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10명)

이전

저 : 이왕휘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왕휘
관심작가 알림신청
아주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런던정치경제대학(LSE)에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논저로 『미중 전략적 경쟁, 무엇이 문제이고 어떻게 풀어야 하나』(2020), 『위기 이후 한국의 선택: 세계금융위기, 질서 변환, 중견국 경제외교』(2021), 『바이든 시기 중국의 다자외교 전망』(2021), 「"South Korea, Taiwan, Hong Kong, Singapore and Covid-19.” Covid-19 and Governance: Crisis Reveals (London: Routledge)」 등이 있다.

Wang Hwi LEE is professor of political science at Ajou University, Suwon, South Korea, where he has taught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since 2006.

이왕휘의 다른 상품

COVID-19 in East Asia and Aftermath- Re-globalization, Democracy and Civil Society

COVID-19 in East Asia and Aftermath- Re-globalization, Democracy and Civil Society

24,700 (5%)

'COVID-19 in East Asia and Aftermath- Re-globalization, Democracy and Civil Society' 상세페이지 이동

중국사와 국제정치

중국사와 국제정치

20,000

'중국사와 국제정치' 상세페이지 이동

역세계화 vs. 다른 세계화(미-중 갈등과 세계화의 미래)

역세계화 vs. 다른 세계화(미-중 갈등과 세계화의 미래)

14,250 (5%)

'역세계화 vs. 다른 세계화(미-중 갈등과 세계화의 미래)' 상세페이지 이동

세계 선도국가와 정의로운 전환

세계 선도국가와 정의로운 전환

16,000

'세계 선도국가와 정의로운 전환' 상세페이지 이동

코로나19와 신흥안보의 세계정치

코로나19와 신흥안보의 세계정치

27,000

'코로나19와 신흥안보의 세계정치' 상세페이지 이동

세계화 3.0과 국내정치

세계화 3.0과 국내정치

18,000 (10%)

'세계화 3.0과 국내정치' 상세페이지 이동

미중 ICT경쟁과 남북 ICT협력 국제정치경제학의 시각

미중 ICT경쟁과 남북 ICT협력 국제정치경제학의 시각

25,000

'미중 ICT경쟁과 남북 ICT협력 국제정치경제학의 시각' 상세페이지 이동

양분법을 넘어서

양분법을 넘어서

25,000

'양분법을 넘어서'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이승주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승주
관심작가 알림신청
EAI 무역·기술·변환연구센터 소장, 중앙대학교 정치국제학과 교수.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업, 캘리포니아 버클리대학교 정치학 박사
논저: 『미중 경쟁과 글로벌 디지털 거버넌스』, 『사이버 공간의 국제정치경제』, “The Political Economy of Change and Continuity in Korea: Twenty Years after the Crisis”, “경제·안보 넥서스(nexus)와 미중 전략 경쟁의 진화”, “Evolution of Korea’s Disaster-Management Diplomacy: Disaster Management as a Nexus between ODA Policy and Middle-Power Diplomacy”, “트럼프 행정부의 등장과 미중 무역 전쟁: 다차원적 복합 게임의 시각”

이승주의 다른 상품

미중 경제전쟁과 한국

미중 경제전쟁과 한국

25,000

'미중 경제전쟁과 한국' 상세페이지 이동

미래전의 도전과 항공우주산업

미래전의 도전과 항공우주산업

30,000

'미래전의 도전과 항공우주산업' 상세페이지 이동

신흥평화의 세계정치

신흥평화의 세계정치

25,000

'신흥평화의 세계정치' 상세페이지 이동

디지털 안보의 세계정치

디지털 안보의 세계정치

29,000

'디지털 안보의 세계정치' 상세페이지 이동

21세기 한반도 평화연구의 쟁점과 전망

21세기 한반도 평화연구의 쟁점과 전망

32,000

'21세기 한반도 평화연구의 쟁점과 전망' 상세페이지 이동

패권의 미래

패권의 미래

17,820 (10%)

