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8명)

이전

저 : 김은주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은주
관심작가 알림신청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에서 「헤겔에서 인간존재의 자기실현과 노동」으로 석사학위를 받고, 같은 대학 철학과에서 「여성주의와 긍정의 윤리학: 들뢰즈의 행동학을 기반으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트랜스포지션』(2011)을 공동 번역했고 『공간에 대한 사회인문학적 이해』(2017)를 공동 저술했다. 「에토스로서의 윤리학과 정동」 「젠더 트러블을 넘어 되기로서의 젠더로」 「들뢰즈의 신체 개념과 브라이도티의 여성 주체」 「시각 기술의 권력과 ‘신체 없는 기관’으로서의 신체 이미지」 「‘여성혐오’ 이후의 여성주의의 주체화 전략: 혐오의 모방과 혼종적 주체성」 등의 논문을 썼다. 가장 큰 관심사는 윤리학이며, 지금은 포스트휴먼의 신체와 젠더의 관계를 공부한다.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여성 철학자들의 책을 읽는 세미나에서 토론하고 배우면서 살고 있다.

김은주의 다른 상품

생각하는 여자는 괴물과 함께 잠을 잔다 (큰글씨책)

생각하는 여자는 괴물과 함께 잠을 잔다 (큰글씨책)

25,000

'생각하는 여자는 괴물과 함께 잠을 잔다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페미니즘 철학 입문

페미니즘 철학 입문

19,800 (10%)

'페미니즘 철학 입문 ' 상세페이지 이동

출렁이는 시간[들]

출렁이는 시간[들]

13,500 (10%)

'출렁이는 시간[들]' 상세페이지 이동

제4물결 페미니즘: 정동적 시간성

제4물결 페미니즘: 정동적 시간성

16,200 (10%)

'제4물결 페미니즘: 정동적 시간성' 상세페이지 이동

변신

변신

17,550 (10%)

'변신' 상세페이지 이동

21세기 사상의 최전선

21세기 사상의 최전선

16,200 (10%)

'21세기 사상의 최전선' 상세페이지 이동

여성-되기

여성-되기

13,500 (10%)

'여성-되기' 상세페이지 이동

페미니즘 고전을 찾아서

페미니즘 고전을 찾아서

13,500 (10%)

'페미니즘 고전을 찾아서'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김재희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재희
관심작가 알림신청
경기여고와 이화여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 철학과 대학원에서 석·박사 과정을 마쳤다. 『베르그손의 무의식 개념에 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요 논문으로는 「베르그손의 이미지 개념」, 「베르그손의 기억 개념과 시간의 역설에 대하여」, 「무의식과 시간:베르그손의 순수과거 개념에 대한 소론」, 「베르그손에서 잠재성과 물질의 관계」, 「탈경계의 사유:카프카를 통해 본 해체와 탈주의 철학」, 「보르헤스 작품에 나타난 시간의 철학적 의미:동시적 공존과 반복」, 「추상: 비가시적인 삶의 파토스-미셸 앙리의 칸딘스키론」, 「외국인, 새로운 정치적 대상:아감벤과 데리다를 중심으로」, 「법 앞에 선 주체:라깡과 데리다를 중심으로」, 「미디어 리얼리티는 가능한가?」 등이 있다. 저서로는 『물질과 기억:반복과 차이의 운동』, 『서양철학과 주제학』(공저)이 있고, 번역서로는 베르그손의 『도덕과 종교의 두 원천』, 가라타니 고진의 『은유로서의 건축:언어, 수, 화폐』, 자크 데리다·베르나르 스티글러 공저인 『에코그라피-텔레비전에 관하여』(공역)가 있다. 서울대 철학사상 연구소 선임연구원을 거쳐 대진대 학술연구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 베르그손으로부터 시몽동(G. Simondon)과 들뢰즈(G. Deleuze)로 이어지는 표현적 유물론의 자연철학, 테크놀로지 문화의 철학적 의미, 문학과 철학의 관계 등을 연구하고 있다.

김재희의 다른 상품

포스트휴먼으로 살아가기

포스트휴먼으로 살아가기

17,820 (10%)

'포스트휴먼으로 살아가기' 상세페이지 이동

원서발췌 도덕과 종교의 두 원천 (큰글자책)

원서발췌 도덕과 종교의 두 원천 (큰글자책)

24,000

'원서발췌 도덕과 종교의 두 원천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원서발췌 도덕과 종교의 두 원천

원서발췌 도덕과 종교의 두 원천

12,000

'원서발췌 도덕과 종교의 두 원천' 상세페이지 이동

일꾼과 이야기꾼

일꾼과 이야기꾼

22,500 (10%)

