상품

나를 찾고 너를 만나

나를 찾고 너를 만나

7,700

'나를 찾고 너를 만나' 상세페이지 이동

공저 : 신정근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공저 : 신정근
관심작가 알림신청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 교수이자 유학대학장·유학대학 원장을 맡고 있다. 서울대학교에서 동양철학과 서양철학을 공부하고 동 대학원에서 동양철학으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동양고전을 누구나 쉽게 읽고 친근하게 배울 수 있도록 힘써온 저자는 20만 부 이상 판매된 베스트셀러 『마흔, 논어를 읽어야 할 시간』으로 대한민국에 동양고전 강독 열풍을 일으켰다.
저서로는 『동양철학의 유혹』, 『논어의 숲, 공자의 그늘』, 『공자씨의 유쾌한 논어』, 『마흔, 논어를 읽어야 할 시간』, 『신정근 교수의 동양고전이 뭐길래?』, 『공자와 손자, 역사를 만들고 시대에 답하다』, 『맹자와 장자, 희망을 세우고 변신을 꿈꾸다』, 『동양철학 인생과 맞짱 뜨다』, 『철학사의 전환』, 『노자의 인생강의』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유학, 우리 삶의 철학』, 『공자신화』, 『중국 현대 미학사』, 『소요유, 장자의 미학』, 『의경, 동아시아 미학의 거울』, 『대역지미, 주역의 미학』, 『중국 미학사』 등이 있다

신정근의 다른 상품

[대여] 맹자의 꿈

[대여] 맹자의 꿈

7,520 (50%)

'[대여] 맹자의 꿈' 상세페이지 이동

맹자의 꿈

맹자의 꿈

13,540 (9%)

'맹자의 꿈' 상세페이지 이동

오십, 중용이 필요한 시간

오십, 중용이 필요한 시간

12,800

'오십, 중용이 필요한 시간' 상세페이지 이동

마흔, 논어를 읽어야 할 시간 (개정판)

마흔, 논어를 읽어야 할 시간 (개정판)

15,840

'마흔, 논어를 읽어야 할 시간 (개정판)' 상세페이지 이동

유학, 우리 삶의 철학

유학, 우리 삶의 철학

9,700

'유학, 우리 삶의 철학' 상세페이지 이동

노자의 인생 강의

노자의 인생 강의

11,900

'노자의 인생 강의' 상세페이지 이동

사람다움의 발견

사람다움의 발견

22,400

'사람다움의 발견' 상세페이지 이동

동양 철학의 유혹

동양 철학의 유혹

13,300

'동양 철학의 유혹' 상세페이지 이동

공저 : 이현선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공저 : 이현선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종교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철학과에서 석사및 박사 학위(동양철학 전공)를 취득하였다. 박사학위 논문은 신유학 형성에 결정적 영향을 준 장재와 이정 형제의 철학이 상호대립적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그 사상적 내용을 조망하였다. 현재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객원연구원으로, 장재와 이정 형제의 철학이 중국과 한국 유학에 끼친 영향을 연구하고 있다. 지은책으로 『장재와 이정 형제의 철학』, 옮긴 책으로 『정명도와 정이천의 철학』이 있으며, 논문은 「장재 수양론에 대한 이정의 비판」, 「정이의 ‘중’과 ‘미발’개념 연구」 등이 있다.

공저 : 성태용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공저 : 성태용
관심작가 알림신청
전 건국대 철학과 교수로 건국대학교 문과대 학장과 한국철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학부를 마친 뒤 한국고등교육재단 한학자 양성 장학생으로 선발되어 청명 임창순 선생에게서 5년간 한학을 연수했다. 2000년에는 한국교육방송(EBS)에서 ‘성태용의 주역과 21세기’라는 제목으로 48회의 강의를 했고, 2007년에는 오늘날 한국연구재단의 전신이라 할 수 있는 학술진흥재단에서 인문학 단장을 맡아 인문학 진흥사업에 초석을 놓았다. 2006년부터 2012년까지는 ‘우리는 선우’의 대표로서 재가불자운동을 펼쳤다. 현재는 청명 임창순 선생이 설립한 청명문화재단의 이사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 『어른의 서유기』, 『주역과 21세기』, 『오늘에 풀어보는 동양사상』(공저) 등이 있다.