'패권의 미래 ' 상세페이지 이동

코로나19의 거버넌스와 중견국 외교

코로나19의 거버넌스와 중견국 외교

28,000

'코로나19의 거버넌스와 중견국 외교' 상세페이지 이동

코로나19와 신흥안보의 세계정치

코로나19와 신흥안보의 세계정치

27,000

'코로나19와 신흥안보의 세계정치'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이용욱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용욱
관심작가 알림신청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이용욱 의 다른 상품

청소년을 위한 정치학 대안 교과서

청소년을 위한 정치학 대안 교과서

19,000 (5%)

'청소년을 위한 정치학 대안 교과서' 상세페이지 이동

위기 이후 한국의 선택

위기 이후 한국의 선택

42,000

'위기 이후 한국의 선택' 상세페이지 이동

동아시아 지역질서 이론

동아시아 지역질서 이론

25,000

'동아시아 지역질서 이론'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김연규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연규
관심작가 알림신청
한양대학교 글로벌기후환경학과 교수. 한양대학교 국제학부 교수이자 에너지거버넌스센터장으로서 오랫동안 에너지와 기후 환경 관점에서 정치경제를 분석해 온 학자이다. 20세기 미국-러시아의 강대국 관계를 천연가스와 액화천연가스(LNG) 시장과 지정학적 관점에서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한 바 있으며, 최근에는 미국-중국 세력 경쟁을 희토류와 전략 광물, 기술 패권 시각에서 연구하고 있다.

김연규의 다른 상품

2023 대한민국 대전망

2023 대한민국 대전망

17,820 (10%)

'2023 대한민국 대전망' 상세페이지 이동

패권의 미래

패권의 미래

17,820 (10%)

'패권의 미래 '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의 미래 에너지 전략 2030

한국의 미래 에너지 전략 2030

25,000

'한국의 미래 에너지 전략 2030'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의 에너지 전환

한국의 에너지 전환

31,000

'한국의 에너지 전환' 상세페이지 이동

포스트 코로나 대한민국

포스트 코로나 대한민국

42,000

'포스트 코로나 대한민국' 상세페이지 이동

위기 이후 한국의 선택

위기 이후 한국의 선택

42,000

'위기 이후 한국의 선택' 상세페이지 이동

신기후체제하 글로벌 에너지 질서 변동과 한국의 에너지 전략

신기후체제하 글로벌 에너지 질서 변동과 한국의 에너지 전략

30,000

'신기후체제하 글로벌 에너지 질서 변동과 한국의 에너지 전략'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의 에너지 전환

한국의 에너지 전환

43,000

'한국의 에너지 전환'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김상배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상배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학위를, 미국 인디애나 대학교에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책임연구원, 일본 GLOCOM(Center for Global Communications) 객원연구원 등을 역임했고, 현재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이다.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연구소장으로 재직 중이며 정보화와 세계화를 국제정치학의 시각에서 연구 및 강의하고 있다. 주요 관심 분야는 ‘정보혁명과 네트워크의 세계정치학’의 시각에서 본 권력 변환과 국가 변환, 중견국 외교와 관련된 이론적 이슈들, 사이버 안보와 디지털 경제, 공공외교의 경험적 이슈, 미래전의 부상 등이다.

논저로는 『네트워크 지식국가: 21세기 세계정치의 변환』(공편 2006), 『IT시대의 디지털외교』(2005), 「한류의 매력과 동아시아 문화 네트워크」(2007), 「정보화시대의 제국: 지식/네트워크 세계정치론의 시각」(2005), 「정보기술과 국제정치이론: 구성적 기술론과 정보세계정치론의 모색」(2003) 등이 있다.

