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13명)

이전

저 : 이대근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대근
관심작가 알림신청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대학에서 정치학 석사 및 박사학위를 수여받았다. 경향신문에서 꼬박 24년을 기자로 살았다. 지금은 정치·국제 에디터(부국장)를 맡고 있는 그는 격주로 '이대근 칼럼'을 쓰고 있다.
그의 글은 한국 정치의 여러 부분을 포괄한다. 대통령의 통치행위에 대한 매서운 비판은 잘 알려져 있다. 정당과 정치 엘리트들의 선택이 어떻게 시민들의 기대와 엇갈렸는지에 대한 분석도 날카롭다. 한미 관계, 한일 관계 등 외교정책, 그의 전공인 북한과 남북 관계에 대한 글은 그만의 색깔을 갖고 있다. 그러나 여기에 그친다면 그의 글을 챙겨 읽고자 하는 열의를 계속 갖기는 어려울 것이다. 그의 글이 깊은 인상을 남기는 이유는 인간과 정치에 대해 그가 갖는 자세에서 비롯되는 바 크다.
지은 책으로 『북한 군부는 왜 쿠데타를 하지 않나』, 『와이키키 브라더스를 위하여』 『리얼 진보』(공저)등이 있다.

저 : 서보혁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서보혁
관심작가 알림신청
북한 인권 문제를 제기하고 개선을 주장하는 국제사회와 남한의 노력이 과연 실효를 거두고 있는지에 대한 냉정한 평가와 점검이 필요한 때이다. 새로운 대안과 정책 수립을 위해 이 책은 ‘북한 인권 정책의 과잉’과 ‘북한 인권 개선의 빈곤’ 사이의 간극을 면밀히 살핀다.

저자는 보다 중요한 것은 북한 인권이 얼마나 심각한지를 알리는 것보다 어떻게 해야 북한 인권을 실제로 개선할 수 있느냐는 고민이라고 강조한다. 이를 위해 이 책은 북한 인권의 실태나 원인 분석이 아닌 실효적 개선과 대안 제시라는 관점에서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요청하고 있다.

기존의 북한 인권 정책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실질적인 북한 인권 개선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저자는 ‘코리아 인권’이라는 개념을 내세운다. 코리아 인권은 북한 인권이 한반도 차원의 인권으로 신장되기 위한 새로운 담론이다.

코리아 인권은 평화 공존과 국제 협력을 기반으로 극단적인 두 인권관의 화해를 이끌어내 국제 인권 레짐의 보편성을 실현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남한 사회의 적극적인 역할을 요청하며 남북관계 발전과 북한 인권 개선이 선택의 문제가 아닌 동시에 추구해야 할 역사적 과제임을 역설한다.

통일연구원 연구위원이다.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에서 북한과 미국의 관계 연구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가인권위원회 전문위원, 이화여대와 서울대에서 연구교수로 근무하였고, 현재 통일연구원 연구위원이며, 북한연구학회 편집위원장을 맡고 있다. 근래 저서로 『한국 평화학의 탐구』(2019), 『분쟁의 평화적 전환과 한반도』(2020, 공편), 『평화의 인권·발전 효과와 한반도』(2021, 공저), 『평화개념 연구』(2022, 공편) 등이 있다.

서보혁의 다른 상품

통일과 평화, 그리고 북한

통일과 평화, 그리고 북한

20,000

'통일과 평화, 그리고 북한' 상세페이지 이동

평화학 개론

평화학 개론

14,000

'평화학 개론' 상세페이지 이동

통일과 평화, 그리고 북한 (제4판)

통일과 평화, 그리고 북한 (제4판)

13,300

'통일과 평화, 그리고 북한 (제4판)'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 평화학의 탐구

한국 평화학의 탐구

19,600

'한국 평화학의 탐구' 상세페이지 이동

(12개 주제로 생각하는) 통일과 평화 그리고 북한 (3판)

(12개 주제로 생각하는) 통일과 평화 그리고 북한 (3판)

13,300

'(12개 주제로 생각하는) 통일과 평화 그리고 북한 (3판)' 상세페이지 이동

북한 정체성의 두 얼굴

북한 정체성의 두 얼굴

7,200

'북한 정체성의 두 얼굴' 상세페이지 이동

분쟁의 평화적 전환과 한반도

분쟁의 평화적 전환과 한반도

13,300

'분쟁의 평화적 전환과 한반도'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이승열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승열
관심작가 알림신청
<국회입법조사처> 외교안보팀 북한담당 입법조사관. 북한 인권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 북한공부를 시작했고, 북한 인권문제의 핵심이 북한 체제의 모순에서 비롯되었다는 점을 살펴보고자 북한대학원대학교에 입학 박사과정을 시작하였다.
북한 후계체제를 주제로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스웨덴 ISDP(안보개발정책연구소)와 이화여대 통일학연구원에서 연구위원으로 활동하였다. 주요 저서는 “Political Transition in North Korea in the Kim Jong-un Era: Elites’ Policy Choices” Asian Perspective vol.4, no.3 (2017); “Changes in North Korea’s Military and Security Politics and Implications of the Kim Jong Un Era”, Journal of Peace and Unification vol 7, no.1(2017) 외 다수가 있다.

