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10명)

이전

저 : 김형중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형중
관심작가 알림신청
1968년 광주에서 태어나 전남대학교 영문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 국문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0년 문학동네 신인상 평론 부문에 당선되어 문단에 나왔다. 비평집으로 『켄타우로스의 비평』 『변장한 유토피아』 『단 한 권의 책』 『살아 있는 시체들의 밤』 『후르비네크의 혀』 등이, 산문집으로 『평론가 K는 광주에서만 살았다』 『사라지는 것들에 기대다』(공저)가, 엮은 책으로 『한국 문학의 가능성』 『무한텍스트로서의 5·18』 등이 있다. 소천비평문학상, 팔봉비평문학상을 수상했다. 현재 조선대학교 국문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김형중의 다른 상품

시절과 형식

시절과 형식

24,700 (5%)

'시절과 형식' 상세페이지 이동

제복과 수갑

제복과 수갑

16,200 (10%)

'제복과 수갑' 상세페이지 이동

크레파스 (큰글자도서)

크레파스 (큰글자도서)

30,000

'크레파스 (큰글자도서)' 상세페이지 이동

크레파스

크레파스

12,600 (10%)

'크레파스' 상세페이지 이동

새벽 2시 파라다이스 카페

새벽 2시 파라다이스 카페

14,400 (10%)

'새벽 2시 파라다이스 카페' 상세페이지 이동

무서운 극장

무서운 극장

12,600 (10%)

'무서운 극장' 상세페이지 이동

사라지는 것들에 기대다

사라지는 것들에 기대다

14,250 (5%)

'사라지는 것들에 기대다' 상세페이지 이동

무한텍스트로서의 5·18

무한텍스트로서의 5·18

23,400 (10%)

'무한텍스트로서의 5·18' 상세페이지 이동

저 : 백원기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백원기
관심작가 알림신청
동국대학교 영어영문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동 대학 문화예술대학원(문화재전공)을 졸업하였다.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학과 교수 및 중앙도서관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석좌교수 겸 평생교육원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 『숲 명상시 이해와 마음치유』, 『불교설화와 마음치유』, 『선시의 이해와 마음치유』, 『명상은 언어를 내려놓는 일이다』, 『하디의 삶과 문학』, 『하디 시의 이해』 등이, 역서로 『직관』, 『아시아의 등불』, 『시골집에 새가 있는 풍경』, 『라이오니스로 떠나는 날에』 등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 「허응당 보우의 사상과 시적 표현」, 「현대불교문학의 지향점」, 「만해의 독립사상과 그 시적 형상화」, 「추사의 세한도에 나타난 불교적 미학의 세계」, 「초의선사의 선다시와 마음치유의 시학」, 「하디와 오세영의 불교적 상상력과 생태인식」 외 다수가 있다.

백원기의 다른 상품

자연 관조와 명상, 시가 되다

자연 관조와 명상, 시가 되다

17,100 (5%)

'자연 관조와 명상, 시가 되다' 상세페이지 이동

저 : 홍용희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홍용희
관심작가 알림신청
1966년 경북 안동 출생. 경희대 국문과 및 동대학원 졸업. 1995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사랑을 향한 열림의 언어-정현종 론」으로 평론 등단했다. 2018년 『시작』 가을호에 시를 발표하며 창작 활동을 하고 있다. 저서로 『김지하 문학연구』, 『한국문화와 예술적 상상력』, 『꽃과 어둠의 산조』, 『아름다운 결핍의 신화』, 『대지의 문법과 시적 상상』, 『통일시대와 북한문학』, 『현대시의 정신과 감각』 ,『고요한 중심을 찾아서』 등과, 편저로 『그날이 오늘이라면』, 『한국문화와 예술적 상상력』, 『김영랑 시선』, 『박영희 단편집』, 『장용학 소설선』, 『이육사 시선』, 『원형의 전설』 등이 있다. 젊은평론가상, 편운문학상, 시와시학상, 애지문학상, 김달진문학상, 유심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시 전문 계간지 『시작』 주간과 문화예술종합지 『쿨투라』 기획위원을 맡고 있으며,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디어문예창작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홍용희의 다른 상품

김지하 마지막 대담

김지하 마지막 대담

14,400 (10%)

'김지하 마지막 대담' 상세페이지 이동

나태주 깊이 읽기

나태주 깊이 읽기

29,000

'나태주 깊이 읽기' 상세페이지 이동

예전엔 미처 몰랐어요

예전엔 미처 몰랐어요

12,600 (10%)