김상배의 다른 상품

인공지능과 국제정치

인공지능과 국제정치

30,000

'인공지능과 국제정치' 상세페이지 이동

인공지능과 국제정치

인공지능과 국제정치

30,000

'인공지능과 국제정치' 상세페이지 이동

사이버 안보의 국제정치학

사이버 안보의 국제정치학

33,000

'사이버 안보의 국제정치학' 상세페이지 이동

사이버 안보의 국제정치학

사이버 안보의 국제정치학

33,000

'사이버 안보의 국제정치학' 상세페이지 이동

한미동맹의 디지털 전환

한미동맹의 디지털 전환

39,000

'한미동맹의 디지털 전환' 상세페이지 이동

대전환 시대의 국가론

대전환 시대의 국가론

39,000

'대전환 시대의 국가론' 상세페이지 이동

신흥평화의 세계정치

신흥평화의 세계정치

25,000

'신흥평화의 세계정치' 상세페이지 이동

디지털 안보의 세계정치

디지털 안보의 세계정치

29,000

'디지털 안보의 세계정치' 상세페이지 이동

저 : 문경연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문경연
관심작가 알림신청
Cranfield University 국제개발협력 박사. 식량지원 등 인도주의 규범, NGOs 북한개발협력을 연구하고 있다. 전북대학교 국제인문사회학부 교수를 역임하였다.

문경연의 다른 상품

지속가능한 북한개발협력

지속가능한 북한개발협력

28,000

'지속가능한 북한개발협력' 상세페이지 이동

국제개발

국제개발

20,700 (10%)

'국제개발' 상세페이지 이동

위기 이후 한국의 선택

위기 이후 한국의 선택

42,000

'위기 이후 한국의 선택' 상세페이지 이동

북한개발협력과 지속가능발전목표

북한개발협력과 지속가능발전목표

27,000

'북한개발협력과 지속가능발전목표' 상세페이지 이동

편 : 손열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편 : 손열
관심작가 알림신청
EAI 원장, 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 교수. 시카고대학교 정치학 박사. 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 원장과 언더우드국제학부장, 지속가능발전연구원장, 국제학연구소장 등을 역임하였고, 도쿄대학 특임초빙교수, 노스캐롤라이나대학(채플힐), 캘리포니아대학(버클리) 방문학자를 거쳤다. 한국국제정치학회 회장(2019)과 현대일본학회장(2012)을 지냈다. Fullbright, MacArthur, Japan Foundation, 와세다대 고등연구원 시니어 펠로우를 지내고, 외교부, 국립외교원, 동북아역사재단, 한국국제교류재단 자문위원, 동북아시대 위원회 전문위원 등을 역임했다. 전공분야는 일본외교, 국제정치경제, 동아시아국제정치, 공공외교. 최근 저서로는 Japan and Asia's Contested Order (2019, with T. J. Pempel), Understanding Public Diplomacy in East Asia (2016, with Jan Melissen), 「South Korea under US-China Rivalry: the Dynamics of the Economic-Security Nexus in the Trade Policymaking,」 (The Pacific Review 2019(32):6), 『한국의 중견국외교』(2017, 공편) 등이 있다.

손열의 다른 상품

미중 경제전쟁과 한국

미중 경제전쟁과 한국

25,000

'미중 경제전쟁과 한국' 상세페이지 이동

여론으로 보는 한일관계 2013-2023

여론으로 보는 한일관계 2013-2023

24,000

'여론으로 보는 한일관계 2013-2023' 상세페이지 이동

2022 신정부 외교정책 제언

2022 신정부 외교정책 제언

16,000

'2022 신정부 외교정책 제언' 상세페이지 이동

2022 대통령의 성공조건

2022 대통령의 성공조건

16,000

'2022 대통령의 성공조건' 상세페이지 이동

BTS의 글로벌 매력 이야기

BTS의 글로벌 매력 이야기

20,000

'BTS의 글로벌 매력 이야기' 상세페이지 이동

위기 이후 한국의 선택

위기 이후 한국의 선택

42,000

'위기 이후 한국의 선택' 상세페이지 이동

저출산·고령화의 외교안보와 정치경제

저출산·고령화의 외교안보와 정치경제

20,000

'저출산·고령화의 외교안보와 정치경제'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