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24명)

이전

저 : 송호근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송호근
관심작가 알림신청
SONG,HO-KEUN,宋虎根
포스텍 석좌교수. 한국의 대표적인 사회학자. 정치와 경제를 포함, 사회 현상과 사회 정책에 관한 정교한 분석으로 널리 알려진 학자이자 칼럼니스트로, 2020년까지 〈중앙일보〉에 기명칼럼을 만 17년 동안 썼다. 1956년 경북 영주 출생으로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과정을 마쳤다. 역서 『철학과 예술사회학』(1983), 학위 논문을 발전시킨 『칼 만하임의 지식사회학 연구』(1983)를 출간한 후, 1984년 미국 하버드 대학교에서 수학했으며 1989년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귀국 후 한림대학교에서 조교수와 부교수로 재임했고, 1994년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에 조교수로 임용되어 학과장과 사회발전연구소 소장, 1998년 스탠퍼드 대학교 방문교수, 2005년 캘리포니아 대학교(샌디에이고) 초빙교수를 역임했다. 1998년 이후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석좌교수를 지냈고 2018년부터 포스텍 인문사회학부 석좌교수로 재직 중이며 중앙일보 칼럼니스트로 활동하고 있다.

1990년대에 민주화와 노동 문제를 분석한 『한국의 노동 정치와 시장』(1991), 『열린 시장, 닫힌 정치』(1994), 『시장과 복지 정치』(1997), 『한국의 노동 복지』(1996) 등을 펴냈으며, 이후 IMF 초기 외환 위기를 맞은 사회학자의 비통한 심정을 담은 『또 하나의 기적을 향한 짧은 시련』(1998), 한국의 의료 분쟁과 제도적 모순을 분석한 『의사들도 할 말 있었다』(2001)를 출간했고, 노무현 정부의 등장 배경과 통치 양식을 분석한 『한국,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나』(2003)와 『한국, 어떤 미래를 선택할 것인가』(2006)를 썼다. 한국의 복지 체계를 비교 분석한 『세계화와 복지 국가』(2001)를 편집했고, 복지 정책의 구조적 특성과 결정 요인을 조명한 『복지 국가의 태동: 세계화, 민주화, 그리고 한국의 복지 정치』(2006)를 출간했다. 20세기 한국인의 기원을 밝힌 탄생 3부작 『인민의 탄생』(2011), 『시민의 탄생』(2013), 『국민의 탄생』(2020)을 펴냈다. 그 외 주요 저서로 『나타샤와 자작나무』(2005), 『다시 광장에서』(2006), 『독 안에서 별을 헤다』(2009), 『이분법의 사회를 넘어서』(2012), 『그들은 소리 내 울지 않는다』(2013), 『가 보지 않은 길』(2017), 『혁신의 용광로』(2018) 등과 소설 『강화도』(2017), 『다시, 빛 속으로』(2018) 등이 있다.

송호근의 다른 상품

한국의 의료체제

한국의 의료체제

7,000

'한국의 의료체제' 상세페이지 이동

국민의 탄생

국민의 탄생

19,600

'국민의 탄생' 상세페이지 이동

나는 시민인가

나는 시민인가

11,300

'나는 시민인가' 상세페이지 이동

이분법 사회를 넘어서

이분법 사회를 넘어서

9,000

'이분법 사회를 넘어서' 상세페이지 이동

인문학 콘서트 3

인문학 콘서트 3

12,000

'인문학 콘서트 3'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가재산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가재산
관심작가 알림신청
삼성물산과 회장 비서실 등 계열사에서 25년간 근무 후 인사제도, 인재육성 관련한 강의와 컨설팅으로 제2의 삶을 ‘하고 싶은 일’을 즐기며 살아왔다. 앞으로는 흥미로운 일을 재미있게 하되, 그 일이 의미(意味)가 있어야 하는, 즉 제3막 인생은 삼미(三味) 인생으로 살아가기 위해 이 책을 썼다.

