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12명)

이전

저 : 김성리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성리
관심작가 알림신청
문학을 공부하기 전에는 간호대학을 졸업하고 7년간 대학병원에서 간호사로 근무했다. 문학을 공부하면서 문학이 지닌 치유력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으며, 본인의 두 전공을 융합하여 자신이 명명한 “치유 시학”을 한국연구재단의 학술 지원을 받아 인제대학교 인문의학연구소에서 10여 년간 연구했다. 현재는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인문사회의학교실 교수이며, 삶, 행복 등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 영역을 ‘온전한 삶’으로 넓혀가고 있다.

치유 시학을 연구하는 틈틈이 샤머니즘과 신화가 지닌 치유성을 시와 연관해서 공부하고 있으며, 관련 과목을 인제대학교에서 강의했다. 인제대학교 인문의학연구소 학술연구교수로 있었으며, 인제대학교 한국학부에서는 현대시 관련 강의를,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의예과에서는 인문학 분야의 과목을 강의했다.

연구 논문으로는 「김춘수 무의미시의 지향적 체험 연구」, 「예술가의 삶의 형상화와 그 의미」, 「김춘수의 시와 세계관」, 「현대시의 치유시학적 연구」, 「시치유에 대한 인문의학적 접근 - 한센인의 시를 중심으로」, 「시와 의학교육의 만남에 대한 인문의학적 고찰」 등과 저서 『꽃보다 붉은 울음』, 『김춘수 시를 읽는 방법』, 『환상과 저항의 신학』(공저), 『문장으로 배우는 한자』(공저), 『엄마의 책방』(공저), 『노화와 항노화』(공저) 등이 있다.

김성리의 다른 상품

다시 봄이 온다, 우리들의 봄이

다시 봄이 온다, 우리들의 봄이

14,400 (10%)

'다시 봄이 온다, 우리들의 봄이' 상세페이지 이동

꽃보다 붉은 울음

꽃보다 붉은 울음

12,600 (10%)

'꽃보다 붉은 울음' 상세페이지 이동

김춘수 시를 읽는 방법

김춘수 시를 읽는 방법

18,000 (10%)

'김춘수 시를 읽는 방법' 상세페이지 이동

엄마의 책방

엄마의 책방

12,150 (10%)

'엄마의 책방'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김종길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종길
관심작가 알림신청
미술평론가, 경기도미술관 DMZ아트프로젝트 전시예술감독. 김종길은 1968년 전남 신안에서 태어나 국민대학교에서 미술 이론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1989년 문화패 갯돌 산하 미술패 대반동에 들어가 활동했고, 해원 씻김굿 형식의 실험극 「숲」을 쓰고 연출했다. 이후 큐레이터와 미술평론가로 살면서 우리 근현대사의 옹이 진 사건들과 생태 미학에 주목하며 행위예술, 민중미술, 제주 4·3 미술, 자연미술, 바깥미술 등을 연구하고 있다. 녹색대학에서 강의했고, 성프란시스대학, 경기 지역 자활 인문학, 지순협 대안대학, 다사리문화기획학교, 하늘배곧의 생성과 기획에 참여했다. 모란미술관, 경기문화재단, 경기도미술관에서 일하며 《경기천년도큐페스타: 경기 아카이브_지금,》, 《시점(時點) 시점(視點)?1980년대 소집단 미술운동 아카이브》 등을 기획했고, 저서로 『포스트 민중미술 샤먼 리얼리즘』(2013), 『한국현대미술연대기 1987~2017』(2018) 등이 있다.

김종길의 다른 상품

한국 미술 다시 보기 세트

한국 미술 다시 보기 세트

117,000 (10%)

'한국 미술 다시 보기 세트 '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 미술 다시 보기 2

한국 미술 다시 보기 2

36,000 (10%)

'한국 미술 다시 보기 2'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이명권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명권
관심작가 알림신청
연세대학교신학과를 졸업하였고, 감리교 신학대학원을 졸업하고, 동국대학교 대학원 인도철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마쳤다. 서강대학교 대학원 종교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고, 미국 [크리스천헤럴드] 편집장으로 활동했다. 관동대학교에서 ‘종교간의 대화’를 강의하였고, 그 후 중국 길림사범대학교에서 중국문학 석사학위를 취득한 후, 길림대학 중국철학과에서 노자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중국 길림사범대학교에서 교환교수로 재직하였고, 동 대학 동아시아연구소 소장을 역임하였다. 현재 코리안아쉬람 대표이며, 서울신학대학교에서 동양사상 강의를 하고 있다.

