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25명)

이전

공저 : 손재영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공저 : 손재영
관심작가 알림신청
손재영은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캘리포니아 버클리 대학 경제학과에서 1987년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전공분야는 도시경제학과 재정학이며, 질적 차이가 있는 재화시장의 정보로 부터 소비자 편익을 계산 해내는 방법을 탐구하는 학위논문을 썼다. 귀국 후 국토연구원 책임연구원,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을 거쳐 1996년 건국대학교 부동산학과 교수로 부임하였다.

부동산 시장과 정책의 경제학적 분석과 대안제시를 연구분야로 하여 수십편의 논문을 집필하였으며, 이런한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적극적으로 부동산정책의 형성 과정에 참여하고 있다. 건국대학교에서는 정치대학장장, 기획조정처장을 거쳐 현재 부동산대학원 원장 직을 맡고 있다.

공저 : 최길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공저 : 최길현
관심작가 알림신청
저자 최길현은 전남 곡성에서 태어났다. 대학졸업 후 신용보증기금에서 직장생활을 했다. 직장에 근무하면서 수많은 기업인을 만나고 그들의 성공과 실패사례를 보았다. 그 경험과 관찰이 이 책을 쓰는데 큰 밑거름이 되었다. 현재는 단국대학교 경제학과 겸임교수로 재직 중이며 관심분야는 중소기업금융과 창업이다.
저서로 「신경제학 원론」「국제금융론」「신용조사의 이론과 실제」「e-비즈니스의 이해」「중소기업 도산론」과 수필집 「20세기 아빠가 21세기 아들에게」 「위안」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은행대출의 효율적 공급을 위한 신용보증제도의 유용성 분석」「회계 및 비회계 정보를 이용한 중소기업의 도산예측 모델 」 「Keynes and Friedman on the Credit Market」 등 다수가 있다.

최길현의 다른 상품

끝까지 살아남기 2

끝까지 살아남기 2

14,000

'끝까지 살아남기 2' 상세페이지 이동

공저 : 성상현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공저 : 성상현
관심작가 알림신청
동국대 경영학과 교수. 서울대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삼성경제연구소SERI 연구조정실을 거쳐 인사조직실 수석연구원을 지냈다. 연세대에서 경영학 석·박사를 하였고 킹스칼리지런던에서 공부하였다. 대한리더십학회 회장과 한국윤리경영학회 부회장을 지냈다.
현재 한국인사조직학회 부회장, 인사조직연구 및 조직과인사관리연구 편집위원, 서울지방노동위원회 공익위원이다. 주요 관심 분야는 인력다양성과 인사관리, 조직의 미래, 여성고용 등이다.

성상현의 다른 상품

기업의 미래를 여는 사회가치경영

기업의 미래를 여는 사회가치경영

10,500

'기업의 미래를 여는 사회가치경영' 상세페이지 이동

공저 : 정유신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공저 : 정유신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강대 기술경영대학원 교수.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했고 서강대 대학원 석사, 건국대 부동산대학원 석사, 와튼스쿨 MBA, 경기대 경제학 박사, 중국 인민대 재정금융학원 MBA를 받았다. 전 대우증권 IB본부장, 신한금융투자 부사장, SC제일은행 부행장, SC증권 대표, 한국벤처투자 대표 등을 역임했다. 현재 서강대 기술경영대학원 원장, 금융위원회 한국핀테크지원센터 이사장이다. 중국자본시장연구회 회장을 맡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중국이 이긴다』 『핀테크, 기회를 잡아라』 등이 있다.

정유신의 다른 상품

인간을 위한 미래

인간을 위한 미래

11,900

'인간을 위한 미래' 상세페이지 이동

공저 : 주한규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공저 : 주한규
관심작가 알림신청
한국원자력연구소 책임연구원, 미국 원자력학회 석학회원. 서울대학교 원자핵공학과 교수이자 부설 원자력정책센터 센터장이다. 원자로 설계해석 코드 전문가로서 미국 원자력학회 석학회원이다. 2017년 이후 잘못되고 있는 국내 에너지 정책의 정상화를 위한 연구와 활동에 진력하고 있다. 탈원전 정책을 시정하기 위한 <원자력 바로 알리기> 활동과 합리적인 원자력 정책 연구가 그 일환이다.

주한규의 다른 상품

공저 : 권순우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공저 : 권순우
관심작가 알림신청
한국자영업연구원 원장이며 이코노미스트다. 서울대학교에서 경제학사, KAIST에서 경영공학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삼성경제연구소에서 연구와 컨설팅을 수행했으며 거시경제실장, 경제정책실장, 금융산업실장 등을 역임했다. 1997년 외환위기 발생을 경고한 보고서 「외환위기의 증후와 처방」 연구를 비롯해 가계부채위기, 글로벌금융위기 등 한국경제가 위기를 맞을 때마다 위기를 경고하고 대응책을 마련하는 연구에 몰두했다. 『SERI경제전망』 대표집필(2009~2012), SERICEO 강의, 언론 기고, 한국은행 통화정책 자문위원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해 경제이슈들을 공공에 전달하고 자문하는 역할도 수행했다. 2015년 당시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가 쟁점화한 소득주도성장론을 연구하면서 자영업 문제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자영업의 업그레이드 없이는 소득주도성장정책의 성공은 물론이고 한국경제의 업그레이드가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인식하고 연구 불모지인 자영업 연구를 위해 한국자영업연구원을 설립해 일하고 있다.

