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3명)

이전

저 : 김영순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영순
관심작가 알림신청
金永洵
1965년 강원도 양구에서 출생하였고, 춘천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했다. 이후 중앙대학교에서 학부와 석사과정을 거쳐 베를린공대 대학원에서 전문석사를, 베를린자유대학교에서 문화학, 교육학, 언어학 등을 수학하고 문화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귀국 이후 조선대 연구교수,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연구교수 등을 거쳐 인하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동대학원 다문화학과에서 다문화 이론 및 다문화교육에 관한 연구와 강의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인하대학교 아시아다문화융합연구소 소장으로 재직하면서 전국 대학원생 질적연구방법론 캠프 촌장을 맡고 있으며, 시민 대상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우리 사회에 문화다양성 확장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아울러 BK21 글로컬다문화교육연구단 단장, 탈북다문화멘토링 사업단장, 한국연구재단의 이주민 생활세계 관련 토대 연구의 연구책임자 등을 수행 중이다.

지은 책으로는 『다문화사회와 공존의 인문학』, 『다문화교육용어사전』, 『다문화교육연구의 이론과 적용』, 『다문화교육연구의 경향과 쟁점』, 『처음 만나는 다문화교육』, 『질적연구의 즐거움』 등이 있으며, 번역서로는 『민주주의와 다문화교육』, 『교사를 위한 다문화교육』, 『언어, 문화 그리고 비판적 다문화교육』, 『상호문화교육의 이해』 등이 있다. 연구 논문은 한국연구재단 등재지 이상 학술지에 200여편을 발표하였다.

김영순의 다른 상품

정체성의 흔적

정체성의 흔적

23,000

'정체성의 흔적' 상세페이지 이동

타자의 경험: 결혼이주여성의 생활세계담

타자의 경험: 결혼이주여성의 생활세계담

22,800 (5%)

'타자의 경험: 결혼이주여성의 생활세계담' 상세페이지 이동

이야기의 사회과학 : 생애사와 내러티브 연구

이야기의 사회과학 : 생애사와 내러티브 연구

22,800 (5%)

'이야기의 사회과학 : 생애사와 내러티브 연구' 상세페이지 이동

유목적 주체

유목적 주체

25,000

'유목적 주체' 상세페이지 이동

관계의 서사

관계의 서사

25,000

'관계의 서사' 상세페이지 이동

이주여성 문화적응 생애담 스토리텔링

이주여성 문화적응 생애담 스토리텔링

25,000

'이주여성 문화적응 생애담 스토리텔링' 상세페이지 이동

그리움의 기억법

그리움의 기억법

10,000

'그리움의 기억법'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갈라노바 딜노자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갈라노바 딜노자
관심작가 알림신청
우즈베키스탄 국립대학교 우즈벡어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교 대학원에서 우즈벡어문학과 언어학 전공 석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인하대학교 대학원 다문화교육학과에서 BK21 박사과정 연구원으로 근무했고, 재한 우즈베키스탄 유학생들의 상호문화소통 역량에 관한 연구로 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호남대학교 국제교육원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논문은 「재한 우즈베키스탄 유학생이 경험한 상호문화소통의 공간별 의미 탐색」, 「우즈베키스탄 청소년들이 한국드라마를 통해 인식한 한국의 이미지와 재현」,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결혼이주여성의 자녀 이중언어교육 방식에 대한 사례연구」 등이 있다.

갈라노바 딜노자의 다른 상품

카자흐스탄 고려인 생애사 스토리텔링 연구

카자흐스탄 고려인 생애사 스토리텔링 연구

20,000

'카자흐스탄 고려인 생애사 스토리텔링 연구'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아지조바 피루자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아지조바 피루자
관심작가 알림신청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국립 동방대학교 문헌학과 한국어문학 전공에서 학사와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인하대학교 대학원 다문화교육학과에서 BK21 박사과정 연구원으로 근무했고, 중앙아시아 출신 고려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에 관한 연구로 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인하대학교 다문화융합연구소 외래연구원 및 경기꿈의대학 강사직을 수행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우즈베키스탄 거주 한국인 교원들의 문화적응에 관한 연구」, 「우즈베키스탄 유학생의 대학생활에서의 의사소통 경험에 관한 연구」, 「재한 우즈베키스탄 유학생들의 한국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