저 : 문인철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문인철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연구원 부연구위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성균관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성균관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와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에서 선임연구원을 역임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남북관계와 지자체 남북교류협력, 장기갈등과 갈등전환, 평화와 통일, 도시평화와 도시안보 등이다. 근래 저작으로는 『하계올림픽 서울-평양 공동 개최 방안』(공저), 『감염병 시대, 도시 변화의 방향을 묻다』(공저), 『통일과 평화 그리고 북한』(공저), 『북핵위기와 북미 간 전략환경 인식: 전망이론을 통한 분석과 한국의 대응방향』(공저), 『맛있게 읽는 북한이야기』(공저), 『통일교육』(공저), 『김정은시대 조선로동당: 제7차 당 대회와 북한 정치·경제』(공저), 『한반도 평화의 국제정치학』(공저) 등이 있다.

문인철의 다른 상품

통일과 평화, 그리고 북한

통일과 평화, 그리고 북한

20,000

'통일과 평화, 그리고 북한' 상세페이지 이동

통일과 평화, 그리고 북한 (제4판)

통일과 평화, 그리고 북한 (제4판)

13,300

'통일과 평화, 그리고 북한 (제4판)' 상세페이지 이동

(12개 주제로 생각하는) 통일과 평화 그리고 북한 (3판)

(12개 주제로 생각하는) 통일과 평화 그리고 북한 (3판)

13,300

'(12개 주제로 생각하는) 통일과 평화 그리고 북한 (3판)'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임상순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임상순
관심작가 알림신청
경상북도 안동 출생 / 정치학 박사(동국대) / 현재 평택대학교 통일학피어선교양전공 주임교수
대표 논저: 『국제정치에서 전쟁과 변화』(역서), 『인권의 정치학』(역서), 『김정은 시대 조선로동당』(공저), “유 엔 안보리 대북제재와 김정은 정권의 대응전략”(논문), “The Engagement of United Nations human rights regime and the response of North Korea”(논문)

임상순의 다른 상품

통일과 평화, 그리고 북한

통일과 평화, 그리고 북한

20,000

'통일과 평화, 그리고 북한' 상세페이지 이동

남북한의 삶, 만남, 평화 이야기

남북한의 삶, 만남, 평화 이야기

14,000

'남북한의 삶, 만남, 평화 이야기' 상세페이지 이동

통일과 평화, 그리고 북한 (제4판)

통일과 평화, 그리고 북한 (제4판)

13,300

'통일과 평화, 그리고 북한 (제4판)' 상세페이지 이동

12개 주제로 생각하는 기독교와 통일 그리고 북한

12개 주제로 생각하는 기독교와 통일 그리고 북한

11,900

'12개 주제로 생각하는 기독교와 통일 그리고 북한' 상세페이지 이동

(12개 주제로 생각하는) 통일과 평화 그리고 북한 (3판)

(12개 주제로 생각하는) 통일과 평화 그리고 북한 (3판)

13,300

'(12개 주제로 생각하는) 통일과 평화 그리고 북한 (3판)'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최규빈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최규빈
관심작가 알림신청
리즈대학교(University of Leeds)에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 통일연구원 부연구위원으로 있다. 주요 저작으로는 『통일 연구자의 눈에 비친 사회주의 베트남의 역사와 정치』(공저), 「유엔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에 대한 북한의 인식과 대응」, 『북한연구학회보』 24(1), “North Korean Refugees in South Korea: Change and Challenge in Settlement Support Policy,”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Studies 16(1)등이 있다.

최규빈의 다른 상품

12개 주제로 생각하는 기독교와 통일 그리고 북한

12개 주제로 생각하는 기독교와 통일 그리고 북한

11,900

'12개 주제로 생각하는 기독교와 통일 그리고 북한'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이중구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중구
관심작가 알림신청
한국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 선임연구원이다. 서울대 대학원에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북한의 핵전략, 한국의 대북정책 등을 연구하고 있다. 국회 외통위 정책보좌관, 중국인민대 방문학자 등을 역임했다. 주요 관심 분야는 북한의 핵정책과 한국의 대북정책, 북중 관계, 강대국의 전략무기 경쟁 등이다. 북핵문제를 외교적 차원과 군사적 차원에서 포괄적으로 연구하며, 주로 북한의 대외관계 및 한국의 대북정책을 연구한다. 근래 저작으로 “북한 핵증강론의 담론적 기원과 당론화 과정”, “KEDO의 해체와 북한 핵에너지 정책의 방향전환”, 『북한과 국제정치』(공저), 『4차 산업혁명과 신흥 군사안보』(공저) 등이 있다.

저 : 엄현숙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엄현숙
관심작가 알림신청
북한대학원대학교 심연북한연구소 연구교수이며, 국민대학교 교양대학,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신한대학교 일반대학원 외래교수이다. 북한대학원대학교에서 “북한의 교육방법 연구: 1960-2015”로 북한학 박사학위(2016)를 받았다. 북한 사회/문화/교육, 통일교육 및 남북한 사회통합 등을 주요 연구주제로 삼고 있다. 공저로는 『북한주민 통일의식 2018』(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2019), 『12개 주제로 생각하는 통일과 평화 그리고 북한』(박영사, 2019), 『맛있게 읽는 북한이야기』(박영사, 2019), 『북한주민 통일의식 2019』(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2020), 『북한의 민속』(민속원, 2020) 등이 있다.

