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10명)

이전

저 : 송찬섭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송찬섭
관심작가 알림신청
1956년 부산 출생.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1985년 이후 여러 대학에서 강의하였고 현재는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문화교양학과 명예교수로 재직 중이다. 우리 역사를 과학적으로 연구하고 성과를 대중에게 보급하기 위해1 988년 만들어진 역사학연구소 또한 중요한 활동의 장으로 삼고 있다. 주요 저작으로 『1862년 농민 항쟁』(공저, 1988), 『조선 후기 환곡제 개혁 연구』(2002), 『농민이 난을 생각하다』(2004), 『현장검증 우리역사』(공저, 2010), 『조선의 멋진 신세계』(공저, 2017), 『서당, 전통과 근대의 갈림길에서』(2018) 등이 있다. 또한 최익한 전집 1 『실학파와 정다산』(2011), 최익한 전집 2 『조선 사회 정책사』(2013), 최익한 전집 3 『여유당전서를 독함』(2016), 최익한 전집 4 『조선명장전 1』(2019)을 엮었다.

송찬섭의 다른 상품

저항의 축제 해방의 불꽃, 시위

저항의 축제 해방의 불꽃, 시위

21,600 (10%)

'저항의 축제 해방의 불꽃, 시위' 상세페이지 이동

용선생의 시끌벅적 한국사 7

용선생의 시끌벅적 한국사 7

15,750 (10%)

'용선생의 시끌벅적 한국사 7' 상세페이지 이동

재판받는 쥐

재판받는 쥐

13,500 (10%)

'재판받는 쥐' 상세페이지 이동

조선명장전 2

조선명장전 2

19,800 (10%)

'조선명장전 2' 상세페이지 이동

조선은 이웃 나라와 어떻게 지냈나요?

조선은 이웃 나라와 어떻게 지냈나요?

11,700 (10%)

'조선은 이웃 나라와 어떻게 지냈나요?' 상세페이지 이동

근대로의 전환

근대로의 전환

13,500 (10%)

'근대로의 전환' 상세페이지 이동

서당, 전통과 근대의 갈림길에서

서당, 전통과 근대의 갈림길에서

22,500 (10%)

'서당, 전통과 근대의 갈림길에서' 상세페이지 이동

조선은 어떻게 세계 최대 기록 문화유산을 남겼나요?

조선은 어떻게 세계 최대 기록 문화유산을 남겼나요?

11,700 (10%)

'조선은 어떻게 세계 최대 기록 문화유산을 남겼나요?'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임기환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임기환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경희대학교 대학원 사학과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지금은 서울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에서 예비 교사들에게 한국사를 가르치고 있다. 지은 책으로 『고구려 정치사 연구』, 동료들과 함께 지은 『고구려 유적의 어제와 오늘』, 『현장 검증 우리 역사』, 다른 책으로 『우리 역사 속 왜』, 『동북아시아 선사 및 고대사 연구의 방향』, 『온달, 바보가 된 고구려 귀족』, 『부여사와 그 주변』, 『고구려 왕릉 연구』(이상 공저) 등이 있다. 요즘은 ‘박물관에서 우리 역사 배우기’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어린이들이 박물관을 탐방하며 체험하듯이 역사를 재미있게 공부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이 책을 썼다.

임기환의 다른 상품

벌거벗은 한국사 7

벌거벗은 한국사 7

12,600 (10%)

'벌거벗은 한국사 7' 상세페이지 이동

벌거벗은 한국사 6

벌거벗은 한국사 6

12,600 (10%)

'벌거벗은 한국사 6' 상세페이지 이동

신라는 정말 삼국을 통일했을까

신라는 정말 삼국을 통일했을까

20,900 (5%)

'신라는 정말 삼국을 통일했을까' 상세페이지 이동

용선생의 시끌벅적 한국사 2

용선생의 시끌벅적 한국사 2

14,850 (10%)

'용선생의 시끌벅적 한국사 2' 상세페이지 이동

고구려 초기 국가체제와 대외관계

고구려 초기 국가체제와 대외관계

26,600 (5%)

'고구려 초기 국가체제와 대외관계'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사 읽는 어린이 세트

한국사 읽는 어린이 세트

63,000 (10%)

'한국사 읽는 어린이 세트'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사 읽는 어린이 3 조선

한국사 읽는 어린이 3 조선

12,600 (10%)

'한국사 읽는 어린이 3 조선'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사 읽는 어린이 5 현대

한국사 읽는 어린이 5 현대

12,600 (10%)

'한국사 읽는 어린이 5 현대'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신춘호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신춘호
관심작가 알림신청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글로벌문화콘텐츠학과 박사 과정을 졸업하고 한중연행노정답사연구회 대표로 있다. 현재 방송대학TV 제작PD이다. 저서로 『조선통신사사행록연구총서』(공저), 『연행노정기』 등이 있다.