저서로는 한길사에서 나온 『우파니샤드』와 『베다』를 비롯하여 『비움과 나눔의 영성』, 『예수 노자를 만나다』, 『예수 석가를 만나다』, 『공자와 예수에게 길을 묻다』, 『무함마드, 예수, 그리고 이슬람』, 『암베드카르와 현대인도 불교』, 『오늘날 우리에게 해탈은 무엇인가?』(공저), 『사람의 종교, 종교의 사람』(공저), 『종말론』(공저), 『통일시대로 가는 평화의 길』(공저), 『평화와 통일』(공저) 등이 있다.

역서로는 웨슬리 아리아라자의 『종교간의 대화와 협력을 위한 영성』, 마하트마 간디의 『간디 명상록』, 마틴 루터 킹의 『마틴 루터 킹』, 디완찬드 아히르의 『암베드카르』, 세샤기리 라오의 『간디와 비교종교』, 한스 큉의 『위대한 그리스도 사상가들』(공역), 『우리 인간의 종교들』(공역)이 있다.

논문으로는 <기독교의 자유론과 인도철학의 해탈론 비교연구>(석사논문), <마가 이적설화의 정치적 해석>(석사논문), <‘풍류’ 개념의 한중비교연구>(석사논문), <암베드카르와 현대 인도불교>(종교학박사학위 논문), <노자와 세계 성현들과의 대화 - 노자의 도 개념을 중심으로>(중국철학박사논문)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이명권의 다른 상품

종교와 예술

종교와 예술

19,000 (5%)

'종교와 예술' 상세페이지 이동

종교와 생태

종교와 생태

19,000 (5%)

'종교와 생태' 상세페이지 이동

상호문화적 글로벌시대의 종교와 정치

상호문화적 글로벌시대의 종교와 정치

16,150 (5%)

'상호문화적 글로벌시대의 종교와 정치' 상세페이지 이동

메타버스 시대의 신학과 목회

메타버스 시대의 신학과 목회

11,700 (10%)

'메타버스 시대의 신학과 목회' 상세페이지 이동

풍류신학 백년

풍류신학 백년

15,300 (10%)

'풍류신학 백년' 상세페이지 이동

상호문화적 글로벌 시대의 종교와 문화

상호문화적 글로벌 시대의 종교와 문화

12,350 (5%)

'상호문화적 글로벌 시대의 종교와 문화' 상세페이지 이동

공자와 예수에게 길을 묻다

공자와 예수에게 길을 묻다

19,000 (5%)

'공자와 예수에게 길을 묻다' 상세페이지 이동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평화사상과 종교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평화사상과 종교

12,350 (5%)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평화사상과 종교'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이은선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은선
관심작가 알림신청
한국 여성통합학문(Korean Feminist Integral Studies for Faith) 연구가이다. 유교 문명과 기독교 문명의 대화를 통해서 인류세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한다. 한국적 신학(信學)과 인학(仁學)의 구성을 위해 ‘신학(神學)에서 신학(信學)으로’라는 모토와 함께 종교와 정치(性), 교육 등의 영역을 가로지르며 글쓰기를 한다. 한국여성신학회와 아렌트학회 회장을 엮임했고, 한국양명학회, 유교학회, 종교교육학회, 교육철학학회 등에서 활동했다. 현재 세종대 명예교수이고, 한국信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생물권 정치학 시대에서의 정치와 교육-한나 아렌트와 유교와의 대화 속에서』(2014), 『다른 유교, 다른 기독교』(2016), 『세월호와 한국 여성신학』(2018), 『통합학문으로서의 한국 교육철학』(2018), 『동북아 평화와 聖·性·誠의 여성신학』(2020), 『사유하는 집사람의 논어읽기』(2020) 외 다수가 있다. 공저로 『21세기 보편 영성으로서의 誠과 孝』(2016), 『3·1운동 백주년과 한국종교개혁』(2019), 『한국전쟁 70년과 ‘以後’교회』(2020), 『李信의 묵시의식과 토착화의 새 차원』(2021), 《Korean Religions in Relation, editedby K. Min》(SUNY 2016), 《Dao Companion to Korean Confucian Philosophy,edited by Young-chan Ro》(Springer 2019) 등 다수가 있고, 역서로 줄리아 칭, 『지혜를 찾아서-왕양명의 길』(1998)과 줄리아 크리스테바, 『한나 아렌트-삶은 하나의 이야기다』(2022)가 있다.