공저 : 이경태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공저 : 이경태
관심작가 알림신청
저자는 경기고, 서울상대를 졸업하였고 학훈단 8기 장교로 전방 7사단에서 복무하였다. 제대 후에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 입학하였고 행정고시 14회에 합격하였다. 재무부에서 3년 정도 근무하다가 국비유학제도가 생기면서 미국으로 유학을 갔으며 조지 워싱턴대학에서 경제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공무원을 그만두고 국책연구기관인 산업연구원에서 오랫동안 근무하면서 산업정책분야의 전문성을 키웠고 부원장을 역임하였다. 중간중간 상공부장관 자문관을 하면서 가까이에서 산업정책의 현장을 지켜볼 기회를 가졌다. 역시 국책연구기관인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원장을 2대에 걸쳐서 지냈다. 한미 FTA협상의 와중에 이익과 피해를 객관적으로 분석하여, 찬반으로 갈라진 여론이 이성적 토론을 거쳐 수렴되는 데 기여하였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한국대표부 대사를 지내면서는 글로벌 스탠더드를 한국 현실에 맞춰 적용시키는 데 일조하였다. 무역협회의 국제무역연구원장 시절에는 수출기업의 애로를 풀어주기 위한 현장 중심의 조사연구기능을 강화하였다.

은퇴 후에는 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에서 한국경제론을 강의하였고 SSCI(Social Science Citation Index) 등재지인 ?Korea Observer?의 편집주간을 맡기도 하였다. 경력에서 알 수 있듯이 저자는 학문과 현실의 경계인으로서 평생을 지냈고 특히 한국의 국부증진과 한국사회의 불평등에 관심이 많았다. 현실의 이슈를 진단하고 처방을 내리는 언론기고를 활발히 하였으며 그 결과물로 두 권의 칼럼집을 내었다.

한국이 공업강국으로 올라설 수 있게 된 것은 자유시장경제하에서 산업정책의 수단을 빌려 미래 먹거리산업을 선행적으로 발전시킨 덕분이라고 믿으며 『산업정책의 이론과 실제』를 썼다. 자본주의가 낳는 불평등을 죄악시하는 좌파적 시각을 경계하면서도 불공정한 경쟁과 불합리한 차별이 낳는 불평등은 교정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평등으로 가는 제3의 길』을 집필하였다. 『애덤 스미스와 칼 마르크스가 묻고 답하다』는 효율과 평등의 두 마리 토끼를 잡고 상향적 평등사회를 꿈꾸는 저자의 고민과 탐구가 담긴 책이다. 저자는 이 책이 좌, 우로 갈라진 한국사회가 수렴과 통합으로 나아가는 데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기를 희망한다.

이경태의 다른 상품

애덤 스미스와 칼 마르크스가 묻고 답하다

애덤 스미스와 칼 마르크스가 묻고 답하다

18,000

'애덤 스미스와 칼 마르크스가 묻고 답하다' 상세페이지 이동

평등으로 가는 제3의 길

평등으로 가는 제3의 길

10,500

'평등으로 가는 제3의 길'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교육의 진로

한국교육의 진로

12,600

'한국교육의 진로' 상세페이지 이동

공저 : 박영범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공저 : 박영범
관심작가 알림신청
한성대학교 경제학과 명예교수.
미국 코넬대 경제학 박사, 산업연구원 초빙연구위원,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 및 연구조정실장, 국가기술자격정책심의위원회 위원, 교육인적자원부 정책자문위원회 위원, 서울지방노동위원회 공익위원, 노동부 자체평가위원회 위원장, 한성대 교무처장,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노동시장선진화위원회 위원장, 한국직업능력개발원(현 한국직업능력연구원) 6대 원장, 한국산업인력공단 13대 이사장,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

《전환기, 한국노동시장의 길을 묻다》(문화관광부 선정 우수학술도서), 2009년(한성대 출판부), 《해외진출기업의 고용관계 연구》(문화관광부 선정 우수학술도서), 2010년(한성대 출판부), 《노사관계와 커뮤니케이션》, 2020년(범우사, 공저), 《한국교육의 진로》, 2021년(박영사, 공저), 《노동시장의 이해》, 2021년(한성대학교 출판부), 《혼돈의 시대, 명쾌한 이코노믹스》, 2022년(박영사, 공저), 《경제정책의 이해》, 2022년(박영사) 등 200여 편의 논문 및 저서가 있으며, 주로 노동시장, 노사관계, 공공부문 등과 관련된 연구 활동을 하였다. 2016년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발간한 《Economic Development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 Korea》은 국제노동기구(ILO) 중남미지역본부에서 스페인어로 변역 출간되었다.
국제노동기구(ILO),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세계은행(World Bank) 등 국제기구와 많은 공동연구를 수행하였다.
1998년 감사원장 표창, 2008년 대통령 표창, 2014년 캄보디아왕국 국가공로훈장, 2015년 은탑산업훈장, 2016년 한국기업경영학회 주관 기업경영자대상, 2017년 대한적십자사 적십자회원유공자금장, 2018년 교육부총리 표창을 받았다.

