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7명)

이전

저 : 박용수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박용수
관심작가 알림신청
2007년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서 〈민주화 이후 한국의 규제개혁의 정치〉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연세대 국가관리연구원에서 한국의 대통령제 관련 연구를 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민주화 이후 한국의 만성적 입법교착 연구〉(2020), 〈한국의 제왕적 대통령론에 대한 비판적 시론〉(2016), 〈한국의 대통령제와 연합정치〉(2016), 〈제2차 북핵위기 전개과정과 노무현대통령의 리더십〉(2013), 〈김대중정부의 자유주의적 대북, 대외전략의 현실주의적 측면〉(2011) 등이 있다.

저 : 채진원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채진원
관심작가 알림신청
경희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비교정치학)를 받았다.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전담교수로 ‘시민교육’, ‘세계시민교육’, ‘NGO와 정부관계론’, ‘정당과 선거’ 등을 강의했다. 한국주민자치학회 학술부회장을 역임했으며, 한국정치평론학회 연구이사, 공화주의 아카데미 공동이사장을 맡고 있다. 그리고 경희대학교 공공거버넌스연구소 학술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무엇이 우리정치를 위협하는가』, 『공화주의와 경쟁하는 적들』, 『제왕적 대통령제와 정당』 외 다수가 있다.

저 : 이송평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송평
관심작가 알림신청
2008~2009년 노무현 대통령이 이끌었던 ‘민주주의 2.0’과 ‘진보주의 연구모임’에서 운영자와 간사로 일했다. 2010년 영남대학교 대학원에서 〈노무현의 민주주의 혁신전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같은 해부터 영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서 한국 정치론과 민주주의론 등을 강의하고 있다. 2014년에 민주주의 혁신전략연구소를 설립하여 노무현 대통령과 관련 연구를 진행하는 한편, 연구소 부설의 대구 노무현시민학교를 통해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다양한 강의 활동도 병행하고 있다. 대표 저서로는 『노무현의 길』(2012)이 있다.

저 : 조기숙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조기숙
관심작가 알림신청
미국 정당의 선거 전략에 관한 논문으로 인디애나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를 바꾸기 위해 정치를, ‘미래’를 바꾸기 위해 교육을 연구한다. 2008년부터 한국 대학 최초로 대학과 대학원에서 ‘공공외교’를 정규과목으로 가르치기 시작했으며, 2013년에는 이화여자대학교에 공공외교 센터를 설립해 센터장을 맡고 있다. 공공외교센터에서 양자 청년포럼인 한독주니어포럼을 최초로 설립했고, 유엔과 워싱턴 D.C, 독일 등에서 공공외교 관련 포럼을 개최했다.

공공외교센터가 한국공공외교학회 창립의 산파 역할을 함에 따라 초대 학회장을 역임했다. 정치 분야 저서로 《포퓰리즘의 정치학》 《한국선거 예측가능한가?》 등이 있고, 교육 분야 저서로 《왜 우리 아이들은 대학에만 가면 바보가 될까?》 《지금 당장 교육을 빅딜하라》 등이 있다.

저 : 이소영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소영
관심작가 알림신청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서 정치학사 및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미국 텍사스대학교(오스틴)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비교정치 및 정치커뮤니케이션을 전공하였으며, 현재 대구대학교 국제관계학과에 재직 중이다. 주요 논문으로 〈미국 유권자의 당파적 정체성과 정치적 부족주의〉(2020), 〈대중이 이야기할 때: 숙의민주주의와 대중의 협의〉(2018), 〈한국 유권자의 정치적 태도에 대한 미디어 효과〉(2017), 〈한국 선거에서의 미디어 매개 효과〉(2015) 등이 있다. 저서로는 『한국의 선거 VI』(공저, 2015), 『한국정당의 미래를 말하다』(공저, 2015) 외 다수가 있다.

저 : 김종철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종철
관심작가 알림신청
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로 헌법을 연구하고 가르치고 있으며, 최근에는 같은 학교 대학원 인공지능학과 교수를 겸직하고 있다. 학술연구 및 교육활동 외에도 한국공법학회, 한국헌법학회, 법과사회이론학회, 한국언론법학회 등 전공관련 학술공동체의 회장 등 임원으로 봉사하면서 국회, 정부, 헌법재판소 등 국가기관과 공공영역의 현안논의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헌법을 통한 시민교육이나 의회개혁 등 사회발전에도 기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저 : 정태호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정태호
관심작가 알림신청
독일 학술교류처(DAAD) 장학생으로 1994년 독일 레겐스부르크 법과대학에서 법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전남대학교 조교수를 거쳐 현재 경희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로 헌법학을 강의하고 있다. 〈외국인의 기본권주체성과 헌법해석의 한계〉(2019) 외 다수의 논문이 있으며, 저서로는 『주석 헌법재판소법』(공저, 2015), 역서로는 『독일기본권론』(2021), 『정치적인 것의 개념』(공역, 2012), 『헌법과 민주주의: 헌법이론과 헌법에 관한 연구』(공역, 2002), 『독일헌법재판론』(2001)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