성태용의 다른 상품

더 나은 오늘을 위한 불교 강의

더 나은 오늘을 위한 불교 강의

12,000

'더 나은 오늘을 위한 불교 강의' 상세페이지 이동

어른의 서유기

어른의 서유기

15,400

'어른의 서유기' 상세페이지 이동

공저 : 이광호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공저 : 이광호
관심작가 알림신청
李光虎
서울대학교 철학과에서 서양과 동양의 철학을 익혔다. 민족문화추진회 부설 국역연수원과 태동고전연구소에서 한문과 유학의 경전을 익혔다. 한림대학교와 연세대학교 철학과에서 유학과 동양철학을 가르쳤다. 고전을 익히며 인격을 완성하는 가운데 진리를 체험하는 유학을, 현대인이 이해할 수 있는 새로운 인문학으로 정립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근사록집해』, 『국역 심경 주해 총람』, 『성학십도』, 『이자수어』 등을 번역하고, 『퇴계와 율곡, 생각을 다투다』를 편역하여 출간했다. 한국동양철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2008년 주자학상과 2013년 퇴계학 학술상을 수상했다. 현재 국제퇴계학회 회장을 맡고 있다.

이광호의 다른 상품

인문학 명강, 동양고전 : 대한민국 대표 인문학자들이 들려주는

인문학 명강, 동양고전 : 대한민국 대표 인문학자들이 들려주는

14,400

'인문학 명강, 동양고전 : 대한민국 대표 인문학자들이 들려주는' 상세페이지 이동

공저 : 장원태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공저 : 장원태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맹자·장자·순자의 마음 이론」으로 석사학위를, 「전국시대 인성론 형성과 전개에 관한 연구」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서울대학교 철학과 조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중국 고전에 대한 해설집인 『사고전서총목제요四庫全書總目提要』 번역에 참여한 바 있다. 고대 중국 철학자들이 사용한 심성론 관련 주요 개념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이 개념들이 중국 철학사에서 어떤 방식으로 전수되었는지 연구하고 있다.

공저 : 오이환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공저 : 오이환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타이완대학, 교토대학에서 철학과 중국 철학사를 전공하였고, 교토대학에서 문학석사와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0년대 초부터 경상대학교 인문대학 철학과에 재직해왔다. 사단법인 남명학연구원 제1회 학술대상을 수상하였고, 한국동양철학회장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남명학파 연구』(2책), 『동아시아의 사상』, 『남명학의 새 연구』(2책), 편저로는 『한국의 사상가10인: 남명 조식』, 『남명집 4종』, 역서로는 『남명집』, 가노 나오키의 『중국 철학사』, 교감으로 『역주 고대일록』(3책)이 있다.