엄현숙의 다른 상품

통일과 평화, 그리고 북한

통일과 평화, 그리고 북한

20,000

'통일과 평화, 그리고 북한' 상세페이지 이동

통일과 평화, 그리고 북한 (제4판)

통일과 평화, 그리고 북한 (제4판)

13,300

'통일과 평화, 그리고 북한 (제4판)' 상세페이지 이동

(12개 주제로 생각하는) 통일과 평화 그리고 북한 (3판)

(12개 주제로 생각하는) 통일과 평화 그리고 북한 (3판)

13,300

'(12개 주제로 생각하는) 통일과 평화 그리고 북한 (3판)' 상세페이지 이동

저 : 황수환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황수환
관심작가 알림신청
통일연구원 부연구위원이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정치외교학과 대학원에서 평화협정 연구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일민국제관계연구원 연구교수, 강원대학교 통일강원연구원 선임연구원, 경남연구원 남북교류협력연구센터 팀장을 역임하였다. 현재 통일연구원 부연구위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 『분쟁의 평화적 전환과 한반도』(2020, 공저), 『평화공감대 확산 추진전략과 정책과제』(2020, 공저), 『12개 렌즈로 보는 남북관계』(2021, 공저) 등이 있다.

황수환의 다른 상품

평화학 개론

평화학 개론

14,000

'평화학 개론' 상세페이지 이동

분쟁의 평화적 전환과 한반도

분쟁의 평화적 전환과 한반도

13,300

'분쟁의 평화적 전환과 한반도'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전수미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전수미
관심작가 알림신청
전수미 변호사는 1982년 전북 군산에서 태어났다. 상경하여 대학에 입학했지만 가장 친했던 친구가 성폭력으로 세상을 떠나자 국제인권 NGO 활동을 하며 인신매매 당하는 아이들을 구출했다. 한 외국인 자원봉사자의 “너희는 왜 가까이 있는 북한 사람들에겐 관심이 없어?”라는 말에 충격을 받고 북한인권을 위해 일하기 시작했다. 이후 변호사가 되어 북향여성들을 위한 공익변호사 단체인 굿로이어스 공익제보센터를 운영 중이다. 남남갈등을 해소하고 북한인권 문제를 한반도 평화의 관점에서 해결하기 위해 사단법인 화해평화연대를 설립해 평양시민 사진전, 한반도통일국기전, 통일교육 등을 진행하고 있다. 대학에서 국제인권법과 통일 분야도 가르치고 있다. 미국 하원 톰 랜토스 인권위원회에 증인으로 출석해 편향된 북한인권 문제를 알렸고, 이를 정책적·제도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정치활동도 하고 있다. 오랜 북한이탈주민 지원 유공을 인정받아 대통령 표창을 수상했다. 더불어민주당 상근부대변인, 전국장애인위원회 대변인을 거쳐 현재는 전국여성위원회 북향여성인권위원장을 맡고 있다.

저 : 박영민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박영민
관심작가 알림신청
대진대학교 창의미래인재대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외대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한국외대, 한라대 등에서 강의했다. 한국국제정치학회 기획위원장(2017), 한국정치학회 연구이사(2018), 한국세계지역학회 회장(2020)을 역임했다. 경계, DMZ의 시·공간적 조건과 평화 전환에 연구 관심을 두고 있다. 최근 저작으로 『미주 언론에 바친 한국』(공저), 『김정은 시대, 유럽연합과 북한』(공저), 『DMZ 평화와 가치』(공저), 『DMZ 평화와 접경협력』(공저) 등이 있다.

저 : 허지영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허지영
관심작가 알림신청
강원대학교 통일강원연구원 객원연구원. 더블린 트리니티 대학교에서 국제평화학을 전공하고 베를린 자유대학교에서 평화·갈등 이론의 관점에서 남남갈등을 연구한 논문으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주요 연구분야는 갈등, 갈등전환, 평화 등의 이론과 다자주의 평화구축 방안 등이고, 유럽연합의 외교, 평화정책과 대이란 및 대북 비확산정책, 북아일랜드나 이스라엘·팔레스타인을 비롯한 다양한 국제 분쟁사례 등을 연구하고 있다.

저 : 강혁민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강혁민
관심작가 알림신청
강혁민은 강원대학교 통일강원연구원의 선임연구원이다. 아일랜드에서 국제평화학을 공부한 뒤 뉴질랜드로 넘어가 평화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박사학위 논문은 국가폭력 피해자들의 관점에서 보는 고통과 화해의 문제에 대해서 썼다. 최근에는 탈자유주의 로컬평화론과 경합주의에 관심을 두고 이론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내러티브 이론으로 보는 피해자 회복탄력성 연구”와 “분단적대성의 평화적 전환을 위한 최대주의 화해연구”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