이은선의 다른 상품

개벽사상과 종교공부

개벽사상과 종교공부

23,400 (10%)

'개벽사상과 종교공부' 상세페이지 이동

교육사상가의 삶과 사상 서양 편 2

교육사상가의 삶과 사상 서양 편 2

22,500 (10%)

'교육사상가의 삶과 사상 서양 편 2' 상세페이지 이동

소비 문명에서 생태 문명으로

소비 문명에서 생태 문명으로

17,100 (10%)

'소비 문명에서 생태 문명으로 '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 페미니스트 신학자의 유교 읽기

한국 페미니스트 신학자의 유교 읽기

13,500 (10%)

'한국 페미니스트 신학자의 유교 읽기' 상세페이지 이동

한나 아렌트

한나 아렌트

14,250 (5%)

'한나 아렌트'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전쟁 70년과 ‘以後’ 교회

한국전쟁 70년과 ‘以後’ 교회

34,200 (10%)

'한국전쟁 70년과 ‘以後’ 교회' 상세페이지 이동

동북아 평화와 聖·性·誠의 여성신학

동북아 평화와 聖·性·誠의 여성신학

16,200 (10%)

'동북아 평화와 聖·性·誠의 여성신학' 상세페이지 이동

환상과 저항의 신학

환상과 저항의 신학

14,400 (10%)

'환상과 저항의 신학'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이정배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정배
관심작가 알림신청
顯藏아카데미 원장. 전 감신대 교수. 1955년 7월 15일 서울에서 출생했고 어린 시절 잠시 시골에서 자란 경험이 있다. 대광(大光) 중고등학교에서 기독교 정신을 배웠으며 영락교회와 평동교회에서 행복한 중고등부 시절을 보냈다. 이후 감리교 신학대학교에 입학했고 토착화 신학 전통을 배웠으며 동대학원에 진학하여 一雅 변선환 선생을 사사했다. 스위스 바젤 대학교에 5년 남짓 유학했고 그곳에서 유교와 기독교 간의 만남을 주제로 긴 논문을 썼다. 1986년 모교 교수로 부름 받아 후학들과 20년 이상을 함께 지냈다. 그간 한국 조직신학회 회장을 역임했고 동시에 素琴 유동식 선생님을 모시고 한국문화신학회를 창립하여 10여년 이상을 이끌어 왔다. 1990년 서울에서 열렸던 JPIC 대회의 자극으로 생태신학에 눈을 떴고 토착화 신학과 생태(환경)신학을 한국적 생명신학이란 이름하에 연결 짓고자 애써 왔다. 이 선상에서 종교와 과학 간 대화의 중요성을 숙지했고 이 주제에 관한 책을 번역하고 쓰기도 했다.

鉉齋 김흥호 선생님을 통해서 多夕 유영모 사상을 접한 것을 큰 축복으로 알고 있다. 그 덕으로 多夕학회의 일원으로서 多夕을 연구해 왔고 그 결과로 이 책을 엮을 수 있었다. 향후 서구 신학은 물론 일본 교토 학파를 능가하는 多夕학파의 신학 형성에 일조할 생각이다. 마지막 관심은 신학사, 과학사 그리고 예술사를 아울러 서구 기독교를 재구성하는 일이다. 기독교의 근본을 추구했던 故 李信 박사님의 ‘영의 신학’ 덕분으로 이런 꿈을 갖게 되었다. 이를 위해 어려운 일이겠으나 주역에 대한 공부도 해 볼 생각이다. 강원도 횡성에서 독서와 기도 그리고 노동이 아우러지는 ‘顯藏 아카데미’를 꾸미는 일도 삶의 몫으로 알고 준비 중이다. 우리 시대 대안교회인 겨자씨 공동체와의 만남을 소중한 인연으로 알고 열심히 설교하고 있다. 그동안 출간된 10여권의 저서 중에서 『한국개신교 전위 토착신학 연구』(기독교서회, 2003)가 기독교 출판대상을, 『켄 윌버와 신학』(시와진실, 2008)이 문화관광부우수도서로 지정되었다. 그 외에도 『이정배의 생명과 종교 이야기』,『기독교 이야기』『고독하라 저항하라 그리고 상상하라』가 있다.