오이환의 다른 상품

중국철학사 1 - 지식을만드는지식 사상선집

중국철학사 1 - 지식을만드는지식 사상선집

14,240

'중국철학사 1 - 지식을만드는지식 사상선집' 상세페이지 이동

중국철학사 2 - 지식을만드는지식 사상선집

중국철학사 2 - 지식을만드는지식 사상선집

18,240

'중국철학사 2 - 지식을만드는지식 사상선집' 상세페이지 이동

중국철학사 3 - 지식을만드는지식 사상선집

중국철학사 3 - 지식을만드는지식 사상선집

14,240

'중국철학사 3 - 지식을만드는지식 사상선집' 상세페이지 이동

중국철학사 4 - 지식을만드는지식 사상선집

중국철학사 4 - 지식을만드는지식 사상선집

14,240

'중국철학사 4 - 지식을만드는지식 사상선집' 상세페이지 이동

중국철학사 5 - 지식을만드는지식 사상선집

중국철학사 5 - 지식을만드는지식 사상선집

22,240

'중국철학사 5 - 지식을만드는지식 사상선집' 상세페이지 이동

해외견문록 下

해외견문록 下

28,000

'해외견문록 下' 상세페이지 이동

해외견문록 上

해외견문록 上

28,000

'해외견문록 上' 상세페이지 이동

공저 : 손영식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공저 : 손영식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철학과에서 학사·석사·박사를 했다. 각각 공자, 정이, 주희에 관한 논문을 썼다. 현재 울산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있다. 주된 연구 분야는 중국과 한국의 신유학, 중국의 제자백가사상, 그리고 노자와 장자의 철학이다. 이 가운데 송나라 때의 성리학이 중심적인 연구 분야다. 이를 기반으로 해서 고대로 거슬러올라가 제자백가의 사상까지 갔다. 동시에 지역적으로 조선시대의 신유학 사상을 연구했다. 새로운 가설을 제시하는 것을 좋아해서, 2001~2006년에 걸쳐 벌어졌던 이이와 이황 철학의 성격을 두고 벌인 논쟁에 주된 논객으로 참여했다. 이를 기반으로 해서 성리학의 형이상학을 새롭게 정리한 『성리학의 형이상학 시론』과 『성리학의 형이상학 도론』이라는 책을 썼다.

손영식의 다른 상품

이성과 현실

이성과 현실

18,500

'이성과 현실' 상세페이지 이동

조선의 역사와 철학의 모험

조선의 역사와 철학의 모험

15,000

'조선의 역사와 철학의 모험' 상세페이지 이동

공저 : 김수중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공저 : 김수중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경희대학교에 30여 년 철학과 교수로 근무하면서 중앙도서관장, 문과대학 학장 등을 지냈다. 밖으로는 북경대학교 철학과 연구교수, 한국양명학회 회장 등을 역임하였다. 주요 논문으로 「명말 태주학파의 사회사상」, 「동양철학과 매체」, 「양명학의 대동사회의식에 관한 연구」 등이 있고, 공저로 『인간이란 무엇인가』, 『공동체란 무엇인가』, 『마음과 철학(유학편)』 등이 있다. 현지 조사를 중시하고 자전거 여행을 좋아하여, 중국, 유럽, 시베리아 등 세계 각지를 답사하였다. 2017년 정년퇴임 이후에는 동두천 왕방산 기슭에서 저술에 힘쓰고 있다.

김수중의 다른 상품

중국 고전 철학의 이해

중국 고전 철학의 이해

20,800

'중국 고전 철학의 이해' 상세페이지 이동

사물의 분류와 지식의 탄생

사물의 분류와 지식의 탄생

17,500

'사물의 분류와 지식의 탄생' 상세페이지 이동

공저 : 조남호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공저 : 조남호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철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대만대학교 고등연구원을 방문학자로 갔다 왔으며, 현재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에 재직 중이다. 박사학위 논문은 「나흠순과 조선학자들의 논변」으로, 나흠순이 주자학과 양명학 모두에 관계하는 까닭에 두 분야를 모두 공부하고 있다. 주자학과 양명학은 같으면서도 다른 학문이다. 주자학은 주로 『주자어류』를 중심으로 공부하고 있고, 양명학은 최근에 관심을 갖고 양명후학과 조선의 하곡학의 관계를 연구하고 있다. 아울러 동학, 대종교를 비롯한 조선후기 민족종교 또한 관심을 가지고 공부를 하고 있다. 조선철학사의 어떻게 맥락이 연결되는가에 흥미를 가지고 있으며 동양철학이 현실에 적용되는 한의학에도 관심을 가지고 있다. 저서로 『주희 중국철학의 중심』(태학사, 2004)과 『이황의 성학십도』(삼성출판사, 2006)가 있으며, 역서로 『강설 황제내경1, 2』(청홍, 2009, 2011)가 있다.

조남호의 다른 상품

사물의 분류와 지식의 탄생

사물의 분류와 지식의 탄생

17,500

'사물의 분류와 지식의 탄생' 상세페이지 이동

공저 : 이규성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공저 : 이규성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1983년부터 1988년까지 영남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했고, 1989년부터 2017년까지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현재는 이화여자대학교 명예교수로 있다. 저서로는 『의지와 소통으로서의 세계: 쇼펜하우어의 세계관과 아시아의 철학』(2016), 『한국현대철학사론: 세계상실과 자유의 이념』(2012), 『최시형의 철학: 표현과 개벽』(2011), 『생성의 철학: 왕선산』(2002), 『내재의 철학: 황종희』(1994)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세계의 탈환과 자유의 길」(2017), 「康有爲의 세계의식과 이상사회」(2013), 「무한모순의 변증법과 생성의 세계」(2010), 「한국현대철학에서의 두 가지 변증법과 사상의 혁명」(2009), 「경험과 생철학의 가능성」(2009), 「朱熹와 李延平: 사유의 전환과 구조」(2008), 「한국근대 생철학의 조류와 구조」(2008), 「심정과 자유의 철학: 함석헌」(2006) 외 다수가 있다.

