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9명)

이전

저 : 한상원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한상원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시립대학교 철학과에서 마르크스의 물신주의와 이데올로기 개념 연구로 석사 학위를, 독일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에서 아도르노의 정치철학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앙겔루스 노부스의 시선: 아우구스티누스, 맑스, 벤야민. 역사철학과 세속화에 관한 성찰』과 『계몽의 변증법 함께 읽기』가 있으며, 역서로 『공동체의 이론들』(공역) 『아도르노, 사유의 모티브들』 『역사와 자유의식: 헤겔과 맑스의 자유의 변증법』이 있다. 『현대 정치철학의 네 가지 흐름』 『근대 사회정치철학의 테제들』 『아도르노와의 만남』 『왜 지금 다시 마르크스인가』 『팬데믹 이후의 시민권을 상상하다』 등 여러 책을 공저했다. 현대 사회?정치철학의 여러 주제들을 연구하고 있으며, 현재 충북대학교 철학과에 재직 중이다.

저 : 임옥희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임옥희
관심작가 알림신청
경희대학교 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여성문화이론연구소 대표를 역임했고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다. 『주디스 버틀러 읽기』 『젠더 감정 정치』 『메트로폴리스의 불온한 신여성들』 『팬데믹 패닉 시대, 페미스토리노믹스』 『팬데믹 이후의 시민권을 상상하다』(공저) 『실격의 페다고지』(공저) 등을 썼고, 『전진하는 페미니즘』 『여자의 뇌』 『몸 페미니즘을 향해』 『여성과 광기』 등을 옮겼다.

저 : 장진범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장진범
관심작가 알림신청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정책연구원 등에서 일했다.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했고, 정치철학과 사회운동론을 접목하는 것이 이론적 관심사 중 하나다. 『현대 정치철학의 모험』, 『강남 만들기, 강남 따라 하기』, 『마스크가 말해주는 것들』 등을 공저했고, 역서로 『시민권의 이론』, 『알튀세르 효과』(공역), 『범죄학과 사회이론』(공역) 등이 있다.

저 : 김민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민아
관심작가 알림신청
인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연구중점교수이다. 1987년 민주화 전후 시기 한국의 진보적 개신교 사회운동의 성격 변화를 연구해 서울대학교 종교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한국 개신교의 정치적 성격, 개신교와 한국 사회의 관계 변화, 민중교회 운동, 개신교인 성소수자의 정체성, 종교 사회운동 관련 이론 등을 연구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카푸토의 ‘약한 신학’과 안병무의 민중신학 비교 연구: 약자를 위한 신학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한국 복음주의 사회운동의 분화와 개신교 뉴라이트의 등장」, 「종교의 시민사회 참여에 대한 이론적 고찰」,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Society in the COVID-19 Era: The Case of Protestantism in South Korea” 등이 있다.

저 : 황병주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황병주
관심작가 알림신청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관이다. 한국 현대사를 전공했으며 박정희 체제의 지배 담론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의 근대화 과정에 관심을 가지고 공부하고 있다. 특히 자본주의적 산업화가 근대적 변화에 끼친 영향과 그 함의를 밝히는 데 관심이 많다. 주요 논문으로 「1920년대 초반 소유 개념과 사유재산 담론」, 「1970년대 ‘복부인’의 경제적 표상과 문화적 재현」, 「박정희 체제와 공화주의의 행방」 등이 있다.

저 : 배상미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배상미
관심작가 알림신청
일본 와세다 대학교 국제교양학부 비정년 준교수이다.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1930년대 프롤레타리아 소설 재론: 여성, 노동, 섹슈얼리티」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영국 소아스(SOAS) 런던 대학교 한국학연구소 방문학자, 선문대학교 토대사업단 연구원, 독일 튀빙겐 대학교 한국학연구소 방문연구원을 역임했으며, 여성문화이론연구소가 간행하는 『여/성이론』 편집위원, 상허학회 연구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한국의 문학, 영화, 대중문화에 재현된 여성, 노동, 섹슈얼리티를 지구적인 관점에서 분석하는 연구에 관심이 있고, 최근에는 한국 문학에 재현된 군사기지와 섹슈얼리티를 냉전과 이주의 관점에서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혁명적 여성들: 프롤레타리아 문학의 젠더, 노동, 섹슈얼리티』가 있다.

저 : 강용훈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강용훈
관심작가 알림신청
인천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부교수이다. 한국 현대문학/문화 비평을 전공했고,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동아시아 기본 개념의 상호소통’ 팀에서 HK연구교수로 일했다. 저서로 『비평적 글쓰기의 계보: 한국 근대 문예비평의 형성과 분화』, 『동아시아 예술담론의 계보』(공저), 『마르크스주의와 한국의 인문학』(공저), 최근 논문으로 ?20세기 초반 한국의 ‘통속(通俗)’ 개념과 ‘속(俗)’ 관련 문화의 변동?이 있다. ‘개념’과 ‘담론’에 초점을 맞춰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새롭게 바라볼 수 있는 방식에 대해 탐색하고 있다.

저 : 신나미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신나미
관심작가 알림신청
인천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이다. 글로벌화 맥락에서 등장한 이주 서사에 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고, 이후 이에 대한 연구를 이어오고 있다. 미국과 영어권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작가들의 소설을 중심으로 이주 문학이 20세기 후반부터 변화해 온 양상을 연구하고 있다. 특히 최근 이주 서사에서 나타나는 형식적 실험의 문학사적 의의를 주요하게 살피는 중이다. 이런 연구를 바탕으로 여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