박영범의 다른 상품

경제 정책의 이해

경제 정책의 이해

11,900

'경제 정책의 이해' 상세페이지 이동

한국교육의 진로

한국교육의 진로

12,600

'한국교육의 진로' 상세페이지 이동

공저 : 김진일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공저 : 김진일
관심작가 알림신청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학사, 석사)
미국 예일대학교 (경제학 박사)
미국 연준이사회(FRB) 선임 이코노미스트
미국 버지니아주립대 조교수
미국 조지타운대학교 객원교수
한국금융학회 부회장
한국경제발전학회 회장
현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김진일의 다른 상품

동태적 거시경제학 성장과 변동 연습문제 풀이집

동태적 거시경제학 성장과 변동 연습문제 풀이집

6,650

'동태적 거시경제학 성장과 변동 연습문제 풀이집' 상세페이지 이동

공저 : 김이재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공저 : 김이재
관심작가 알림신청
지리학자, 경인교육대학교 사회교육과 교수. 서울대에서 지역연구 석사, 지리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런던대 교육연구대학원(IOE), 싱가포르대 아시아연구소(ARI), 국립교육원(NIE)에서 연구했다. 영어·일어·독일어·베트남어·말레이시아 및 인도네시아어를 구사하며, 삼성전자 반도체 수출팀, 스탠퍼드연구소(SRI)에서 일했다. 세계 100여 개 나라를 답사한 지리학자로 세계지리학연맹(IGU) 대표위원을 역임했고, 영국왕립지리학회(RGS), 지리협회(GA) 등에서 초청 강연을 했다. <동아일보>에 ‘지도 읽어주는 여자’, <경향신문>에 ‘김이재의 지리적 상상력’, <중앙일보>에 ‘김이재의 이코노믹스’를 연재했고, <한겨레>, <문화일보>, <주간조선>에 칼럼을 썼다.
<론리플래닛> 가이드북에도 안 나오는 오지를 탐험하며 생생한 사진을 찍어와 다큐사진작가들도 감탄하는 현장형 학자다. KBS ‘이슈 픽! 쌤과 함께’, jtbc ‘차이나는 클라스’, tvN ‘요즘책방’, EBS ‘지식의 기쁨’, KNN ‘최강1교시’ 등에서 강연하며 대중에게 지리의 힘과 중요성을 쉽고 재미있게 전달해 왔다. EBS에서 ‘세계지리 수능특강’을 담당했고, ‘세계테마기행’ 유럽·아시아·아프리카 큐레이터로 활약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부연구위원으로 국가교육과정을 개발했고, ‘지리적상상력연구소장’으로 음식·패션·여행·탱고·스포츠·현대미술·컴퓨터게임·후각의 지리학 등 새로운 연구 영역을 개척해 왔다.
저서로는 《내가 행복한 곳으로 가라》, 《치열하게 그리고 우아하게》, 《펑키 동남아》, 《Happy Yummy Journey》, 《Geography of Dream》 등이 있다.

김이재의 다른 상품

지리학이 중요하다

지리학이 중요하다

9,900 (10%)

'지리학이 중요하다' 상세페이지 이동

부와 권력의 비밀 지도력 (地圖力)

부와 권력의 비밀 지도력 (地圖力)

11,760

'부와 권력의 비밀 지도력 (地圖力)' 상세페이지 이동

공저 : 신성호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공저 : 신성호
관심작가 알림신청
고려대 통계학과를 졸업하고 1981년 대우증권의 전신인 삼보증권에 입사한 이후 리서치, 자산운용, 영업, 경영 등 여러 분야를 경험했다. 특히 리서치는 모든 부문의 근간이기에 사심 없이 상황을 평가해야 한다는 논지를 평생 유지했다.

투자전략가(strategist)로 저자의 탁월한 업적은 언론사에서 저자를 Best Strategist로 선정하였고, 매일경제신문사가 증권인상을 수여한 점에서도 엿보인다. 대우경제연구소 투자전략팀장, 대우증권 투자전략부장, 우리증권 리서치센터장, 동부증권 리서치센터장, 우리투자증권 리서치 본부장, 한국은행 통화정책자문위원을 역임한 바 있다.

저자는 본인의 분석 결과를 자산운용·영업·경영활동에 적극 활용하면서 대우증권 지점장 시절에는 영업 실적 최하위 지점을 최상위 지점으로 육성하여 영업 부문 금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IBK 투자증권 대표 시절에도 첫해에 전년 대비 이익을 157% 늘렸고, 둘째 해에는 증권업계 전체 이익이 44% 감소했지만, IBK투자증권 이익은 6% 증가했다. 물론 이 모든 성과가 직원들의 헌신에 힘입은 바가 크지만 탄탄한 리서치가 기반이 되지 않았다면 이루기 힘든 성과였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