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10명)

이전

저 : 김상배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상배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이다.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소장과 한국국제정치학회 회장을 맡고 있다. 미국 인디애나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책임연구원으로 근무한 바 있다. 세 번째 단독 저서인 『아라크네의 국제정치학: 네트워크 세계정치이론의 도전』은 2014년도 한국국제정치학회 학술상을 수상했다. 주요 관심 분야는 ‘정보혁명과 네트워크의 세계정치학’의 시각에서 본 권력 변환과 국가 변환, 중견국 외교 등과 관련된 이론적·경험적 이슈들이며, 신흥안보와 사이버 안보, 디지털 경제, 공공외교, 미래전 등의 주제를 연구하고 있다.

김상배의 다른 상품

미래전의 도전과 항공우주산업

미래전의 도전과 항공우주산업

30,000

'미래전의 도전과 항공우주산업' 상세페이지 이동

신흥기술·사이버 안보의 국가전략

신흥기술·사이버 안보의 국가전략

30,000

'신흥기술·사이버 안보의 국가전략' 상세페이지 이동

미중 디지털 패권경쟁

미중 디지털 패권경쟁

26,000

'미중 디지털 패권경쟁' 상세페이지 이동

디지털 파워 2023

디지털 파워 2023

16,650 (10%)

'디지털 파워 2023'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송태은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송태은
관심작가 알림신청
국립외교원 안보통일연구부 조교수. 서울대학교에서 외교학 박사학위를,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UCSD)에서 국제관계학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정보세계정치학회 총무이사, 한국사이버안보학회 편집위원장, 한국정치정보학회 연구이사, 국회도서관 의회정보자문위원(외교분과)이며, 주요 연구 분야는 신기술, 사이버 안보, 정보전·심리전·인지전, 하이브리드전 등 신흥안보 분야이다. 주요 논문으로는 “연합 사이버 전력의 역할과 한미 사이버 안보협력의 과제”(2023), “현대 전면전에서의 사이버전의 역할과 전개양상”(2022),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정보심리전”(2022) 등이 있다.

송태은의 다른 상품

인공지능과 국제정치

인공지능과 국제정치

30,000

'인공지능과 국제정치' 상세페이지 이동

사이버 안보의 국제정치학

사이버 안보의 국제정치학

33,000

'사이버 안보의 국제정치학' 상세페이지 이동

미래전의 도전과 항공우주산업

미래전의 도전과 항공우주산업

30,000

'미래전의 도전과 항공우주산업' 상세페이지 이동

신흥기술·사이버 안보의 국가전략

신흥기술·사이버 안보의 국가전략

30,000

'신흥기술·사이버 안보의 국가전략' 상세페이지 이동

신흥평화의 세계정치

신흥평화의 세계정치

25,000

'신흥평화의 세계정치' 상세페이지 이동

디지털 안보의 세계정치

디지털 안보의 세계정치

29,000

'디지털 안보의 세계정치' 상세페이지 이동

디지털 사회의 기본가치

디지털 사회의 기본가치

28,000

'디지털 사회의 기본가치' 상세페이지 이동

코로나19와 신흥안보의 세계정치

코로나19와 신흥안보의 세계정치

27,000

'코로나19와 신흥안보의 세계정치' 상세페이지 이동

저 : 박종희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박종희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에서 국제정치경제와 사회과학 방법론을 가르치고 있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산하 국제정치 데이터센터장을 맡고 있다. 서강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한 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에서 석사를 마치고 미국 워싱턴대학교(세인트루이스)에서 무역보조금연구와 베이지안 방법론으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2007년부터 2012년까지 미국 시카고대학 정치학과에서 조교수로 부임하며 국제정치경제와 정치학 방법론을 가르쳤으며 미시간대학의 ICPSR(2008-2012 여름)에서 베이지안 방법론을 가르쳤다. 베이지안 전환점 모형에 대한 연구로 2010년 미국정치학회 방법론 분과 최우수논문상인 해롤드가즈넬상을 수상했으며 2013년에는 MCMCpack으로 미국정치학회 방법론 분과가 수여하는 통계소프트웨어상을 수상하였 다. 주요 방법론 관련 저작으로는 “Bayesian Inference in Political Science” (The SAGE Handbook of Research Methods in Political Science and International Relations), “Detecting Structural Changes in Longitudinal Network Data” (Bayesian Analysis 2020), “Bayesian Approach to Multilayer Stochastic Block Model and Network Changepoint Detection” (Network Science 2017), “A Unified Method for Dynamic and Cross-Sectional Heterogeneity: Introducing Hidden Markov Panel Models”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등이 있다.

