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2명)

이전

저 : 장담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장담
관심작가 알림신청
張湛, 330-400년 무렵.
자(字)는 처도(處度)이며 고평(高平, 현 산동성 추성시 출신으로 동진(東晉)의 중서랑을 지냈다. 저술로는 『열자주』(列子注)가 있다. 이외에도 『양생요집』(養生要集), 『연년비록』, 『문자주』(文子注)가 있었다고 하나 오호십육국 시대의 계속된 전란 속에서 모두 없어지고 제목만 전해 내려온다.
장담의 조부는 서진(西晉)의 정원랑(正員郞) 장의(張?)로, 위진 시대 『노자』와 『주역』 주석으로 명성을 떨친 왕필(王弼)의 외당질이다. 영가의 난(311년)에 ‘만권의 가장서(家藏書)’를 싣고 피난을 가다가 열자서를 일부 분실했다. 그 후 4세기 후반에 장의의 손자이자 왕필의 외종증손이 되는 장담이 왕필 사위의 집에서 이를 다시 찾아내 『열자주』를 저술했다고 전한다.
장담의 『열자주』는 열자의 사상을 간결하면서도 날카롭게 분석한 명저로, 열자서에 관한 최초의 주석인 동시에 최고의 해설서로 알려졌다. 이는 유가와 도가사상뿐 아니라 불교사상까지 융합해서 일궈낸 위진 현학(玄學)의 마지막 총결산으로 평가받는다.

편역 : 임채우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편역 : 임채우
관심작가 알림신청
연세대학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동양학과 교수로 있다. 국사편찬위원회에서 초서(草書) 전공 과정을 수료했고, 원전 자료에 대한 고증학적 연구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주로 도가 철학과 주역 철학을 강의하고 있으며, 주요 관심 분야는 한국 고유 사상의 정립과 고대 동아시아의 철학적 기원 문제들이다. 역서로 『주역 왕필주』(1998), 『왕필의 노자주』(2005), 『術數와 수학사이의 중국문화』(2001) 등이, 논문으로 「韓國道敎之歷史與問題」(1997), 「道敎의 페미니즘적 性格─道敎 神話와 煉丹術에서의 女性의 意味를 중심으로」(2004), 「왕필 역학의 도가역학적 위상」(2008) 등이 있다.

임채우의 다른 상품

단군학총서 세트

단군학총서 세트

126,000 (10%)

'단군학총서 세트'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의 단군 자료

한국의 단군 자료

31,500 (10%)

'한국의 단군 자료'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의 단군 영정

한국의 단군 영정

31,500 (10%)

'한국의 단군 영정' 상세페이지 이동

사물의 분류와 지식의 탄생

사물의 분류와 지식의 탄생

22,500 (10%)

'사물의 분류와 지식의 탄생'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