이규성의 다른 상품

중국현대철학사론

중국현대철학사론

43,200

'중국현대철학사론' 상세페이지 이동

공저 : 강중기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공저 : 강중기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철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연구원으로 있다. 한림과학원 HK연구교수(중국철학)를 역임한 바 있다. 박사학위 논문은「양수명의 현대 신유학」이다. 중국 근현대철학을 중심으로 동아시아 근현대사상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서구 근대 개념이 동아시아에 전래되어 복수 개념 사이의 투쟁을 거쳐 하나의 개념으로 정착하고 변용되고 유통되는 과정에 대하여 개념사의 방법을 빌려 천착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종교와 가족, 그리고 국가 등의 개념에 특별히 흥미를 갖고 있다. 저서로 『조선 전기 경세론과 불교 비판』, 『황종희 '명이대방록'』, 『양수명 '동서 문화와 철학'』 등이 있고, 역서로 『동서 문화와 철학』, 『천연론』, 『관념사란 무엇인가』(Ⅰ·Ⅱ) 등이 있다.

강중기의 다른 상품

중국문화요의

중국문화요의

36,000

'중국문화요의' 상세페이지 이동

공저 : 정원재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공저 : 정원재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철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박사. 현재 서울대학교 철학과 교수. 저서로 『조선 전기 수양론』(철학사상연구소, 2004)이 있고, 공저로 『인간에 대한 철학적 성찰』(문예출판사, 2005)과 『마음과 철학: 유학편』(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3)이 있다. 『지각설에 입각한 이이 철학의 해석』(서울대학교 철학과 박사학위논문, 2001), 「조식이 본 김굉필」(『남명학보』, 2003), 「이황의 칠정 이해」(『퇴계학보』, 2015), 「7정과 성악설」(『철학사상』, 2015), 「신유학 3파의 이름과 대안의 모색」 (『철학』, 2016), 「이황 호발설의 연원은 홍치(洪治)인가?」(『퇴계학보』, 2016), 「「논4단7정제3서」 (論四端七情第三書)의 재구성」(『퇴계학보』, 2016) 외에 다수의 연구논문이 있다.

공저 : 문석윤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공저 : 문석윤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철학과 학부와 석사과정을 마치고, 같은 대학원에서「조선 후기 호락논변의 성립사 연구」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명지대학교 철학과 교수를 거쳐 지금은 경희대학교 철학과에 재직하고 있다. 학위 취득 후에는 이황과 관련된 논문을 몇편 발표하였으며, 이황 저작의 정본定本을 편성하는 사업에도 참여하고 있다. 조선 성리학사에서 제기된 문제와 개념을 이해하고 분석하며, 그 역사적 전개를 살펴보는 데 관심이 있다. 최근에는 성호星湖, 담헌湛軒, 다산茶山 등 실학자들에 대해, 조선 성리학의 전개와 그에 대한 계승과 극복이라는 관점에서 몇 편의 논문을 썼다. 저서로는 『호락논쟁 형성과 전개』가 있다.

공저 : 김영우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공저 : 김영우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과 대학원에서 「정약용의 역학 사상 연구」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부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조선전기심성론』, 『퇴계, 달중이를 만나다』(공저) 등이 있고, 논문으로는 「다산의 사단칠정론고찰」, 「다산과 대진의 『맹자』 해석 비교연구」, 「정약용과 모기령의 역학사상 비교연구」 등이 있다.

김영우의 다른 상품

고운 최치원, 나루에 서다

고운 최치원, 나루에 서다

9,100

'고운 최치원, 나루에 서다'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