박종희의 다른 상품

정치학 방법론 핸드북

정치학 방법론 핸드북

20,000

'정치학 방법론 핸드북' 상세페이지 이동

사회과학자를 위한 데이터 과학

사회과학자를 위한 데이터 과학

30,000

'사회과학자를 위한 데이터 과학' 상세페이지 이동

저 : 배영자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배영자
관심작가 알림신청
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학사 및 석사,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 정치학 박사. 저서 및 논문으로 「사이버안보 국제규범 연구」(『21세기정치학회보』, 2017), 「미중 패권 경쟁과 과학기술혁신」(『국제·지역연구』, 2016), 『중견국 공공외교』(사회평론, 2013) 등이 있다.

배영자의 다른 상품

미중 경쟁과 글로벌 디지털 거버넌스

미중 경쟁과 글로벌 디지털 거버넌스

25,000

'미중 경쟁과 글로벌 디지털 거버넌스' 상세페이지 이동

인공지능, 권력변환과 세계정치

인공지능, 권력변환과 세계정치

15,680 (5%)

'인공지능, 권력변환과 세계정치'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전재성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전재성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이다. 국제정치이론, 국가안보 등을 연구해 왔다. 서울대 국제문제연구소장, 한국국제정치학회 회장, 외교부 정책자문위원장, 동아시아연구원 국가안보연구센터 소장 등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는 《동북아 국제정치이론: 불완전 주권국가들의 국제정치》, 《주권과 국제정치: 근대 주권국가체제의 제국적 성격》, 《정치는 도덕적인가: 라인홀드 니버의 초월적 국제정치사상》, 《동아시아 국제정치: 역사에서 이론으로》 등이 있다.

전재성 의 다른 상품

신흥평화의 세계정치

신흥평화의 세계정치

25,000

'신흥평화의 세계정치' 상세페이지 이동

평화학이란 무엇인가

평화학이란 무엇인가

32,000

'평화학이란 무엇인가' 상세페이지 이동

패권의 미래

패권의 미래

17,820 (10%)

'패권의 미래 ' 상세페이지 이동

코로나19와 신흥안보의 세계정치

코로나19와 신흥안보의 세계정치

27,000

'코로나19와 신흥안보의 세계정치' 상세페이지 이동

한반도 평화 신 로드맵

한반도 평화 신 로드맵

22,000

'한반도 평화 신 로드맵' 상세페이지 이동

2022 신정부 외교정책 제언

2022 신정부 외교정책 제언

16,000

'2022 신정부 외교정책 제언' 상세페이지 이동

동북아 국제정치이론

동북아 국제정치이론

19,000

'동북아 국제정치이론' 상세페이지 이동

한반도 평화학

한반도 평화학

26,000

'한반도 평화학 '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조동준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조동준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펜실베니아주립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제기구, 핵무기, 전쟁 등을 중심으로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정치 과제들을 연구하고 있다. 주요 논저로는 「코로나-19와 지구화의 변화」 (2020), 「신호이론으로 분석한 2013년 한반도 위기」 (2018) 등이 있다.

