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2명)

이전

편 : 유향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편 : 유향
관심작가 알림신청
劉向
전한을 대표하는 학자로 한 고조 유방劉邦(기원전 247~기원전 195)의 후예다. 본명은 경생更生이고 자字는 자정子政이다. 황실 종친으로 30여 년간 관직생활을 했는데, 황궁의 장서고였던 석거각石渠閣에서 수많은 서적을 정리·분류·해제하는 사업을 행한 것이 그의 중요한 업적이다. 또 오경五經의 강론과 찬술에 온 힘을 쏟아 경학·사학·문학·목록학 등 각 방면에 걸쳐 많은 업적을 남기기도 했다.

그런 유향을 가리켜 반고班固(32~92)는 “순하고 담백하며 도를 즐기는 성품으로 세속과 어울리는 것을 좋아하지 않았고, 오로지 학문에 몰두하며 낮에는 독서하고 밤에는 도리를 탐구하여 날 새는 줄 몰랐다”(『한서漢書』)고 평가했다. 타고난 학구파 유향은 역대 문헌들을 정리하고 목록화하면서 얻어낸 정보와 아이디어로 역대 여성들의 전기집을 기획해 『열녀전』을 펴낸 것이다. 그 외에 유향이 기원전 26년에 아들 유흠劉歆(기원전 53~기원후 25)과 함께 조정의 서적을 교감한 작업은 그의 사후에도 이어져 『한서』 「예문지」의 기초가 되었다. 아들 유흠은 중국 최초의 체계적인 서적 목록 『칠략七略』을 완성하기도 했다. 현재까지 전하는 유향의 저작으로는 『열녀전』 외에 자신의 정론을 담은 『신서新序』와 교훈적 이야기를 담은 『설원說苑』 등이 있다

유향의 다른 상품

전국책 (중)

전국책 (중)

22,500 (10%)

'전국책 (중)' 상세페이지 이동

전국책 (상)

전국책 (상)

22,500 (10%)

'전국책 (상)' 상세페이지 이동

역주 열녀전보주 2

역주 열녀전보주 2

38,000

'역주 열녀전보주 2' 상세페이지 이동

설원 3 (큰글씨책)

설원 3 (큰글씨책)

46,000

'설원 3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설원 2 (큰글씨책)

설원 2 (큰글씨책)

46,000

'설원 2 (큰글씨책)' 상세페이지 이동

역주 : 진기환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주 : 진기환
관심작가 알림신청
陶硯 陳起煥
서울의 대동세무고등학교 교장을 역임했다. 개인 문집 『陶硯集』을 출간했으며 중국 고전소설 『儒林外史』 국내 최초 번역했다.

주요 저서로는 『史記講讀』, 『史記 人物評』, 『中國의 土俗神과 그 神話』, 『中國의 신선이야기』, 『上洞八仙傳』, 『三國志 故事成語 辭典』, 『三國志 故事名言 三百選』, 『三國志의 지혜』, 『三國志 人物評論』, 『精選 三國演義 原文 註解』, 『中國人의 俗談』, 『水滸傳 評說』, 『金甁梅 評說』, 『논술로 읽는 論語』, 『十八史略 中(下)·下(上)·下(下)』, 『唐詩三百首 上·中·下』 共譯 , 『唐詩逸話』, 『唐詩絶句』, 『王維』 , 『漢書』 全 10권, 『後漢書(一)·(二)권』 등이 있다.

진기환의 다른 상품

중국인의 재담(才談)

중국인의 재담(才談)

31,500 (10%)

'중국인의 재담(才談)' 상세페이지 이동

공자가어 孔子家語 (하)(큰글자책)

공자가어 孔子家語 (하)(큰글자책)

48,000

'공자가어 孔子家語 (하)(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공자가어 孔子家語 (상)(큰글자책)

공자가어 孔子家語 (상)(큰글자책)

48,000

'공자가어 孔子家語 (상)(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원서발췌 유림외사 (큰글자책)

원서발췌 유림외사 (큰글자책)

24,000

'원서발췌 유림외사 (큰글자책)' 상세페이지 이동

원서발췌 유림외사

원서발췌 유림외사

12,000

'원서발췌 유림외사' 상세페이지 이동

수·당연의 (隋·唐演義) 5

수·당연의 (隋·唐演義) 5

18,000 (10%)

'수·당연의 (隋·唐演義) 5' 상세페이지 이동

수·당연의 (隋·唐演義) 4

수·당연의 (隋·唐演義) 4

18,000 (10%)

'수·당연의 (隋·唐演義) 4' 상세페이지 이동

수·당연의 (隋·唐演義) 3

수·당연의 (隋·唐演義) 3

18,000 (10%)

'수·당연의 (隋·唐演義) 3'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