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2명)

이전

저 : 김숭겸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저 : 김숭겸
관심작가 알림신청
金崇謙
김숭겸(金崇謙)은 1682년(숙종 8) 10월 30일에 태어났다. 본관은 조선 후기의 명문 가운데 하나인 안동(安東)이고 자(字)는 군산(君山)이며, 호는 관복암(觀復菴)이다. 병자호란 때 높은 절의로 유명했던 청음(淸陰) 김상헌(金尙憲)의 후손으로, 조부는 문곡(文谷) 김수항(金壽恒)이고, 아버지는 농암(農巖) 김창협(金昌協), 어머니는 부제학 이단상(李端相)의 딸 연안 이씨다. 어려서부터 부친 김창협과 숙부 삼연(三淵) 김창흡(金昌翕)에게 여러 영향을 받으면서 자랐으나 1689년(숙종 15)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노론인 조부 김수항이 사사된 후 집안이 당화를 입자,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영평(永平)의 백운산(白雲山)·봉은암(奉恩庵) 등에서 학문에 전심했다. 1700년(숙종 26) 10월 20일 병으로 인해 19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유고로 ≪관복암 시고(觀復菴詩稿)≫가 있다.

김숭겸의 다른 상품

지역 고전학 총서 1차 세트

지역 고전학 총서 1차 세트

224,000

'지역 고전학 총서 1차 세트' 상세페이지 이동

역 : 노현정 만든이 코멘트 보이기/감추기

  역 : 노현정
관심작가 알림신청
노현정(盧炫姃)은 1993년 울산에서 태어나 경성대학교 한문학과를 졸업한 후 부산대학교 대학원 한문학과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같은 대학원 박사 과정에 재학 중이다. 관복암 김숭겸에 대한 공부를 계기로 조선 후기의 한시사를 공부하기 시작했고, 한시 형식 가운데 ‘차운시(次韻詩)’를 주목하고 있다. 한시가 주는 아름다운 마음에 대해 느끼기 시작했다는 점이 근래 공부하면서 얻은 깨달음이었다. 한시 속의 마음을 세상에 알리는 작업을 하고 싶다. 지금은 두시 역주(杜詩譯註) 모임에 참여해 두보의 시와 그 비평서를 공부하고 있다. 논문에 <관복암(觀復菴) 김숭겸(金崇謙)의 한시 연구 : 고적(孤寂)을 중심으로>(2019), <관복암(觀復菴) 김숭겸(金崇謙)의 차운시(次韻詩) 작법과 운용의 실제>(2020)가 있다.

노현정의 다른 상품

지역 고전학 총서 1차 세트

지역 고전학 총서 1차 세트

224,000

'지역 고전학 총서 1차 세트' 상세페이지 이동