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2명)

이전

저 : 김승일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승일
관심작가 알림신청
金勝一
1955년생으로 경기도 안성 출신이다. 동국대학교에서 역사학을 전공한 이래 타이완 국립정치대학(문학석사)과 일본 국립규슈대학에서 중국현대사를 전공하여, 1992년 『중국 혁명의 기원』이라는 제목으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귀국 후 미래인력연구원, 동아시아경제연구원, 국민대 한국학연구소, 동아대 동북아국제전문대학원 등에서 연구원과 교수 생활을 거쳐 현재 동아시아미래연구원 원장으로 일하면서 강연과 저술활동에 전념하고 있다.
논문으로는 「한중일의 근대화 좌절과 성공의 사상적 배경 비교연구」 등 150여 편이 있고, 저서로는 『한민족과 동아시아 세계』 『한중 관계의 오해와 진실』 등 35권이 있으며, 역서로는 『마오쩌둥 선집』 『등소평 문선』 『주룽지 발언실록』 등 130여 권이 있다.
2012년에는 중국학 연구에 대한 업적과 중국 도서를 한국에 많이 소개한 공로를 인정받아, 중국 정부로부터 제6회 ‘중화도서특수공헌상’을 수상하였고, 2015년에는 중국 국무원 신문출판광전총국 CBI국제위원에 임명되어 한중 교류를 위해 활동하고 있다.

저 : 사사가와 노리가츠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사사가와 노리가츠
관심작가 알림신청
일본 홋카이도(北海島)대학 법학부를 졸업한 후, 동 대학 대학원 법학연구과에서 법학박사(1986)를 획득했다. 교학활동으로는 국제기독교대학(ICU), 메이지(明治)대학 법학부 등에서 교수를 역임했고, 주요 연구 분야는 헌법학으로 일본국 헌법의 인권규정 속의 ‘양심의 자유’와 ‘신교(信敎)의 자유’를 연구했다. 그 외에도 평화주의ㆍ천황제 연구 등 다방면에 관심을 갖고 연구했으며, 근년에는 헌법과 국제법의 관계、식민지법제의 관점에서 역사학적·국제법학적 시각으로 한국병합조약을 재검토했고, 3·1운동에 대한 재판도 연구대상으로 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천황の장의(葬儀)』,『헌법의 국제협조주의 전개-유럽의 동향과 일본의 과제』, 이태진(李泰?)과 공편(共編)한『한국병합과 현대』, 김승일(金勝)과 공저한『일본의 식민지 지배실태와 과거청산-동아시아의 평화와 공생을 향하여』등 다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