'일꾼과 이야기꾼' 상세페이지 이동

포스트휴먼 지식

포스트휴먼 지식

18,000 (10%)

'포스트휴먼 지식' 상세페이지 이동

과학기술 문명에 대한 성찰

과학기술 문명에 대한 성찰

22,000

'과학기술 문명에 대한 성찰' 상세페이지 이동

현대 기술·미디어 철학의 갈래들 (큰글자책)

현대 기술·미디어 철학의 갈래들 (큰글자책)

31,000

'현대 기술·미디어 철학의 갈래들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유인혁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유인혁
관심작가 알림신청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연구교수. 한국 근대문학에서 웹소설에 이르는 다양한 서사 형식에 나타난 공간적 실천 양상을 분석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한국 근대문학의 용산」, 「한국 웹소설은 네트워크화된 개인을 어떻게 재현하는가?」 등이 있다.

유인혁의 다른 상품

저 : 이광석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광석
관심작가 알림신청
테크놀로지, 사회, 문화가 상호 교차하는 접점에 비판적 관심을 갖고 연구와 비평, 저술과 현장 활동을 해오고 있다. 미국 텍사스 오스틴대학 Radio, Television & Film 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대학원 디지털문화정책학과 교수로 일한다. 현재 비판적 문화연구 저널 『문화/과학』 공동 편집주간으로 활동하고, 『경향신문』에 칼럼을 연재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기술 문화 연구, 미디어·아트 행동주의, 플랫폼과 커먼즈, 인류세와 포스트휴먼, 비판적 제작 문화 등에 걸쳐 있다. 지은 책으로는 『데이터 사회미학』·『데이터 사회 비판』·『옥상의 미학노트』·『뉴아트행동주의』·『디지털 야만』·『사이방가르드』 등이 있고, 기획하고 엮은 책으로는 『사물에 수작부리기』·『현대 기술·미디어 철학의 갈래들』·『불순한 테크놀로지』 등이 있다.

이광석의 다른 상품

인공지능, 플랫폼, 노동의 미래

인공지능, 플랫폼, 노동의 미래

18,000 (10%)

'인공지능, 플랫폼, 노동의 미래' 상세페이지 이동

디지털 폭식 사회

디지털 폭식 사회

15,300 (10%)

'디지털 폭식 사회' 상세페이지 이동

미술관은 무엇을 연결하는가

미술관은 무엇을 연결하는가

20,000

'미술관은 무엇을 연결하는가' 상세페이지 이동

2022 한국의 논점

2022 한국의 논점

18,000 (10%)

'2022 한국의 논점' 상세페이지 이동

피지털 커먼즈

피지털 커먼즈

19,800 (10%)

'피지털 커먼즈' 상세페이지 이동

포스트디지털

포스트디지털

18,000 (10%)

'포스트디지털' 상세페이지 이동

2021 한국의 논점

2021 한국의 논점

18,000 (10%)

'2021 한국의 논점' 상세페이지 이동

디지털의 배신

디지털의 배신

13,500 (10%)

'디지털의 배신'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이양숙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양숙
관심작가 알림신청
현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에서 부교수로 재직하면서 디지털도시문명과 도시공동체, 도시인의 감정과 친밀관계 등을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한국 근대문학과 동아시아 2 : 중국』(공저), 『임화문학연구 5』(공저), 『현대소설과 글로벌폴리스』, 『1930~40년대 경성의 도시체험과 도시문제』(공저), 『서울의 인문학』(기획편찬), 『‘조선적인 것’의 형성과 근대문화담론』(공저)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 「디지털 시대의 경계불안과 포스트휴먼」, 「한국소설의 비인간 전환과 탈인간중심주의」, 「김광주 소설에 나타난 탈경계의 의미」, 「대도시의 미학과 1990년대 한국소설」, 「한국문학과 도시성」 등이 있다.

저 : 이중원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중원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물리학과에서 학사 및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동 대학원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에서 과학철학으로 이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시립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과학철학회 회장, 한국철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주요 관심 분야는 현대 물리학인 양자이론과 상대성 이론의 철학, 기술의 철학, 현대 첨단 기술의 윤리적·법적·사회적 쟁점 관련 문제들이다. 저서로 『인문학으로 과학읽기』(공저, 2004), 『필로테크놀로지를 말한다』(공저, 2008), 『양자, 정보, 생명』(공저, 2015), 『정보혁명』(공저, 2017), 『인공지능의 존재론』(공저, 2018), 『인공지능의 윤리학』(공저, 2019), 『인공지능 시대의 인간학』(공저, 2022) 등이 있다. 그 외에 다수의 논문과 함께 ≪문화일보≫, ≪교수신문≫, ≪동아일보≫, ≪한겨레≫, ≪경향신문≫, ≪세계일보≫ 등에 과학과 인문학에 관한 칼럼을 게재했고, 세바시, YTN, EBS TV 방송 등 미디어에도 출연했다.