방송촬영(OUN)감독이자 문화콘텐츠학 박사. 현재 한중연행노정답사연구회 대표로 있다. 박광일 저자와 함께 임시정부 답사단에 참여해 세월의 무게를 고스란히 짊어진 역사적인 현장들을 생생히 촬영했다. ‘연행노정 기록사진’ 개인전 및 공공전시(실학박물관/천안박물관/심양총영사관)를 했고, 방송다큐멘터리 [의주대로]와 [열하일기](3편/촬영·공동연출)를 제작했다. 공저로는 『코리아타운과 축제』, 『코리아타운과 한국문화』, 『역사의 현장을 찾아서』, 『옛길이 들려주는 이야기』 등 다수가 있다.

신춘호의 다른 상품

제국에서 민국으로 가는 길

제국에서 민국으로 가는 길

16,200 (10%)

'제국에서 민국으로 가는 길' 상세페이지 이동

저 : 도진순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도진순
관심작가 알림신청
都珍淳
경북 청도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및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미국 하버드대학교, 중국 북경대학교, 일본 국제일본문화연구센터 초빙교수를 역임했다. 현재 창원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 『한국 민족주의와 남북 관계: 이승만·김구 시대의 정치사』로 ‘한국백상출판문화상 저작상’을 수상하였다. MBC 「느낌표」 선정도서 『백범일지』는 2005년 프랑크푸르트 국제도서전 ‘한국의 책 100’에 선정되어 독일어로 번역되었고, 원본을 탈초 교감한 『정본 백범일지』도 출간하였다.
한중일 삼국의 전쟁 기억과 기념을 평화의 초석으로 전환시키는 문제에 폭넓은 관심이 있으며, 안중근·이육사 등 근현대 인물의 내면세계도 깊이 천착하고 있다.

도진순의 다른 상품

백범의 길 : 임시정부의 중국 노정을 밟다 (상)

백범의 길 : 임시정부의 중국 노정을 밟다 (상)

22,500 (10%)

'백범의 길 : 임시정부의 중국 노정을 밟다 (상)' 상세페이지 이동

백범의 길 : 강원·충청·전라·경상 편

백범의 길 : 강원·충청·전라·경상 편

22,500 (10%)

'백범의 길 : 강원·충청·전라·경상 편' 상세페이지 이동

백범의 길 : 서울·경기·인천 편

백범의 길 : 서울·경기·인천 편

22,500 (10%)

'백범의 길 : 서울·경기·인천 편' 상세페이지 이동

강철로 된 무지개

강철로 된 무지개

20,900 (5%)

'강철로 된 무지개'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강정숙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강정숙
관심작가 알림신청
한국 근현대사를 전공하고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학연구소 연구원,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역사연구소 (객원)연구원으로 있다. 저서로는 『일본군‘위안부’, 알고 있나요?』, 『한국여성사?근대편』(공저), 『동아시아 일본군‘위안부’연구』(공저), 『덧칠된 기록에서 찾은 이름들』(공저) 등이 있다.

강정숙의 다른 상품

동아시아 일본군‘위안부’ 연구

동아시아 일본군‘위안부’ 연구

20,000

'동아시아 일본군‘위안부’ 연구'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윤상원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윤상원
관심작가 알림신청
고려대학교 대학원 한국사학과 박사 과정을 수료하고 지금은 전북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있다. 저서로 『대륙에 용맹을 떨친 명장 김홍일』, 『동아시아의 전쟁과 철도 - 한국철도의 정치사』, 『러시아지역 해외한인연구 1-5』(공저) 등이 있다.

