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7명)

이전

저 : 강인욱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강인욱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졸업하고 러시아과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초등학교 때부터 꿈꾸던 고고학을 평생의 업으로 살고 있으며, 현재 경희대학교 사학과 교수 및 한국 고대사?고고학연구소 소장이다. 유라시아와 고조선의 고고학을 주로 연구하며 우리의 과거를 좁은 한반도의 틀을 벗어나서 넓게 보고자 한다. 지은 책으로는 『사라진 시간과 만나는 법』 『황금, 불멸의 아름다움』 『세상 모든 것의 기원』 『우리의 기원, 단일하든 다채롭든』 『강인욱의 고고학 여행』 『테라 인코그니타』 『유라시아 역사 기행』 등 다수가 있다. JTBC ‘차이나는 클라스’, EBS ‘클래스ⓔ’에 출연했고 [한겨레] [동아일보] [중앙일보] 등에 칼럼을 연재하며 고고학의 진정한 매력을 대중에게 알리기 위해 힘쓰고 있다.

논문으로는 Undercurrents of Go’joseon Research Reflected in the Diaries: With a Focus on Gu Jiegang’s Diary (顧?剛日記) and An Zhimin’s Diary (安志敏日記), The Journal of Northeast Asian History, Volume 18 Number 2 (Summer2022). , 「만발발자 유적으로 본 후기 고조선의 교역 네트워크와 고구려의 발흥」(『동북아역사논총』 71, 2021), 「초기 고조선 네트워크의 형성과 비파형동검문화 -기술, 무기, 제사를 중심으로」(『한국고고학보』 106, 2018), 「북한 고조선 연구의 기원과 성립: 리지린의 고조선 연구와 조중고고발굴대」(『선사와 고대』 45, 2015) 등이 있다.

저 : 강현숙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강현숙
관심작가 알림신청
동국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교수. 논저: 『발해 고고학』(공저, 진인진, 2021), 『고구려 고고학』(공저, 진인진, 2020), 『고구려고분연구』(진인진,2013), 「북한의 고구려 고고학 조사·연구의 성과와 과제」(문화재 53권 1호, 2020), 「부여 노하심 중층 무덤의매장 행위 유추」(한국상고사학보 110호, 2020) 등.

저 : 이종수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종수
관심작가 알림신청
단국대학교 사학과 교수. 저서: 『부여의 얼굴』(동북아역사재단, 2021), 『동북아시아 고고학 개설Ⅰ-선원사시대 편』(공저, 동북아역사재단,2020), 『백제는 부여를 계승하였나』(공저, 한성백제박물관, 2020), 『북방고고학개론』(공저, 진인진, 2018),『송화강유역 초기철기문화와 부여의 문화기원』(단독, 주류성, 2009) 등.

저 : 이후석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후석
관심작가 알림신청
경희대학교 한국고대사고고학연구소 연구교수. 논저: 『고조선의 네트워크와 그 주변 사회』(주류성, 2022, 공저), 『동북아시아 고고학 개설Ⅰ-선원사시대 편』(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20), 『요서지역 청동기문화-문화접경·다양성·상호작용』(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19), 『고조선과 위만조선의 연구쟁점과 대외교류』(공저, 학연문화사, 2015), 「한국 청동기문화권의 청동무기, 그 기원과 전개」(『한국의 청동기문화 2020』, 국립청주박물관,2020), 「요령지역 비파형동검의 등장과 그 배경」(『한국고고학보』 111, 2019), 「고고자료를 통해 본 만번한」(『동북아역사논총』 57, 2017) , 「남한지역 세형동검문화의 형성 과정」(『한국고고학보』 128, 2023), 「요령지역 비파형동검의 등장과 그 배경」(『한국고고학보』 111, 2019) 등이 있다.

저 : 김상민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상민
관심작가 알림신청
목포대학교 고고문화인류학과 교수. 논저: 『동북아 초기철기문화의 성립과 고조선』(서경문화사, 2020), 『가야의 철 생산과 유통』(공저, 주류성, 2020),『군곡리패총 동아시아 해양교류의 시작』(공저, 목포대학교박물관, 2019), 「호남지역 철기문화 중심세력의 전환과 그 의미」(『전북사학』 58, 2020), 「연문화의 확산과 요서지역 철기문화의 정착과정」(『호서고고학』 44,2019), 「동북아시아 철겸의 변천과 완주 갈동유적 주조철겸의 등장배경」(『야외고고학』 34, 2019) 등.

저 : 양시은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양시은
관심작가 알림신청
충북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교수. 논저: 『발해 고고학』(공저, 진인진, 2021), 『고구려 고고학』(공저, 진인진, 2020), 『흉노』(공저, 진인진, 2017), 『고구려 성 연구』(진인진, 2016), 「高句麗 都城制 再考」(『한국상고사학보』 112, 2021), 「오녀산성의 성격과 활용 연대 연구」(『한국고고학보』 116, 2020) 등이 있고 논문으로는 「고분과 유물을 통해 본 고구려와 모용선비의 문화교류 양상」(『고고학』 21-2, 2022), 「고구려 도성제 재고」(『한국상고사학보』 112, 2021), 「오녀산성의 성격과 활용 연대 연구」(『한국고고학보』 116, 2020) 등이 있다.

편 : 박선미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편 : 박선미
관심작가 알림신청
朴善美
동북아역사재단 한국고중세사연구소 소장
『고조선과 고구려의 만남』(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21)
「고조선과 고구려의 계승 관계 탐색」(『백산학보』 110, 2021)
Antenna-Style Daggers in Northeast Asia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regional Interaction Asian Perspectives vol. 59-1. 2020.
『중국 산동지역의 동이』(공저, 역사공간, 2018)
「서구학계의 고대 교류사 이론의 현황」(『한국고대사연구』 73, 2014)
『고조선과 동북아의 고대 화폐』(학연문화사,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