'예전엔 미처 몰랐어요' 상세페이지 이동

고요한 중심을 찾아서

고요한 중심을 찾아서

27,000 (10%)

'고요한 중심을 찾아서' 상세페이지 이동

김지하 평론선집 (큰글씨책)

김지하 평론선집 (큰글씨책)

28,000

'김지하 평론선집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김지하 평론선집

김지하 평론선집

19,000 (5%)

'김지하 평론선집' 상세페이지 이동

저 : 홍성란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홍성란
관심작가 알림신청
충남 부여 출생. 성균관대학교 문학박사. 1989년 중앙시조백일장 장원(경복궁 근정전)으로 등단했다. 시조집 『춤』 『애인 있어요』 『소풍』 『바람의 머리카락』 등을 펴냈으며 제1회 유심작품상, 제24회 중앙시조대상, 제40회 대한민국문화예술상(문학부문) 등을 수상했다. 현재 유심시조아카데미 원장이다.

홍성란 의 다른 상품

매혹

매혹

9,000 (10%)

'매혹'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이경철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경철
관심작가 알림신청
동국대 국문과와 대학원(문학박사)을 졸업했다. 중앙일보 문화부 기자와 문화부장, 문화전문기자, 문예중앙, 랜덤하우스, 솔출판사 주간으로 일하며 다수의 현장비평적인 평론을 발표하였다. 2010년 [시와시학]에 김남조 시인 추천으로 시인으로 등단하였으며 동국대, 경기대, 서울예대, 서울디지털대 겸임교수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천상병, 박용래 시 연구』, 『21세기 시조 창작과 비평의 현장』, 『미당 서정주 평전』과 시집 『그리움 베리에이션』, 공저 『대중문학과 대중문화』, 『천상병을 말하다』와 편저 한국 현대시 100주년 기념 명시·명화 100선 시화선집 『꽃 필 차례가 그대 앞에 있다』, 『시가 있는 아침』 등이 있으며, 현대불교문학상, 질마재문학상, 인산시조비평상, 동국문학상, 유심작품상 등을 수상했다.

이경철의 다른 상품

나는 치우천황이다

나는 치우천황이다

13,320 (10%)

'나는 치우천황이다' 상세페이지 이동

허무의 꽃

허무의 꽃

16,200 (10%)

'허무의 꽃' 상세페이지 이동

그리움의 햇살 언어 1,2권 + my painting 세트

그리움의 햇살 언어 1,2권 + my painting 세트

63,000 (10%)

'그리움의 햇살 언어 1,2권 + my painting 세트 ' 상세페이지 이동

그리움의 햇살 언어 세트

그리움의 햇살 언어 세트

39,600 (10%)

'그리움의 햇살 언어 세트 ' 상세페이지 이동

그리움의 햇살 언어 2

그리움의 햇살 언어 2

19,800 (10%)

'그리움의 햇살 언어 2 ' 상세페이지 이동

그리움의 햇살 언어 1

그리움의 햇살 언어 1

19,800 (10%)

'그리움의 햇살 언어 1' 상세페이지 이동

시인 박찬 평전

시인 박찬 평전

18,050 (5%)

'시인 박찬 평전' 상세페이지 이동

2019 유심작품상 수상문집

2019 유심작품상 수상문집

10,800 (10%)

'2019 유심작품상 수상문집'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오세영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오세영
관심작가 알림신청
인간 존재의 실존적 고뇌를 서정적·철학적으로 노래하는 중견시인이자 교육자다. 1942년 전라남도 영광(靈光)에서 태어났으며, 본관은 해주(海州)이다. 1968년 서울대학 대학원 국어국문학에 진학해 석사학위 및 문학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이후, 충남대학교(1974~1981)와 단국대학교(1981~1985)에서 국문학을 강의하기 시작하여 1985년부터 서울대학교에서 현대문학(현대시)을 강의했으며, 캘리포니아 주립대학 버클리캠퍼스(1995~1996)에서 한국현대문학을 강의했다.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문학과 교수(1985~2007), 한국시인협회 회장 등을 역임하고 있다.

1968년 박목월(朴木月)에 의해서 시 「잠깨는 추상」이 <현대문학>에 추천되어 시인으로 등단하였다. 첫시집 『반란하는 빛』 출간 후 언어의 예술성에 철학을 접목시키는 방법론적 문제로 고민하던 시인은 동양사상, 특히 불교에 관심을 기울이게 된다. 이후 불교적 상상력을 기반으로 사물의 인식을 통해 존재론적 의미를 파악하는 데 주력함으로써, 현대문명 속에서 아픔을 느끼는 인간정서를 서정적으로 형상화하는 시적 변모를 모색한다. 그리고 2005년 열세 번째 시집 『시간의 쪽배』를 펴낸 시인은 절제와 균형이 미덕인 동양적 중용의 의미를 형상화함으로써, 형이상학적이면서도 삶의 체취가 느껴지는 개성적인 작품세계를 구축하고 있다. 이외에도 최근 시집 『별 밭의 파도소리』,『바람의 아들들』을 출간했다.

