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16명)

이전

저 : 우봉식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우봉식
관심작가 알림신청
한양의대를 졸업, 재활의학과 전문의다. 학자의 꿈을 꾸고 한양의대 전임교수가 되었으나 IMF 이후 진로를 바꿔 클리닉을 개원한 이후 의원급 11년, 요양병원 9년, 급성기 병원을 3년 째 운영 중인 현장 전문가이자 대한의사협회의 싱크탱크인 의료정책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는 보건의료정책 이론가이다.

2008년 의료관광 스타트업 ‘닥스투어’를 창업, 러시아 연해주 환자 유치 홍보업무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2009년 보건복지가족부 장관 표창을 받았다. 당시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국내 최초의 의료관광 전문 서적인 「의료관광산업개론」, 「의료관광 에이전시와 관광가이드」 를 저술했다.

현재 대한에이즈예방협회 부회장, 바른사회시민회의 운영위원으로 활동하는 등 활발한 사회활동을 펼치고 있으며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사회복지문화분과위원회 자문위원을 맡아 윤석열정부 출범에 기여한 바가 있다.

저 : 김철중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철중
관심작가 알림신청
고려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의학박사와 동 대학원 언론학 석사를 취득했다. 영상의학과 전문의로 10년간 의사생활을 하다 1999년 기자로 변신해, 현재까지 조선일보 의학전문기자로 있다. 환자도 아니면서 대한민국 의사를 가장 많이 만난 사람이며 또한 가장 많은 독자(환자)를 가진 의사이기도 하다.

의사에서 기자로 변신하게 된 연유는 아주 오래전부터 시작됐다고 볼 수 있다. 청소년기부터 신문 중독자라고 할 정도로 신문을 열심히 읽었다. 시간에 쫓기며 한 글자라도 더 눈에 바르고, 뇌에 묻혀야 할 의과대학 시험 기간 중에도 아침에 신문을 한 시간씩 챙겨 읽었다. 좀 과장해서 말하면, 요즘도 새벽에 현관 밖 신문 떨어지는 소리에 잠을 깬단다.

현재 조선일보에 〈김철중의 생로병사〉라는 기명 칼럼을 게재하고 있고, 그전에는 〈김철중의 메디컬 CSI〉 등의 칼럼을 꾸준히 써왔다. 메디컬 CSI 칼럼은 네이버가 별도 코너를 만들어 놓기도 했다. ‘심폐소생술을 배우자’, ‘나트륨을 적게 먹기 기획’, ‘중병 앓는 응급실 체험 르포’ 등의 기사를 통해 사회 구조와 의료와의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뤘다.

메디TV에서 〈김철중의 헬스파일〉이라는 국내 최초 의료 시사 프로그램을 진행 하기도 한 김철중은, ‘사람은 사회를 만들고, 사회는 질병을 키운다’는 지론을 갖고, 지면 외에도 의료계의 각종 정책 수립을 위한 토론회와 일반 시민을 위한 강연회 등에도 활발히 참여하며 환자와 의료계를 위한 메디컬 소시올로지 확립에 힘쓰고 있다.

대한암학회, 대한의사협회, 대한병원협회,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 대한과학기자협회 등이 주는 언론상을 모두 수상하며, 국내 대표적인 의학전문기자로 인정받고 있다.

김철중의 다른 상품

내망현內望顯

내망현內望顯

14,400 (10%)

'내망현內望顯' 상세페이지 이동

저 : 김소윤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소윤
관심작가 알림신청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인문사회의학교실 의료법윤리학과 교수로서 연세의료원 통일보건의료센터 보건학 기획단장, 의료법윤리학연구원 원장으로 재직중이다.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보 기술서기관, WHO WPRO Legal staff을 역임하였으며, 한국의료법학회 회장, 국제보건학회 편집위원장, (재)아주 남북한 보건의료연구소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국제보건총론」(계축문화사, 2023), 「노인보건학」(계축문화사, 2018), 「환자안전을 위한 의료판례분석」(박영사, 2017), 「남북한 보건의료 제11권 국제개발협력관점에서의 대북 보건의료지원: 감염병 관리를 중심으로」(재단법인, 아주남북한 보건의료연구소, 2017), 「예방의학과 공중보건학(제3판)」(계축문화사, 2017) 등이 있다.

김소윤의 다른 상품

통일보건의료의 미래

통일보건의료의 미래

22,000

'통일보건의료의 미래' 상세페이지 이동

환자안전을 위한 의료판례 분석 07

환자안전을 위한 의료판례 분석 07

24,000

'환자안전을 위한 의료판례 분석 07 ' 상세페이지 이동

환자안전을 위한 의료판례 분석 08

환자안전을 위한 의료판례 분석 08

22,000

'환자안전을 위한 의료판례 분석 08 ' 상세페이지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