조동준의 다른 상품

세븐 웨이브

세븐 웨이브

17,820 (10%)

'세븐 웨이브' 상세페이지 이동

21세기 한반도 평화연구의 쟁점과 전망

21세기 한반도 평화연구의 쟁점과 전망

32,000

'21세기 한반도 평화연구의 쟁점과 전망' 상세페이지 이동

문화정책

문화정책

13,500 (10%)

'문화정책' 상세페이지 이동

코로나19와 신흥안보의 세계정치

코로나19와 신흥안보의 세계정치

27,000

'코로나19와 신흥안보의 세계정치' 상세페이지 이동

21세기 한반도 평화연구의 쟁점과 전망

21세기 한반도 평화연구의 쟁점과 전망

42,000

'21세기 한반도 평화연구의 쟁점과 전망' 상세페이지 이동

4차 산업혁명과 첨단 방위산업

4차 산업혁명과 첨단 방위산업

48,000

'4차 산업혁명과 첨단 방위산업' 상세페이지 이동

규범의 국제정치

규범의 국제정치

20,000

'규범의 국제정치' 상세페이지 이동

사회주의 베트남의 역사와 정치

사회주의 베트남의 역사와 정치

29,000

'사회주의 베트남의 역사와 정치'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신범식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신범식
관심작가 알림신청
현)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
현) (사)유라시아21 회장, 서울대 아시아연구소중앙아시아센터장
모스크바국제관계대학(MGIMO) 정치학박사
서울대러시아연구소장, 슬라브학회 총무이사, KBS객원해설위원 등 역임
2017, 『유라시아의 심장 다시 뛰다』 (서울: 진인진)
2018, 『지구환경정치의 이해』(편저) (파주: 한울아카데미)
2020, 『북·중·러 접경지대를 둘러싼 소지역주의전략과 초국경 이동』 (서울: 이조)
2021, 『러시아의 사이버안보』 (서울: 사회평론아카데미)

신범식 의 다른 상품

미래전의 도전과 항공우주산업

미래전의 도전과 항공우주산업

30,000

'미래전의 도전과 항공우주산업' 상세페이지 이동

메가아시아의 형성과 동학

메가아시아의 형성과 동학

33,250 (5%)

'메가아시아의 형성과 동학' 상세페이지 이동

아시아의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

아시아의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

23,750 (5%)

'아시아의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 상세페이지 이동

유라시아의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

유라시아의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

27,000

'유라시아의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 상세페이지 이동

유라시아를 향한 한국의 도전

유라시아를 향한 한국의 도전

19,000 (5%)

'유라시아를 향한 한국의 도전' 상세페이지 이동

코로나19의 거버넌스와 중견국 외교

코로나19의 거버넌스와 중견국 외교

28,000

'코로나19의 거버넌스와 중견국 외교' 상세페이지 이동

코로나19와 신흥안보의 세계정치

코로나19와 신흥안보의 세계정치

27,000

'코로나19와 신흥안보의 세계정치' 상세페이지 이동

기후변화와 사회변동

기후변화와 사회변동

23,000

'기후변화와 사회변동' 상세페이지 이동

저 : 이승주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이승주
관심작가 알림신청
중앙대학교 정치국제학과 교수, 前 싱가포르국립대학교 교수, 한국국제정치학회 부회장, EAI 무역·기술·변환센터 소장, 외교부 경제안보외교 자문위원회 위원장

이승주의 다른 상품

디지털 파워 2023

디지털 파워 2023

16,650 (10%)

'디지털 파워 2023' 상세페이지 이동

세계화 3.0과 국내정치

세계화 3.0과 국내정치

18,000 (10%)

'세계화 3.0과 국내정치' 상세페이지 이동

역 : 안태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안태현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선임연구원. 노트르담 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주요 연구로는 “플라톤 해석을 중심으로 살펴본 누스바움 연구의 변화와 특징: 인간과 행복에 대한 철학적 이해와 정치적 해법”(2020), “문화외교와 공공외교(『지구화 시대의 공공외교』 중)”(2022) 등이 있다.

안태현의 다른 상품

사이버 안보의 국제정치학

사이버 안보의 국제정치학

33,000

'사이버 안보의 국제정치학' 상세페이지 이동

디지털 사회의 기본가치

디지털 사회의 기본가치

28,000

'디지털 사회의 기본가치'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