현재 ‘한류경영연구원’ 원장으로 활동하면서, ‘청소년 빛과 나눔 장학협회’를 통해 나눔을 실천하고 있다. 특히 시니어들에게 기획부터 출간까지 원스톱으로 도와주는 ‘디지털책쓰기코칭협회’ 회장을 맡아 스마트폰과 챗GPT를 활용하는 디지털 방식의 책과 글쓰기 확산에 노력하고 있다. 《한국산문》으로 등단하여 수필가로 활약하며 ‘한국디지털문인협회’ 부회장을 맡고 있으면서 책쓰기에도 열중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한국형 팀제』, 『10년 후 무엇을 먹고 살 것인가』, 『삼성이 강한 진짜 이유』, 『아름다운 뒤태』, 공저로는 『경영 한류』, 『직원이 행복한 회사』, 『세상에 핸드폰으로 책을 쓰다니!』, 『왜 지금 한국인가』 등 35권이 있다.

가재산의 다른 상품

저 : 조윤정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조윤정
관심작가 알림신청
한국과학기술원 인문사회과학부 초빙교수이다. 서울대학교 국문학 박사. 2014년에 문화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한 후에 문학평론가로 활동하고 있다. 『백년 전 수학여행』(2018)을 집필했고, 『카이스트 글쓰기 강의』(2017), 『문종의 기원』 (2019) 등을 공저했다.

저 : 김기흥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기흥
관심작가 알림신청
포항공과대학교 인문사회학부 교수. 영국 에딘버러대학교에서 과학기술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런던대학교와 임페리얼 컬리지에서 연구를 했다. Social Construction of Disease』, 『광우병 논쟁』, 『호모 메모리스』(공저)를 썼다. 〈중앙일보〉 과학분야 고정칼럼을 연재한다. 학술지 「과학기술학연구」, 「EASTS East Asian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과학사학회지」의 편집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저 : 노승욱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노승욱
관심작가 알림신청
한림대 도헌학술원 교수, 한국디지털문인협회 이사. 전 포스텍 인문사회학부 교수, 전 〈경북매일신문〉 칼럼니스트. 서울대학교 국문학 박사. 『황순원 문학의 수사학과 서사학』(2010), 『토의와 토론: 개념에서 전략까지』(2019), 『문화콘텐츠로 묻고 스토리텔링으로 답하다―서울 촌놈의 경상북도 인문학 답사기』(근간) 등의 저서를 집필했고, 『초판본 윤동주 시선』(2012), 『초판본 박목월 시선』(2013) 등을 편저했다.

저 : 백지혜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백지혜
관심작가 알림신청
포스텍 인문사회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국문학 박사. 『스위트 홈의 기원』(2005), 『서평―책읽기와 생각쓰기』(2019), 『문학과 의학의 접경지대: 한국문학에 나타난 ‘의학’ 개념의 변천과 적용』(근간) 등을 집필했고, 『메밀꽃 필 무렵』(2011)을 편저했으며, 『세시풍속의 문학적 표상과 그 변용: 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까지』(2015), 『한국문학과 실향, 귀향, 탈향의 서사』( 2016) 등을 공저했다.

저 : 정은주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정은주
관심작가 알림신청
아들이 하나 있는 평범한 엄마이며, 25년 차 메이크업아티스트이다. 현재 메이크업 숍을 운영하고 있으며 mbc방송국의 아나운서 메이크업을 전담하고 있다. 소도시에서는 나름대로 인정받고 있고 단골이 꽤 있는 아티스트이다. 오랜 시간 동안, k장녀라는 타이틀은 나의 꿈을 저버리기에 충분했다. 내가 가지면 안 되는 것들이 많았고, 열심히 살아왔지만 마음 한구석 채우지 못한 것에 대한 나의 외로움은 글쓰기를 통해 치유되고 있었다. 글쓰기는 꾸준히 오랫동안 해왔지만, 나의 책에 대한 목마름은 어느 순간 간절함으로 다가왔다.
공저로 『코로나 시대, 글로 마음을 잇다』에 에세이 한 편과 시 한 편을 참여한 이후로 그 마음이 더해졌다.
사람이 살아가는데 매일 특별할 수는 없지만, 그 평범함의 연속이 특별하다고 생각한다.

정은주의 다른 상품

꽃이 꽃을 보며 속삭였다

꽃이 꽃을 보며 속삭였다

8,000

'꽃이 꽃을 보며 속삭였다'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