기독자교수협의회 회장, 한국문화신학회 회장, 조직신학회 회장, 한국종교인평화회의(KCRP) 종교간대화 위원장, 생명평화마당 공동대표 등을 역임했다. 사단법인 나눔문화 이사장직을 수행했고, 최근에는 3.1운동 100주년 종교개혁 연대 공동대표, 국제기후시민종교네트워크(ICE) 공동대표, 현장아카데미 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이정배의 다른 상품

개벽사상과 종교공부

개벽사상과 종교공부

23,400 (10%)

'개벽사상과 종교공부' 상세페이지 이동

소비 문명에서 생태 문명으로

소비 문명에서 생태 문명으로

17,100 (10%)

'소비 문명에서 생태 문명으로 ' 상세페이지 이동

‘역사유비’로서의 李信의 슐리얼리즘 신학

‘역사유비’로서의 李信의 슐리얼리즘 신학

11,700 (10%)

'‘역사유비’로서의 李信의 슐리얼리즘 신학' 상세페이지 이동

스승의 손사래

스승의 손사래

14,250 (5%)

'스승의 손사래' 상세페이지 이동

개벽의 사상사

개벽의 사상사

20,900 (5%)

'개벽의 사상사' 상세페이지 이동

기후 위기 시대의 도전과 교회의 응답

기후 위기 시대의 도전과 교회의 응답

21,600 (10%)

'기후 위기 시대의 도전과 교회의 응답'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전쟁 70년과 ‘以後’ 교회

한국전쟁 70년과 ‘以後’ 교회

34,200 (10%)

'한국전쟁 70년과 ‘以後’ 교회' 상세페이지 이동

호모 데우스, 호모 사피엔스의 미래인가?

호모 데우스, 호모 사피엔스의 미래인가?

14,250 (5%)

'호모 데우스, 호모 사피엔스의 미래인가?'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조재형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조재형
관심작가 알림신청
현재 강서대학교 학술연구 교수(연구재단 후원)로 신약성서를 가르치면서 연구재단 연구과제로 영지주의와 나그함마디 서고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다. 그리스도대학교를 졸업하고, 연세대 연합신학대학원에서 신약성서 전공으로 석사(Th.M)를, 미국 하딩신학대학원에서 문학석사(M.A)와 시카코 신학대학원에서 목회학 석사(M.Div)를 마쳤으며, 클레어몬트 대학원대학교(CGU) 종교학과에서 신약성서 전공으로 박사학위(Ph.D)를 받았다. 주요 저서로는 This Is My Flesh: John’s Eucharist and the Dionysus Cult(Pickwick Publications, 2022), 『그리스-로마종교와 신약성서: 그리스도교의 기원에 대한 사상사』, 개정증보판(서울: 감은사, 2021), 『초기 그리스도교와 영지주의』(서울: 동연, 2020), 『그리스-로마종교와 신약성서』(서울: 부크크, 2018)가 있다. 공저로는 『요한복음연구』(서울: 이레서원, 2020), 『李信의 묵시의식과 토착화의 새 차원-술리얼리스트 믿음과 예술』(서울: 동연, 2021)과 An Asian Introduction to the New Testament (Fortress, 2022), 『상호문화적 글로벌 시대의 종교와 문화』(열린서원, 2021)이 있고, 22여 개의 논문들(KCI)을 게재하였다. 스톤-캠벨 운동을 연구하는 환연연구회 회장과 요한문헌학회 총무로 봉사하고 있으며, 한국기독교학회, 한국신약학회,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정회원이다. 또한 유튜브 채널 ‘기독교의 기원에 대한 이야기’를 운영하고 있다.

조재형 의 다른 상품

도마복음, 예수의 영지주의 지혜

도마복음, 예수의 영지주의 지혜

15,300 (10%)

'도마복음, 예수의 영지주의 지혜' 상세페이지 이동

상호문화적 글로벌시대의 종교와 정치

상호문화적 글로벌시대의 종교와 정치

16,150 (5%)

'상호문화적 글로벌시대의 종교와 정치' 상세페이지 이동

상호문화적 글로벌 시대의 종교와 문화

상호문화적 글로벌 시대의 종교와 문화

12,350 (5%)

'상호문화적 글로벌 시대의 종교와 문화' 상세페이지 이동

요한복음 연구

요한복음 연구

18,000 (10%)