이중원의 다른 상품

나 없이는 존재하지 않는 세상

나 없이는 존재하지 않는 세상

16,200 (10%)

'나 없이는 존재하지 않는 세상' 상세페이지 이동

포스트휴먼과 융합

포스트휴먼과 융합

29,800

'포스트휴먼과 융합' 상세페이지 이동

과학과 가치

과학과 가치

26,100 (10%)

'과학과 가치' 상세페이지 이동

인공지능 시대의 인간학

인공지능 시대의 인간학

25,000

'인공지능 시대의 인간학' 상세페이지 이동

플랫폼시대의 교통약자와 교통공유경제

플랫폼시대의 교통약자와 교통공유경제

17,100 (5%)

'플랫폼시대의 교통약자와 교통공유경제' 상세페이지 이동

인공지능 시대의 인간학

인공지능 시대의 인간학

36,000

'인공지능 시대의 인간학' 상세페이지 이동

과학은 논쟁이다

과학은 논쟁이다

14,220 (10%)

'과학은 논쟁이다' 상세페이지 이동

만약 시간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만약 시간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14,400 (10%)

'만약 시간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이현재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현재
관심작가 알림신청
사회/여성철학 전공자로서 현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신유물론과 페미니즘의 관점을 접목시켜 몸, 도시, 공간의 물질성을 새롭게 정립하는 작업, 포스트휴먼 페미니즘과 돌봄전환을 연결시키는 작업에 몰두하고 있다. 최근에는 『포스트휴먼 페미니즘』(후마니타스, 2024)를 공역하였다. 그밖의 저서로 『여성혐오, 그후 : 우리가 만난 비체들』, 공저로는 『공간에 대한 사회인문학적 이해』 등이 있다. 공역서로 에드워드 소자, 『포스트메트로폴리스 2』, 낸시 프레이저 외, 『불평등과 모욕을 넘어』 등이 있다.

이현재의 다른 상품

포스트휴먼 페미니즘

포스트휴먼 페미니즘

25,200 (10%)

'포스트휴먼 페미니즘' 상세페이지 이동

신유물론×페미니즘

신유물론×페미니즘

16,000

'신유물론×페미니즘' 상세페이지 이동

디지털 시대의 정체성과 위험성

디지털 시대의 정체성과 위험성

13,500 (10%)

'디지털 시대의 정체성과 위험성' 상세페이지 이동

삶을 바꾼 페미니즘 강의실

삶을 바꾼 페미니즘 강의실

16,200 (10%)

'삶을 바꾼 페미니즘 강의실' 상세페이지 이동

능력주의와 페미니즘

능력주의와 페미니즘

16,200 (10%)

'능력주의와 페미니즘' 상세페이지 이동

코로나 시대의 페미니즘

코로나 시대의 페미니즘

11,700 (10%)

'코로나 시대의 페미니즘' 상세페이지 이동

현대 정치철학의 네 가지 흐름

현대 정치철학의 네 가지 흐름

20,700 (10%)

'현대 정치철학의 네 가지 흐름' 상세페이지 이동

악셀 호네트 큰글씨책

악셀 호네트 큰글씨책

25,000

'악셀 호네트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저 : 홍남희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홍남희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연구 교수로, 디지털 미디어, 저널리즘, 젠더 연구를 하고 있다. 연세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에서 영상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디지털 미디어와 문화, 거버넌스 등과 관련하여 다수의 논문을 썼다. 책으로는 《SNS 검열》, 《AI와 더불어 살기》(공저),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공저), 《디지털 포스트휴먼의 조건》(공저) 등이 있다.

홍남희의 다른 상품

디지털 미디어 문해력 이해와 실천

디지털 미디어 문해력 이해와 실천

18,000

'디지털 미디어 문해력 이해와 실천' 상세페이지 이동

편향된 기술 문화는 어떻게 작동해 왔는가

편향된 기술 문화는 어떻게 작동해 왔는가

24,000

'편향된 기술 문화는 어떻게 작동해 왔는가' 상세페이지 이동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28,000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상세페이지 이동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큰글자책)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큰글자책)

55,000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언론정보학보 113호

한국언론정보학보 113호

25,000

'한국언론정보학보 113호' 상세페이지 이동

AI와 더불어 살기 (큰글씨책)

AI와 더불어 살기 (큰글씨책)

37,000

'AI와 더불어 살기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AI와 더불어 살기

AI와 더불어 살기

25,800

'AI와 더불어 살기' 상세페이지 이동

SNS 검열 큰글씨책

SNS 검열 큰글씨책

20,000

'SNS 검열 큰글씨책 '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