소월시문학상, 정지용문학상, 만해대상(문학 부문), 시인협회상, 김삿갓문학상, 공초문학상, 녹원문학상, 편운문학상, 불교문학상, 고산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오세영의 다른 상품

77편, 사랑의 시

77편, 사랑의 시

10,000

'77편, 사랑의 시' 상세페이지 이동

곡선은 직선보다 아름답다

곡선은 직선보다 아름답다

20,900 (5%)

'곡선은 직선보다 아름답다' 상세페이지 이동

해남 땅끝에 가고 싶다

해남 땅끝에 가고 싶다

14,400 (10%)

'해남 땅끝에 가고 싶다' 상세페이지 이동

중심의 아픔

중심의 아픔

18,050 (5%)

'중심의 아픔' 상세페이지 이동

황금 모피를 찾아서

황금 모피를 찾아서

12,150 (10%)

'황금 모피를 찾아서' 상세페이지 이동

진실과 사실 사이

진실과 사실 사이

23,750 (5%)

'진실과 사실 사이' 상세페이지 이동

조지훈 연구 2

조지훈 연구 2

38,000

'조지훈 연구 2' 상세페이지 이동

시 쓰기의 발견

시 쓰기의 발견

22,500 (10%)

'시 쓰기의 발견' 상세페이지 이동

저 : 방민호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방민호
관심작가 알림신청
1965년 충남 예산에서 태어났으며,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및 동대학원 박사과정을 졸업했다. 1994년 『창작과 비평』 제 1회 신인 평론상을 수상하면서 비평 활동을 시작했다. 문학 평론집으로 『문학사의 비평적 탐구』(2018), 『감각과 언어의 크레바스』(2007), 『행인의 독법』(2005), 『문명의 감각』(2003), 『납함 아래의 침묵』(2001), 『비평의 도그마를 넘어』(2000)가 있다.

2001년 『현대시』로 시창작 활동을 시작했고 시집으로 『숨은 벽』(2018), 『내 고통은 바닷속 한방울의 공기도 되지 못했네』(2015), 『나는 당신이 하고 싶은 말을 하고』(2010)가 있다. 2012년 『문학의 오늘』에 「짜장면이 맞다」를 발표하면서 소설창작 활동을 시작했다. 장편소설로 『대전스토리, 겨울』(2017), 『연인 심청』(2015)이 있으며 창작집으로 『무라카미 하루키에게 답함』(2015)이 있다.산문집으로 『서울문학기행』(2017), 『명주』(2002)가 있다.

한국문학 연구서 『이상 문학의 방법론적 독해』 『일제말기 한국문학의 담론과 텍스트』 『한국 전후문학과 세대』 『채만식과 조선적 근대문학의 구상』, 산문집 『서울문학기행』 『명주』 등 다수를 펴냈다. 현재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방민호의 다른 상품

구보의 구보

구보의 구보

63,000 (10%)

'구보의 구보' 상세페이지 이동

일제강점기 한국 영문학과 수필문학의 개척자

일제강점기 한국 영문학과 수필문학의 개척자

16,200 (10%)

'일제강점기 한국 영문학과 수필문학의 개척자' 상세페이지 이동

이광수 문학의 심층적 독해

이광수 문학의 심층적 독해

27,000 (10%)

'이광수 문학의 심층적 독해' 상세페이지 이동

한흑구의 삶과 문학

한흑구의 삶과 문학

16,200 (10%)

'한흑구의 삶과 문학'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문학과 일본문학의 ‘전후’

한국문학과 일본문학의 ‘전후’

30,000

'한국문학과 일본문학의 ‘전후’' 상세페이지 이동

계속 쓰는 겁니다 계속 사는 겁니다

계속 쓰는 겁니다 계속 사는 겁니다

11,700 (10%)

'계속 쓰는 겁니다 계속 사는 겁니다'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 비평에 다시 묻는다

한국 비평에 다시 묻는다

18,000 (10%)

'한국 비평에 다시 묻는다' 상세페이지 이동

경원선 따라 산문 여행

경원선 따라 산문 여행

22,500 (10%)

'경원선 따라 산문 여행'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