'요한복음 연구'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최자웅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최자웅
관심작가 알림신청
동학혁명의 현장과 본거인 고향 전주에서 조실부모의 환경으로 성장하며 파랑새의 민요와 함께 조숙하게 세계고(世界苦)에 눈 떠 일찍이 시인과 혁명가와 종교의 꿈을 지니고 그 길을 작정하게 되었다. 1980년대 초반에 김지하 시인과 원주 자택에서 만나 대화하고 시인에게서 미륵(彌勒)의 필명을 제안 받기도 하였음. 성공회에서 사제서품을 받고 노동사목의 꿈을 지니고 어려움 속에 분투하기도 하고 한신대 수학 후에 서강대 대학원을 거쳐 독일 Bocum대학에서 신학박사과정을 수료하고 성공회대에서 ‘Maoism과 Sunwenism의 인간이해’의 주제로 사회사상과 종교사회학 박사학위를 함. 1983년 풀빛에서 ‘그대여 이 슬프고 어두운 예토(穢土)’ 상재한 첫 시집으로 당시 문단의 어른인 소설가 김정한 선생으로부터 ‘위대한 사랑의 울부짖음’이라는 평가와 신경림, 고은, 이운룡 시인들로부터 찬사와 긍정적 비평 속에서 제2시집은 독일유학의 과정 중 목도한 사회주의권의 붕괴와 함께 아픈 문명사적인 사상적 좌절과 공황상태를 <겨울늑대-어네스토 체 게바라의 추상>으로 엮었다. 빈민현장과 나눔의 집 원장직들을 거친 사제직의 마지막에는 사회적 약자계층으로 전락한 이 땅의 노년세대의 조직과 운동에 착수하여 <노년유니온>을 창립하고 상임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전국시니어클럽혐회장을 역임하였음. 기타를 연주하며 잔잔하고 낮게 노래하는 시인 가객(歌客)으로 잃어버린 고향상실에의 끝없는 서정과 함께 굵고 치열한 역사의식과 서사로 이루어지는 시세계를 추구하며 한민족의 분단비극을 극복하는 통일이념과 체제와 새로운 세계의 지평을 뜨겁게 응시하며 시작(詩作)과 학문에 임하고 있음. 현재 코리안아쉬람 인문예술원장직과 이곳에서 펴내는 종합인문계간지 <산넘고 물건너>의 편집인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연구논문으로는 혁명적 Ideology와 종교적 구원/ 민주주의의 이념과 기독교의 윤리적 역할 연구/ 윤노빈의 ‘동학의 세계사상적 의미’의 단상.1989(신생철학) / 동학혁명의 광맥에서 본 수운 최제우의 인내천 개념의 변천 및 전개. 2020 / 마오이즘의 세계인식과 평화관. 2021/ Yogissar 김지하 사상의 종교적 요소 ㅡ동학과 민중신학을 중심으로. 2022 등이 있음.

최자웅의 다른 상품

종교와 예술

종교와 예술

19,000 (5%)

'종교와 예술' 상세페이지 이동

상호문화적 글로벌시대의 종교와 정치

상호문화적 글로벌시대의 종교와 정치

16,150 (5%)

'상호문화적 글로벌시대의 종교와 정치' 상세페이지 이동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평화사상과 종교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평화사상과 종교

12,350 (5%)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평화사상과 종교' 상세페이지 이동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새 종교 지평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새 종교 지평

11,400 (5%)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새 종교 지평' 상세페이지 이동

편 : 한국信연구소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편 : 한국信연구소
관심작가 알림신청
‘한국信연구소’는 2016년 강원도 횡성과 서울 종로구 부암동에 근거를 두고 시작한 ‘현장(顯藏)아카데미’에 소재한 한국 신학 연구 기관이다. 동북아시아 사상적 전통인 聖 · 性 · 誠의 정신에 근거해서 ‘한국적 믿음의 통합학’(한국信學, Korean Feminist Integral Studies for Faith)을 지향하면서 2020년 7월에 개소하였다. 한국 토착화신학의 전통에서 특히 목사이자 신학자, 초현실주의 화가였던 이신(李信, 1927~1981)의 신학적, 예술적 유산을 중시하고, 그로부터 한국 종교사상 전통과 서구 기독교 문명과의 대화를 주로 한다. 여성주의적이고, 교육 인문학적인 성찰과 실천을 중시하면서 ‘한국적 인지학’(Korean Anthroposophy) 등 21세기 인류세 문명을 위한 대안의 길을 찾고자 한다.

한국信연구소의 다른 상품

‘역사유비’로서의 李信의 슐리얼리즘 신학

‘역사유비’로서의 李信의 슐리얼리즘 신학

11,700 (10%)

'‘역사유비’로서의 李信의 슐리얼리즘 신학'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