윤상원의 다른 상품

식민지적 근대와 조선사회 2

식민지적 근대와 조선사회 2

32,000

'식민지적 근대와 조선사회 2' 상세페이지 이동

현대 고려인 인물연구 8

현대 고려인 인물연구 8

25,000

'현대 고려인 인물연구 8' 상세페이지 이동

방촌 황희의 리더쉽과 향사서원(享祀書院)

방촌 황희의 리더쉽과 향사서원(享祀書院)

22,500 (10%)

'방촌 황희의 리더쉽과 향사서원(享祀書院)' 상세페이지 이동

저 : 박종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박종진
관심작가 알림신청
1956년 4월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1980년 학사, 1983년 석사, 1993년 박사), 울산대학교 사학과와 숙명여자대학교 역사문화학과에서 근무하였고, 지금은 숙명여자대학교 명예교수이다. 한국역사연구회, 한국중세사연구회, 남북역사학자협의회에서 활동하였다. 그동안 고려사를 공부하여 개인 저서로 『고려시기 재정운영과 조세제도』(2000, 서울대학교출판부), 『고려시기 지방제도 연구』(2017,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박종진 선생님과 함께하는 두근두근 개성 답사』(2018, 청년사)를 펴냈고, 1996년부터 한국역사연구회 개경사연구반에 참여하여 『고려의 황도 개경』(2002, 창비), 『고려 500년 서울 개경의 생활사』(2007, 휴머니스트), 『역주 조선시대 개성유람기』(2021, 혜안)를 공동으로 출판하였다.

박종진의 다른 상품

개경 (큰글자책)

개경 (큰글자책)

35,000

'개경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개경

개경

21,600 (10%)

'개경' 상세페이지 이동

코리아라는 이름은 어떻게 세계에 알려졌나요?

코리아라는 이름은 어떻게 세계에 알려졌나요?

11,700 (10%)

'코리아라는 이름은 어떻게 세계에 알려졌나요?' 상세페이지 이동

고려는 어떻게 세계 최초로 금속활자를 만들었나요?

고려는 어떻게 세계 최초로 금속활자를 만들었나요?

11,700 (10%)

'고려는 어떻게 세계 최초로 금속활자를 만들었나요?'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조용섭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조용섭
관심작가 알림신청
순천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석사 과정 수료하고 현재는 협동조합 지리산권 마실 이사장. 지리산권 향토사연구자로 일하고 있다. 저서로는 『서울에서 제주까지 한번쯤은 이들처럼』(공저) 등이 있고 기고: ‘조용섭의 산으로’(서울신문), ‘전북의 이순신 장군 백의종군로’(전북일보), ‘조용섭의 지리산 이야기’(한국농어민신문) 등이 있다.

저 : 박필우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박필우
관심작가 알림신청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문화교양학과를 졸업하고 현재는 스토리텔링작가, 답사작가, 수필가이다. 저서로는 『나한전 문살에 넋을 놓다』, 『해인, 유배지에서 유배객을 만나다』, 『심행수묵(尋行數墨)』, 『영덕 블루로드』, 『동학: 경북의 정신문화』 등이 있다.

저 : 하일식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하일식
관심작가 알림신청
연세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고대사를 연구하여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연세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쓴 책으로는 『신라 집권 관료제 연구』, 『경주 역사 기행』, 『한국 고대사 산책』(공저), 『고려시대 사람들의 삶과 생각』(공저) 등이 있다.

하일식의 다른 상품

처음이야, 고조선 + 벌거벗은 세계사 1 세트

처음이야, 고조선 + 벌거벗은 세계사 1 세트

23,400 (10%)

'처음이야, 고조선 + 벌거벗은 세계사 1 세트 ' 상세페이지 이동

천개의바람 첫역사 그림책 세트

천개의바람 첫역사 그림책 세트

315,000 (10%)

'천개의바람 첫역사 그림책 세트' 상세페이지 이동

그날, 6월 25일

그날, 6월 25일

12,600 (10%)

'그날, 6월 25일' 상세페이지 이동

김구의 소원, 하나 된 조국

김구의 소원, 하나 된 조국

12,600 (10%)

'김구의 소원, 하나 된 조국' 상세페이지 이동

대한이의 대한 독립 만세!

대한이의 대한 독립 만세!

12,600 (10%)

'대한이의 대한 독립 만세!' 상세페이지 이동

할아버지 안경 사러 간다!

할아버지 안경 사러 간다!

12,600 (10%)

'할아버지 안경 사러 간다!' 상세페이지 이동

전봉준이 바라던 나라

전봉준이 바라던 나라

12,600 (10%)

'전봉준이 바라던 나라' 상세페이지 이동

척화비 아저씨, 안녕!

척화비 아저씨, 안녕!

12,600 (10%)

'척화비 아저씨, 안녕!'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